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04건 페이지 103/121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세계 6,681개 싱크탱크 중 국내 1위연구원은 1월 22일 미국 펜실베니아대학 국제관계프로그램 산하 싱크탱크와 시민사회 프로그램(Think Tanks and Civil Societies Program, TTCSP)이 발간한 2014 GLOBAL GO TO THINK TANKS INDEX에서 전세계 6,681개 싱크탱크(세계 Top 150대 싱크탱크, (미국포함)) 중 9계단 상승한 45위로 국내 1위 싱크탱크로 선정되었다. 특히 국제경제정책 부문 15위에서 2계단 상승한 13위로 국내 1위를 기록하여 글로벌 경제정책연구기관 본연의 과업을 충실히 수행하였음을 입증하였으며, 외교정책과 국제관계 부문에서는 2014년 처음으로 순위에 등극하여 국내 1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싱크탱크의 중심지인 미국을 제외한 세계 Top 100대 싱크탱크에서는 49위로 국내 2위를 기록하였다.* 보도자료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1/23 조회수 1,631
-
중국 국무원발전연구중심 대표단 연구원 방문웨이지아닝(魏加宁) 중국 국무원발전연구중심(이하 DRC) 대표단 부부장, 후지앙윈(胡江云) 중국 DRC 주임, 짠메이(湛美) 중국 인민대학 부주임, 양쿤(杨坤) 서남재경대학 금융학 박사가 1월 21일(수) 오전 10시 30분 연구원을 방문하였다. 정철 아시아태평양실장은 연구원 2층 회의실에서 최필수 중국팀장, 이승신 중국팀 박사, 노수연 중국권역별성별연구팀 부연구위원, 김정곤 협력정책팀 부연구위원, 나승권 협력정책팀 전문연구원과 함께 웨이지아닝 부부장을 만나 의견을 나누었다.웨이지아닝 부부장은 중국의 자유무역지대 추진 현황을 설명하고, 특히 회의 내내 한국의 경제자유구역 정책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향후 금융 개방화 발전방안과 관련하여 양 기관의 상호 교류를 통해 양국의 경제발전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중국 DRC 대표단은 중국의 자유무역지대 발전방향과 관련하여 벤치마킹할 해외 사례를 연구하고 있으며 이런 활동의 일환으로 연구원을 방문하였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1/21 조회수 1,820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100대 싱크탱크 경제·산업 부문 2위우리 연구원은 한경비즈니스에서 선정하는 100대 싱크탱크 경제·산업 부문에서 2위에 올랐다. 작년에 4위에 올랐던 연구원은 연구의 질과 연구 역량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면서 2계단 오른 2위에 랭크되었다.경제·산업부문 1위에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랐으며,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2위, 삼성경제연구소가 3위, 한국금융연구원이 4위에 올랐다. 한경비즈니스는 올해로 7년째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를 조사하고 있으며, 국내 싱크탱크들을 경제·산업, 정치·사회, 외교·안보, 여성·노동, 환경 등 5개 부문으로 나누어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연구원, 교수)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순위를 매겨 발표하고 있다. * 관련기사 바로가기 * 2014년 100대 싱크탱크 순위 관련기사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1/19 조회수 2,241
-
이일형 원장, 서울경제 '유가하락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주제로 기고우리 연구원 이일형 원장의 기고문이 1월 14일자 서울경제에 게재되었다. 유가하락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된 본 기고에서 이일형 원장은 유가 하락은 세계 경제와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일형 원장은 유가 하락은 산유국에서 석유 수입국으로 소득을 이전하는 효과가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 원장은 또한 소득이전에 따른 산유국 소비감소보다 석유 수입국의 소비증가가 더 클 것이기 때문에 유가 하락은 세계 경제의 성장동력으로 작용해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을 0.7% 포인트 끌어올리는 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하였다. 나아가 경제혁신3개년계획에 발표된 구조개혁의 강한 집행과 이를 뒷받침하는 거시정책을 병행한다면 한국경제의 4% 성장도 가능하다고 전망하였다. * 관련기사 바로가기 * 이일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1/19 조회수 2,261
-
이재호 전문연구원, '한·베트남 FTA 타결과 한·ASEAN FTA의 과제' 주제로 기고우리 연구원 동남아대양주팀 이재호 전문연구원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간하는 월간지 "함께하는FTA 1윌호"에 한·베트남 FTA 타결과 한·ASEAN FTA의 과제를 주제로 기고를 하였다. 기고문 주요 내용은 한·베트남 FTA 타결의 주요 내용 및 효과, 한·ASEAN FTA에 대한 함의 등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함께하는FTA 1월호(통권 제32호, 10페이지 이슈포커스)에서 볼 수 있다.* 기고문 바로가기 * 이재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동남아대양주팀 전문연구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1/19 조회수 1,732
-
이권형 팀장, '저유가 새 중동진출 계기 삼아야' 제목으로 아주경제 기고우리 연구원 이권형 아중동팀장은 1월 18일 저유가 새 중동진출 계기 삼아야를 제목으로 아주경제에 기고를 하였다. 이권형 팀장은 최근 유가 하락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지만 현지시장 환경 변화에 맞춰 새로운 중동 진출 전략을 마련함으로써 중동을 기회의 시장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자세한 기고문은 아주경제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기고문 바로가기* 이권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아중동팀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1/18 조회수 1,724
-
양평섭 북경소장, '한·중 FTA의 의미와 남은 과제' 주제로 기고우리 연구원 북경사무소 양평섭 소장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간하는 월간지 "함께하는FTA 1월호"에 한·중 FTA의 의미와 남은 과제를 주제로 기고를 하였다. 양평섭 소장은 한·중 FTA가 관세·비관세장벽의 제거로 경제·비경제적 교류가 확대된다는 의미가 있으며, 향후 조속한 발효와 추가 협상, 그리고 철저한 점검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고 보았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함께하는FTA 1월호(통권 제32호, 14페이지 커버스토리)에서 볼 수 있다.* 기고문 바로가기* 양평섭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 소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1/17 조회수 1,391
-
이일형 원장, 문화일보 '기업 해외진출 활성화' 좌담우리 연구원 이일형 원장이 참석한 기업 해외진출 활성화 좌담이 문화일보 1월 13일(화) 지면 19면에 보도되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일형 원장, 강호갑 중견기업연합회 회장, 김위철 현대엔지니어링 사장, 박혜린 바이오스마트 대표가 참석한 이번 좌담은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경제외교 성과 확산 방안을 짚어보기 위해 마련되었다.이일형 원장은 기업의 해외진출 확대를 위해서는 해외진출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소기업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 원장은 또한 한중 FTA 타결에 따라 중국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내 우리 기업 애로 해소 담당 기관 지정 등이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기도 하였다.자세한 좌담 내용은 문화일보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좌담 내용 바로가기 * 이일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1/13 조회수 1,885
-
이일형 원장, 헤럴드경제 '광복 70년, 산업 70년: 경제, 산업 그리고 삶의 변화' 지상대담우리 연구원 이일형 원장은 1월 12일(월) 헤럴드경제와 현대경제연구원의 신년 공동기획 광복 70년, 산업 70년: 경제, 산업 그리고 삶의 변화 시리즈의 마지막 지상대담에서 2015년 우리 경제가 풀어나가야 할 과제들을 분석하였다. 이일형 원장은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R&D 투자의 효율성 개선과 노동참여율 증가를 강조하였다. 이 원장은 또한 우리 기업들이 국내외 시장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정부가 조력하고 기초학문과 R&D 투자를 제공해야 하며 질서 있는 시장경제 조성과 규제 개혁,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한 역외투자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대담에는 이일형 원장 외에도 하태형 현대경제연구원장, 김도훈 산업연구원장이 참여하였으며, 자세한 대담 내용은 헤럴드경제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 관련기사 바로가기 * 이일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1/13 조회수 2,268
-
정형곤 부원장, '통일 논의와 실현방안 세미나'에서 지정 토론우리 연구원 정형곤 부원장은 12월 19일(금) 오후 2시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개최된 "통일논의와 실현방안" 세미나에 지정 토론자로 참석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그동안 크게 인식하지 못했던 주변국의 통일 편익을 고찰하고 우호적인 국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국민경제자문회의,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정형곤 부원장은 "통일논의, 무엇이 부족했나?"를 주제로 한 제1세션에서 토론자로 참석하였으며, 이날 행사에는 조동호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 원장, 현정택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김주현 통일준비위원회 경제분과위원장 등의 전문가들이 참석한 바 있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12/23 조회수 2,175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