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03건 페이지 118/121
-
터키 정책세미나 예비 조찬회의 개최유라시아 지식네트워크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터키 정책세미나」에 앞서 주요 참석자들을 초청하여 세미나 진행상황 및 터키의 정치·경제 동향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조찬회의 주요 내용은 터키 정책세미나 추진경과 보고, 최근 터키 정치・경제동향, 질의 및 응답 순으로 진행되었다. - 일시: 2014년 4월 8일(화), 07:30 ~ 08:50- 장소: JW 메리어트 호텔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4/08 조회수 2,181
-
이재영 실장, '한국은 러시아와의 협력을 기대한다' 주제로 러시아 국영 신문과 인터뷰지난 4월 7일(월), 우리 원(KIEP) 구미·유라시아실 실장을 맡고 있는 이재영 박사는 "한국은 러시아와의 협력을 기대한다"라는 주제로 러시아 국영 신문 "Rossiyskaya Gazeta"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에서는 한국과 러시아 간의 사증 면제제도 도입과 관련된 시리즈 기사의 일환으로 기획되었으며, 한-러 관계의 경제적 측면을 토의하였다. 기사 바로가기 러시아·유라시아 지역 전문포탈사이트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4/07 조회수 2,492
-
러시아CIS분과 대외경제전문가풀 세미나 개최연구원은 법무법인 미르 김영옥 변호사와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현승수 교수를 초청하여 2014년 제3차 러시아CIS분과 대외경제전문가풀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김영옥 변호사는 한국 기업의 대중앙아시아 투자시 법률적 고려사항에 대해 발표하였고, 현승수 교수는 일본의 대중앙아시아 정책에 대해 발표하였다. 본 세미나에는 원내외 전문가 약 15여명이 참석하였다. - 일시: 2014년 4월 4일(금) 오후 5시- 장소: KIEP 11층 회의실- 주제 및 발표자: o 한국 기업의 대중앙아시아 투자시 법률적 고려사항[김영옥 변호사(법무법인 미르)] o 일본의 대중앙아시아 정책[현승수 교수(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4/04 조회수 2,292
-
지역무역협정팀 김영귀 팀장, "경제영토 3위…무역강국으로 '도약'" 인터뷰지난 월요일(3월 31일) 우리 원(KIEP) 무역통상실 지역무역협정팀에 근무중인 김영귀 팀장은 "경제영토 3위…무역강국으로 도약"이라는 주제로 KTV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에서는 한국의 FTA정책 10년의 평가에 관한 내용에 대한 논의를 다뤘다. 인터뷰 내용은 KTV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인터뷰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3/31 조회수 2,422
-
한중일 3국 중견언론인 방원 간담회 진행지난 3월 31일, 한중일 3국 중견언론인 15명은 우리 기관에 방원하여 한중일 FTA에 관한 간담회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간담회는 한중일 3국간 우호적인 언론환경을 조성하고 상호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한중일 협력사무국 주관으로 진행된 "제1회 한중일 언론인 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 일시: 2014년 3월 31일(월) 16:00~17:30- 장소: KIEP 7층 회의실- 참가자: 한중일 FTA연구단(KIEP), 한중일 3국 중견언론인 15명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3/31 조회수 1,933
-
'KIEP-OECD 동남아 경제전망 세미나: 중진국 함정의 위험과 극복 방안' 개최연구원은 2014년 3월 28일 서울 웨스틴 조선 호텔에서 동남아 경제전망 세미나: 중진국 함정의 위험과 극복 방안을 개최하였다. 본 행사는 KIEP과 OECD 개발센터(Development Desk)가 공동 주최하며 외교부가 후원하는 국제 세미나로, KIEP과 OECD, 한국국제협력단(KOICA) 그리고 학계의 동남아 전문가들을 모시고 동남아시아의 중진국 함정 위험과 그 극복 방안,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한국이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논의하는 자리이다. 본 세미나는 OECD와 동남아 협력, 동남아의 중진국 함정 탈피와 주요 정책 과제 , 동남아 중진국 함정 탈피를 지원하기 위한 한국-동남아 협력 3개의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 제목: KIEP-OECD 동남아 경제전망 세미나: 중진국 함정의 위험과 극복 방안- 일시: 2014년 3월 28일(금) 13:30~18:00- 장소: 웨스틴조선호텔 서울, 오키드룸-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OECD / 후원: 외교부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3/28 조회수 2,279
-
옥스포드에너지연구소 백근욱 선임연구위원 초청 전문가세미나 개최연구원은 옥스포드대학교 산하 옥스포드에너지연구소 백근욱 선임연구위원을 초청하여 러시아와 중국간 가스 협력 전망을 주제로 전문가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백근욱 박사는 러시아와 중국의 석유‧가스 협력 진행 과정과 러시아, 중국, 일본의 양자 에너지협력의 주요 내용에 대해 설명하였고, 한국과 러시아의 가스관 협력 진행 과정 및 추진 방향, 그리고 셰일가스 개발에 따른 에너지시장 변화와 동북아 에너지 협력 활성화 방향에 대해 논의 및 의견을 제시하였다. - 일시: 2014년 3월 25일(화) 10:30~12:30- 장소: KIEP 9층 회의실- 발표자: 옥스포드대학교 산하 옥스포드에너지연구소 백근욱 선임연구위원- 발표 주제: 러시아와 중국간 가스 협력 전망(Outlook of Sino-Russian Gas Cooperation)- 주요 논의 내용: 러시아와 중국의 석유‧가스 협력 진행 과정, 러시아, 중국, 일본의 양자 에너지협력 주요 내용, 한국과 러시아의 가스관 협력 진행 과정 및 추진 방향, 셰일가스 개발에 따른 에너지시장 변화와 동북아 에너지 협력 활성화 방향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3/25 조회수 3,428
-
KIEP 해외방문학자 초청세미나 개최(Institute of Forecasting and Macroeconomic Research under the Cabinet of Ministers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의 Ibrohim Umarov 학자)연구원에서는 국내외전문가를 모시고 신흥경제지역의 주요 현안에 대하여 강연을 듣는 "KIEP 해외방문학자 초청세미나"(KIEP Visiting Scholar Seminar)를 개최하였다. 3월 24일(월) 우즈베키스탄 Institute of Forecasting and Macroeconomic Research under the Cabinet of Ministers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의 Ibrohim Umarov 학자를 모시고 "Diversification of bilateral foreign economic relations between Uzbekistan and Korea"라는 주제로 발표 및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 일시: 2014년 3월 24일(월), 14:00~15:30 - 장소: KIEP 11층 회의실 - 발표주제: Diversification of bilateral foreign economic relations between Uzbekistan and Korea - 세미나 순서: o 발표자 소개 - KIEP 러시아·유라시아팀 제성훈 팀장 o 세미나 발표 - Ibrohim Umarov 학자 o Q&A - 참가자 전원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3/24 조회수 2,222
-
북경사무소 이승신 소장 "중국의 양회'를 주제로 SBS CNBC "이형진의 백브리핑 시시각각 '그건 이렇습니다'' 인터뷰지난 금요일(3월 14일), 우리 원(KIEP) 북경사무소에 근무중인 이승신 소장은 "중국의 양회"를 주제로 SBS CNBC "이형진의 백브리핑 시시각각 그건 이렇습니다"와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인터뷰에서는 중국의 양회(전국인민대표자회의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통해 중국 경제가 앞으로 어떻게 갈지, 올 한해 중국 경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상세 인터뷰 내용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다시 들을 수 있습니다. ▶ 링크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3/14 조회수 3,767
-
정철 실장, 'FTA 강국, 실질적인 경제적 효과는?' KBS 1라디오 '경제나침반' 인터뷰지난 수요일(3월 12일), 우리 원(KIEP) 아시아태평양실에 근무중인 정철 실장은 "FTA 강국, 실질적인 경제적 효과는?"이라는 주제로 KBS 1라디오 "경제나침반"과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인터뷰에서는 우리나라 FTA 체결의 역사를 살펴보고 FTA 발표 이후 나타난 경제적 효과에 대한 평가, 향후 우리가 협상해야 할 주요국이 어디인지, 어떤 협상 전략이 필요한지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인터뷰 내용은 KBS 홈페이지에서 다시 들을 수 있습니다. ▶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3/12 조회수 3,036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