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연구컨소시엄
APEC 연구 시리즈
전체 2,892건 현재페이지 119/290
-
중국정부의 행정제도와 행정자원 및 정책수단에 관한 연구
중국은 그동안 서구가 설정한 Global Standard를 추종하던 지위에서 2010년부터 중국식 방식을 설정(rule-setter)하려는 핵심 행위자로 부각되고 있다. G2로 급부상한 중국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핵심 행위자인 중국 중앙..
김윤권 외 발간일 2012.12.31
경제전망, 정치경제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목적
가. 연구의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범위)
가. 연구의 대상
나.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기대효과제2장 행정제도와 행정자원 및 정책수단에 관한 이론적 검토
1. 정부의 행정제도
가. 제도
나. 국가기능과 국가기구
다. 중국의 행정제도
2. 정부의 행정자원
가. 행정조직
나. 행정인력
다. 행정예산
라. 행정법규
마. 전자정부
3. 정부의 정책수단
가. 정책수단의 정의
나. 정책수단의 유형
다. 정책수단의 차원
라. 정책수단의 평가기준
4. 본 연구의 접근 틀제3장 중국정부의 행정제도 분석
1. 단일제의 국가원수제도
가. 국가원수제도의 발전과정
나. 국가주석 설치의 회복
다. 국가주석의 직권
라. 국가주석의 임기와 지위
2. 민주집중제와 행정수장책임제
가. 민주집중제 원칙과 정책결정상의 발전
나. 행정수장책임제 원칙과 민주집중제와의 관계
다. 행정수장책임제의 운영 실제
라. 행정수장책임제의 비교적 함의
3. 다위일체 중공주도의 정부결정 및 집행기제
가. 전통적 당정관계의 형성배경
나. 당정관계의 폐단과 당정분리의 함의
다. 당정관계 개혁의 성과와 한계
라. 당정관계와 정책과정의 실제
4. 국무원제의 중앙정부제도
가. 중국 중앙행정부의 성격과 지위
나. 중국정부의 행정기능과 행정기구
다. 중국정부의 정부업무보고
5. 내외결합의 행정감독제도
가. 행정통제의 중요성
나. 행정통제의 유형
다. 중국 행정통제의 한계
라. 중국 행정통제의 변화와 법치화제4장 중국정부의 행정자원 분석
1. 중국정부의 조직
가. 중국정부의 조직 규모
나. 국무원의 행정개혁
다. 중국정부의 조직관리 역량
라. 중국정부의 조직문화
2. 중국정부의 인적자원
가. 중국 공무원 규모
나. 중국 공무원의 개념
다. 중국 공무원제도
라. 중국정부의 인적자원 배치 및 회피제도
3. 중국정부의 예산
가. 중국정부의 예산구조
나. 중국정부의 예산조직 및 기능
다. 중국정부의 예산과정
라. 중국정부의 재정관리개혁
4. 중국정부의 행정법규
가. 중국정부의 입법과 행정 및 사법
나. 중국정부의 행정법규 제정과정
다. 중국정부의 행정법규 변화
라. 중국정부의 행정법규 규범화
5. 중국정부의 전자정부
가. 중국정부의 전자정부 동인
나. 중국정부의 전자정부 추진
다. 중국정부의 전자정부 제약
라. 중국정부의 전자정부 개혁과제제5장 중국정부의 정책수단 분석
1. 중국정부의 정책수단 유형 및 내용
가. 자발적 정책수단
나. 강제적 정책수단
다. 혼합형 정책수단
2. 경제적 규제
가. 중국정부의 경제적 규제의 방식과 유형
나. 중국정부의 기업규제
다. 중국정부의 규제 문제점
라. 중국정부의 규제개혁
3. 사회적 규제
가. 정부규제와 사회적 규제
나. 중국정부의 사회적 규제 발전
다. 중국정부의 사회적 규제정책의 중요 영역과 실현 방식
4. 중국정부의 정책수단에 관한 인식조사 분석
가. 직접행정 정책수단
나. 정부규제 정책수단
다. 시장화 정책수단제6장 결 론
1. 요약
2. 시사점
가. 중국정부 행정제도의 시사점
나. 중국정부 행정자원의 시사점
다. 중국정부 정책수단의 시사점부록
참고문헌국문요약중국은 그동안 서구가 설정한 Global Standard를 추종하던 지위에서 2010년부터 중국식 방식을 설정(rule-setter)하려는 핵심 행위자로 부각되고 있다. G2로 급부상한 중국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핵심 행위자인 중국 중앙정부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종전 거시적이고 정치지향적인 중국연구에서 이젠 보다 중범위적이고 미시적인 수준에서 중국정부에 대한 분석과 이해가 필요하다. 다양하고 복잡한 중국의 행정수요를 충족하고 정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정부는 과연 어떤 제도로 인해 제약과 기회를 부여 받고, 어떠한 행정자원을 동원하여 행정수요와 정부기능을 수행하고, 그리고 어떠한 정책수단을 통해 이러한 행정수요와 정책문제를 접근하고 해결하는지를 분석하고 이해 할 필요성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G2를 실질적으로 이끌어가는 중국 중앙정부인 국무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국무원의 제도, 행정자원, 정책수단을 분석수준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한다.
첫째, 중국 국무원의 행위를 제약하고 또한 기회를 제공하는 행정제도로는 국가원수제도, 민주집중제상의 행정수장책임제도, 다위일체 당주도 정책결정 및 집행기제, 국무원의 중앙정부제도, 내외 결합의 행정감독제도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 제도의 생성배경, 역할, 관계, 변화 등을 분석하고 이해한다. 이러한 행정제도를 분석함으로써 국무원의 작동원리는 무엇이며, 국무원의 행정행위가 어떠한 범위에서 제약을 받고 권한과 역할은 어떠한 기회와 책임을 부여 받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중국 행정자원은 조직, 인적자원, 예산 및 재정, 행정법규, 전자정부를 통해서 중국정부의 행정자원의 규모, 특징, 역량, 관리, 개혁 등을 분석하고 이해한다. 국무원의 조직규모는 기구수와 조직계층별(부위, 국가국, 직속기구, 판사기구)의 규모와 변화를 통해 개혁개방 이전에는 중국정치와 경제의 회오리 속에 규모의 변화 진폭이 상당히 컸으나 개혁개방 이후는 정규적인 국무원 개혁을 통해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고 있다. 인적자원은 종전 혁명간부, 기술관료에서 일반관료로 변화고 있으며, 2006년 시행된 공무원법은 수천 년간 내려온 인치에서 법과 제도화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중앙정부의 인적관리에 혁신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으며, 그만큼 국무원 역량은 높아질 것이다. 예산 및 재정은 종전 통일수지통일지출에서 책임제, 분세제로 전환하면서 중국 재정관리제도는 수입과 지출 관리에 합리성과 투명성이 제고되고 있다. 중국정부의 재정수입과 지출은 2011년 10조 위안을 넘긴 상황이며, 재정지출의 합리성과 우선순위 배정은 중국정부가 향후 어느 분야와 기능에 역점을 두고 있는가를 이해할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이다. 이어서 중국정부의 행정법규 제정은 전국인대와 상무위원회의 지시와 감독을 받지만 국무원의 행정법규 역량은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또한 개혁개방 이후 생산기능 관련 행정법규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는 사회주의 시장경제 추진의 뒷받침을 위한 당연한 책무의 결과로 판단된다. 현대 행정자원은 전자정부를 통해서 행정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중국 전자정부의 추진과정은 12금정 등을 통해 꾸준히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글로벌 수준의 전자정부 관련 각종 지수는 한국을 비롯한 전자정부 선진국에 비해 낙후한 상황이다. 그러나 중국정부는 전자정부의 제약요인을 극복하면서, 그리고 권위주의 정권을 유지하는 차원에서도 지속적으로 전자정부의 순기능에 주목할 것이다.
셋째, 중앙정부인 국무원의 제도와 정책을 구현하기 위해 행정자원을 사용하고 이를 어떠한 방식이나 테크닉으로 해결할 것인가가 정책수단 또는 정부수단인데, 한국 행정에서는 2000년 초부터 연구가 활성화되었으나, 중국은 최근에야 비로소 부각되고 있어 아직 정책수단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하다. 그러나 접근 가능한 자료를 통해서 중국 정책수단을 자발적 수단, 강제적 수단 그리고 혼합적 수단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어서 중국정부의 경제적 규제를 진입규제와 가격규제를 중심으로 사용하고, 규제 대상은 공공시설, 우편서비스, 통신, 라디오, 케이블TV, 위성TV, 교통, 금융, 건설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음을 분석한다. 그러나 중국 경제적 규제는 과용규제와 과소규제의 문제, 그리고 규제자이면서 동시에 독점적인 기업관리자란 이중적 역할에 따라 경제적 규제는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어 향후 규제개혁의 강화가 중국정부의 정부운영과 관리에서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사회적 규제는 그동안 경제성장 일변도에 파묻혀 무의사결정(non decision making)되었지만 “국가는 부자, 인민은 가난”이란 현실 속에서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중국정부의 핵심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사회적 규제는 소비자 보호, 건강과 식품, 공공안전, 환경보호, 불공정경쟁, 천연자원에 대한 다양한 규제 방식을 적용하여 공공복리를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정부의 사회적 규제는 외부효과 규제, 정보편향에 대한 규제, 공공재 규제, 비가치재 규제로 설명하고 있다. 끝으로 중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중국정부의 정책수단에 대한 설문조사의 내용을 통해 직접행정 수단, 정부규제 정책수단, 시장화 정책수단을 주로 어떠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정부의 행정제도, 행정자원, 정책수단을 입체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중국정부는 어떠한 제도적 원리, 제약, 기회의 틀에서 작동되는지, 중국정부의 행정자원의 역량은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중국정부가 다양하고 복잡한 행정수요와 정책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어떠한 정책수단을 활용하고 있는지를 분석․설명하고 있다.
13억 인구와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거대한 중국이 어떻게 수많은 갈등과 다양하고 복잡한 행정수요와 정책문제를 해결하고 G2로 부상하고 있는가를 이해하기 위해 중국정부의 행정제도, 행정자원, 정책수단을 연구하고 비평을 한다면 현재 지나치게 서구 중심의 행정관리나 정책연구에 치중하고 있는 한국의 행정이나 정책연구에서 얻지 못한 대안이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또 다른 시각과 접근 그리고 해결 대안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시진핑 시대 중국의 미래 전망과 대응 전략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 경제는 성장세의 둔화가 예상되며, 이로 인해 각종 사회, 정치적 문제점을 노출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중국 내부의 문제일수도 있으나 우리나라 정치․경제에게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본 보고서는 시진핑 ..
이재호 외 발간일 2012.12.31
경제전망, 정치경제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주요 연구 내용 및 연구방법
가. 연구의 범위
나. 연구의 주요 내용
다. 연구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연구기대효과 및 활용제2장 시진핑 시대의 중국 환경 분석
1. 거시환경 분석
가. 글로벌 환경 변화
나. 글로벌 환경 변화에 따른 중국의 거시환경 분석
다. 중국발 위험요인
2. 중국 행정체제 분석
가. 행정환경 분석
나. 정부조직개편 통한 위험요인 분석
다. 후진타오와 시진핑 리더십 비교 분석제3장 시진핑 시대 중국 위험 요인의 정량분석
1. 위험요인 분석을 위한 요인추출
가. 위험요인 추출을 위한 사전조사
나. 정부업무보고 가치빈도어 분석결과
다. 공산당대표대회보고의 가치빈도어 분석결과
2. 위험요인 추출제4장 한국의 대응전략
1. 중국에 대한 가치 재인식에 따른 대응방식 변화
가. 이공계 기술관료→ 법상경계 사회과학관료
나. 세계공장 → 세계 경제성장의 엔진
다. 저임금 소비자 → 소비강국으로 부상
라. 낮은 과학기술+ 저급인력 → 전문화된 과학기술체계+고급인력
2. 시진핑시대 예상 시나리오
가. 시진핑시대를 가늠할 두 가지 핵심변수: 경제성장 + 체제변화
나. 유형별 시나리오
3. 한국의 대응전략
가. 시나리오에 따른 한국의 대응전략
나. 한국정부의 중국 위험관리전략
다. 대안 계층 분석 및 종합제5장 결 론
참고문헌
국문요약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 경제는 성장세의 둔화가 예상되며, 이로 인해 각종 사회, 정치적 문제점을 노출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중국 내부의 문제일수도 있으나 우리나라 정치․경제에게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보고서는 시진핑 이후 10년 간 중국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내부 위험요인을 정치, 행정, 사회 분야로 구분하고 분석하고 한국의 대응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반적으로 글로벌 속의 중국발 위험요인은 사회적으로 세대 간 갈등 심화에 따른 외국인 배척, 급속한 노령화와 경제성장의 경착륙, 신종사이버 범죄 증가와 한국 피해 급증, 한중간 가치관의 대립, 과학기술에서는 정부 조달에 있어 외국산(한국산) 제품 배제, 과학기술의 상업응용이 한국보다 앞서 시행할 가능성, 경제에서는 한국에 대한 부품의존도 극소화, 내수시장 진출의 어려움, 미중무역 분쟁에 따른 경제 여건 악화, 중국소비자 가치행태 변화, 환경분야에서는 환경세 및 환경책임 보험제도의 도입 등 환경규제 강화, 이에 따른 한국기업의 진출을 통제하거나 제한하는 수단으로 활용, 식량안보문제 발생, 정치․행정 분야에서는 중국의 패권적 외교정책, 민족주의 고양, 군사 강대국화 등이 있다
정부조직개편을 보면 어떤 행정환경이 변하고 있는지, 정부가 당면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우리는 후진타오 정부시대의 조직개편을 통해 중국이 당면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여기서 위험요인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인력이 크게 증가한 곳은 농업, 철도, 금융․교통, 수리부 등 인프라 건설과 관련된 곳이 많다. 당시 중국의 경제발전의 안정적인 고도성장을 위해 내수부양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내수부양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인프라 구축이 필요했고, 이에 따라 이와 관련된 정책기획 인력이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인프라 구축은 중국 농촌의 도시화를 가져왔다는 긍정적 효과도 있으나, 반면 부동산 버블에 따른 소득양극화, 또 철도부장 류즈쥔 사건에서 보듯 인프라구축과 관련되어 고위공직자 뇌물 등 부패라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부패문제와 관련해서 부패예방국과 국가공무원관리국을 신설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또 에너지 위기와 새로운 사회문제로서의 안전에 관한 대응을 위해 관련 부처가 신설되었다. 중국 정부조직개편에서 보면 소득양극화, 부패, 에너지 위기, 안전 등이 중국의 위험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다.
리더십 측면에서 후진타오와 시진핑 리더십을 분석해 보면 순종, 원만한 인간관계, 청렴성, 업적, 사회적 배경(학력, 집안)을 골고루 갖춘 인물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수행하도록 하여 최고지도자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보면 그동안 중국의 변혁적․창조적 리더에서 관리형․화합형 리더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이번 당대표대회에서 보듯 원로그룹이 막후에서 여전히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있어 시진핑이 집권하더라도 리더의 전환에 따른 위험요인 발생은 과거 보다 매우 낮다고 판단되어 진다.
당대표대회 및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찾아낸 중국 사회발전의 위험 요인은 대내․대외측면으로 구분하여 추출하였다. 대내측면에서는 신용대출의 과다, 국제수지 불균형, 경제 구조적 문제, 투자와 소비의 부정합성, 제조업 편중, 환경문제, 창조성 결여, 농업기초 취약, 농민 소득, 도시간 격차, 물가상승, 통화팽창, 식품가격 상승, 부동산 가격 상승, 취업, 사회보장, 교육, 의료, 수입격차, 식품안전, 생산물 안전, 사회치안 등이 있었다.
대외 측면에서는 국제금융시장의 위험, 식량가격 상승, 에너지 위기, 무역보호주의 등의 단어를 찾을 수 있었다. 끝으로 중국정부 약점요인으로는 사회관리와 공공서비스 취약, 비효율성, 공무원의식, 권력남용, 형식주의, 관료주의, 부패 등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 문제가 되고 있는 부패문제와 정부개혁이 내부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는 선행연구에서 위험요인을 추출하였다. 정부업무보고는 경제와 사회발전 부분에 편중되어 있어 정치분야에 대한 내용은 거의 없어 이들 부분에 대한 위험요인을 찾는데는 한계가 있었으며, 정치 분야의 내용은 당대표대회 내용을 분석하거나 선행연구를 통해서 위험요인을 추출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지도부 변화 및 성향, 당내 민주화, 직접선거, 다당제 등 정치개혁, 경제자유화, 개방화, 민영화, 위안화 절상 등과 같은 경제개혁, 호구제 폐지 등 제도개혁 등이 핵심 요인이 될 것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포스트 후진타오, 정부의 균형발전 정책강도, 소득 향상에 따른 민주화 요구 증가 등은 중국 미래의 Key로 보고 있다.
중국의 경제 및 정치적 위상을 고려할 때 중국의 정책 및 사회 변화는 우리경제의 핵심적인 위험 및 기회요인이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수출국이자 수입국으로 위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진핑 집권 후 한중FTA체결 등 양국 간 경제협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 경제는 성장세의 둔화가 예상되며, 이로 인해 각종 사회, 정치적 문제점을 노출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중국 내부의 문제일수도 있으나 우리나라 정치․경제에게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요인을 찾아내면서 중국전문가들은 중국에 대한 잘못된 가치인식이 한중간의 가장 큰 위험요인이라고 지적하였다. 즉 중국은 이공계 기술관료→ 법상경계 사회과학관료로, 세계공장 → 세계 경제성장의 엔진, 저임금 소비자 → 소비강국으로 부상, 낮은 과학기술+ 저급인력 → 전문화된 과학기술체계+고급인력으로 바뀌었다는 것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그리고 한국 정부가 유심히 살펴봐야 할 위험요인과 이에 대한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1) 경제성장모델에 대한 치열한 노선투쟁, 2) 외부로의 팽창-해양-주변국가와의 마찰, 3) 희토류의 자원무기화, 4) 에그플레이션과 급격한 물가상승에 따른 국민반발 가능성, 5) 지방정부 부실화와 금융권 부채 증가, 6) 소득격차 등이다.
끝으로 중국의 위험관리에 대한 정부 전략으로 중장기 종합계획수립, 부처별 중장기 전략수립, 분야별 중장기 전략수립, 전문조직 신설, 협의체 구성, 부처내 중국업무 조직 강화, 중국종합연구소 건립, 상시예방시스템 구축, 부처별 표준매뉴얼 작성, 분산화된 규정 정비를 제시하였다.
무엇보다도 한국과 중국 모두 집권 교체기에 있다. 중국 정부와 한국정부 2013년 2-3월에 공식출범이 예정되어 있어 이시기에 중국의 변화상황 등을 고려하여 새 정부의 인수위원회, 관계부처, 학계 등이 모여 중국에 대한 전략 수립이 비교적 용이할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종합계획수립은 인수위원회 등에서 비전과 전략수립을 하면서 5년의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비교적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부처의 공무원, 학계 전문가 등이 모여 논의하기에 대통령 당선자 시절이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 한국과 중국은 5년 단위로 정권이 바뀌기 때문에 한번 계획수립이 되면 일관성 있게 추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직 측면에서 새로운 조직신설을 위해서는 많은 물적, 인적 자원이 요구되므로, 현재 중국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부처내 조직들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예산과 인력지원을 보다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운영에 있어 상시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현재 중국의 위험요인에 대한 우리의 대응전략은 중장기 종합계획수립하고, 이를 개별부처의 중국관련 조직에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대처하는 방안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
한․중 인적자원개발 제도 및 정책과 동반발전방안 연구
중국은 세계 최대의 인구(인적자원) 보유국이며, 한․중 수교 이후 우리 기업의 진출 및 현지 인력 활용과 중국 근로자․유학생들의 국내 유입 등 상호 인적자원 분야의 교류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인적자원의 개발과 활용을 대대적으로..
강일규 외 발간일 2012.12.31
경쟁정책, 노동시장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방법
가. 문헌 및 자료 조사 분석
나. FGI 및 심층면담
다. 전문가협의회제2장 한․중 인적자원개발 관련 이론적 배경
1. 한․중 인적자원개발 비교의 필요성
가. 중국산업의 고도화
나. 한․중 무역의 증가
다. 우수인재 확보 차원
라. 인재경쟁력 차원
마. 중국의 국가경쟁력 차원
2. 인적자원개발 정책 및 제도 분석틀 마련
가.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나. 인적자원개발 영역
다. 한․중 인적자원개발 비교 항목
3. 동반발전의 개념 및 필요성
가. 협쟁(co-opetition)의 의의
나. 동반발전의 개념
제3장 한․중 인적자원개발의 정책 변화 및 인프라 분석
1. 한국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변화 및 인프라
가.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변화
나. 인적자원개발 인프라
2. 중국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변화 및 인프라
가.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변화
나. 인적자원개발 인프라
3. 소결
가. 인적자원개발 정책 측면
나. 인적자원개발 인프라 측면제4장 한․중 인적자원의 양성․배분․활용 현황 분석
1. 한국의 인적자원 양성․배분․활용
가. 인적자원의 양성
나. 인적자원의 배분
다. 인적자원의 활용
2. 중국의 인적자원 양성․배분․활용
가. 인적자원의 양성
나. 인적자원의 배분
다. 인적자원의 활용
3. 한․중 FTA협상과 인적자원개발
가. 한․중간 인력이동에 대한 국가 정책
나. 중국의 FTA 체결 현황
다. 중국의 FTA 양허안
라. 한․중 양국의 DDA 및 FTA 양허안의 시사점 및 추진방향
4. 소결
가. 인적자원의 양성 측면
나. 인적자원의 배분 측면
다. 인적자원의 활용 측면
라. 한․중 FTA 협상 측면제5장 한․중간 인적자원개발 분야 동반발전 방안
1. 한․중 인적자원개발 분야 경쟁․협력 방안
가. 한국의 인적자원개발 전담 또는 총괄 부서의 재건(SO전략)
나. 중국 인적자원개발 지원 및 현지 인적자원개발 사업 참여(WO전략)
다. MRA 공동 운영 및 FTA 자연인이동위원회 공동 운영(ST전략)
라. 인적자원 분야 동북아인류안전공동체 의식 제고(WT전략)
2. 한․중 공동 인적자원개발․활용 방안
가. 인적자원 개발 측면
나. 인적자원 활용
다. 양국간 상호인정 제도 확대
3. 한․중 FTA 협상시 인적자원개발 분야 대응방안
가. 한․중 FTA와 인력이동
나. 한․중 FTA 협상시 인적자원개발 분야 검토사항
다. 한국의 한․중 FTA 인력이동에 대한 대책
4. 정책 제언
가. 인적자원개발 인프라 구축
나. 인적자원 양성 측면
다. 인적자원 활용 측면참고문헌
국문요약중국은 세계 최대의 인구(인적자원) 보유국이며, 한․중 수교 이후 우리 기업의 진출 및 현지 인력 활용과 중국 근로자․유학생들의 국내 유입 등 상호 인적자원 분야의 교류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인적자원의 개발과 활용을 대대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다년간 적극적이고도 효과적인 정책을 준비해 왔으며, 이로 인해 중국의 인적자원 현황은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한․중관계는 수교 이래 괄목할 만한 발전을 하여 정경 분리에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그리고 동북아 지역 협력을 포함하는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 발전하였다. 최근 추진 중인 한․중 FTA 협상은 이처럼 확대된 양국간 경제교류를 질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중국은 2020년까지 점진적인 자본시장 개방을 추진하고 있으므로, 미리 들어가서 현지 인력과 네트워크를 축적하고, 중국의 문화와 제도에 익숙해지는 등 개방됐을 때 기회를 잡을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축해 놓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중 수교 20주년이 되었지만, 한국 사회에 중국을 제대로 아는 전문가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중국 자체가 급변하는 시기라서 특정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순간 이미 과거가 되어 중국의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중국 전문가 육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의 인적자원개발과 직업능력개발 및 직업교육훈련 분야 등에 대한 실태 분석과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한․중 양국간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교류와 경쟁(Competition) 및 협력(Cooperation)을 동시에 추구하는 ‘코피티션(Coopetition)’을 통한 동반발전이 필요하다. 특히, 중국 당국이 다양한 분야에서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정책 및 제도 개선을 통한 국가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이에 대한 실증적인 실태 파악과 분석을 통해 우리의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수교 이후 인적자원 분야의 양국 간 교류가 급증하고, 중국의 전반적인 국가 발전 전략에서 인적자원 분야에 대한 범국가적 지원과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중국의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제도 및 정책적 변화를 실증적으로 조사․분석하고,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 전략 모색 및 관련 정책의 추진 등 인적자원개발 분야에서 동북아 국가의 상호 발전 추진의 기초연구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중 양국의 인적자원개발 관련 정책, 제도, 현황의 체계적인 분석을 위한 분석틀(정책변화, 인적자원의 양성, 배분 및 활용, 인적자원개발 인프라, 중국 FTA체결 현황 등)을 마련하여, 양국의 국가통계자료, 관련 연구, 법령 및 정책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양국의 인적자원개발 관련 정책, 제도 및 현황 분석을 통하여 한․중 인적자원개발 전략을 크게 경쟁(competition) 전략, 협력(cooperation) 전략, 협쟁(coopetition) 전략으로 구분하여 양국간 상황을 고려하여 순차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한․중 인적자원개발 분야 동반발전의 기본방향
경쟁 전략은 중국과의 경쟁을 통해 비교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한․중 인적자원개발 분야 비교 우위부문을 선별, 이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전략이다. 협력 전략은 중국과의 상호협력을 통해 상생 추구를 위해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상호협력과 교류를 통해 공동이익 및 발전을 추구하는 전략이다. 협쟁 전략은 중국과의 경쟁과 협력을 단정하기보다는 중국의 상황과 조건에 따라 경쟁과 협력을 선택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이다. 이 중에서 중국 인적자원개발의 강점(S)․약점(W)과 한국 인적자원개발의 기회(O)․위협(T) 요인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4가지 협쟁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의 강점을 활용한 기회 포착 차원의 SO전략으로 한국의 인적자원개발 전담 또는 총괄 부서의 재건을 제안하였다. 중국은 인적자원개발을 국가목표로 설정하고 매진하면서 대외적으로 밖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5년여 동안 정부 차원의 인적자원개발 정책이 부재했으며, 관련 연구도 없었다. 이러한 한․중간의 인적자원개발 정책과 연구의 역전은 앞으로 큰 후과를 남길 것으로 판단된다. 시간이 늦기 전에 정부와 연구기관은 관련 정책 추진과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중국의 약점 포착을 통한 기회 확보 차원의 WO전략으로 중국의 인적자원개발 지원 및 현지 인적자원개발 사업에 공동 참여를 제안하였다. 열악한 인적자원개발지수를 지닌 중국을 지원하는 것도 협력 방안의 하나일 것이다. 한국은 1994년 이래 매년 140~590만 달러를 중국에 지원했으나, 교육지원 사업은 집계되지 않았고 공식적으로 적은 편이다. 국제기구, 선진국과 같은 맥락에서 추진해야 할 부분과 국제기구와 선진국이 소극적이거나 우리가 지원할 경우 효율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중국과의 교육 협력사업 과제로 ①우수 교사 양성 및 연수사업, ②초․중등학교의 개보수 및 신축 사업, ③직업교육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④교육기자재 및 설비 지원, ⑤직업교육의 역량 강화 및 균형 발전 등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국의 강점에 대비한 위협 회피 차원의 ST전략으로, MRA(자격상호인정) 및 FTA 자연인이동위원회의 공동 운영을 제안하였다. 중국의 노무수출은 해외의 공사 수주에 따른 노무수출, 중국 기업과 해외 고용주 간의 노무계약을 통한 노무자 파견, 해외투자와 기업 설립을 통한 관리자, 기술자 및 훈련요원 파견, 플랜트 설비와 기술 수출에 필요한 노무자 파견, 개인 스스로의 해외 이주와 취업 등 크게 5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중국의 적극적 노무수출로 인해 해당국으로부터 ‘신식민주의’ 정책 부활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한국으로서는 이러한 문제를 철저히 사전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중국과 인적자원 협력을 할 경우 국내에 필요한 인력자원의 수량과 수준 및 조건(언어 능력, 업무 능력, 법규와 문화 이해 능력 등)을 파악하여 중국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인적자원 송출을 제한하여 요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한․중 FTA에서 자격증상호인정(MRA)이 어떻게 진행될지 모르겠지만 중국으로서는 강력히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중 FTA 협상 과정에서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
넷째, 중국의 약점을 극복한 위협 회피 차원의 WT전략으로 인적자원분야 동북아인류안전공동체 의식 제고를 제안하였다. 세계는 일국 혼자 존재할 수 없고 국제적인 협력, 지역적인 협력, 세계적인 협력을 통해 공존해야 함을 중국에 일깨워주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한․중 인적자원개발 협력의 정신이자 목표이며, 한․중 FTA가 추구해야 할 것도 그것임을 일깨워야 한다. 화해(和諧) 등 그들의 언어로 그들을 깨우쳐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동북아인류안전공동체를 향하여 한 걸음 내디딜 수 있을 것이다.
한․중 공동 인적자원의 개발 및 활용 방안
인적자원 개발 차원에서 중국 전문인력의 양적․질적 확대, 지한파 중국인의 확대, 교사 교류의 확대 등을, 그리고 인적자원 활용 차원에서 정부 차원의 양국 유학생에 대한 현지 기업 취업 지원 및 현지 기업의 양국 유학생 채용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첫째, 중국 전문인력의 양적․질적 확대를 위해 중국관련 인력을 연구자, 전문가, 실무자로 구분하여 이들 인력 양성을 위한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실무자의 경우에 중국 현지에 거주해야 하는 기간이 연구자나 전문가에 비하여 더 길어지게 되므로, 중국어 실력은 물론 중국문화 적응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둘째, 지한파 중국인의 확대를 위해 한국으로 온 유학생에 대한 교육 및 지원의 강화, 중국으로 간 한국유학생의 민간 외교 활동 활성화, 한국어 강사의 중국 파견을 통한 한국어 및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강화 등을 추진해야 한다. 셋째, 한․중 교사교류 사업을 통해 올해 중국어 원어민 보조교사 200명, 한국어 교사 60명이 상호교류하게 되었지만, 중국의 대학은 물론 초중등학교 수를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한 인원이므로, 향후 긴밀한 협력관계 속에서 파견 인력의 확대가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넷째, 한․중 양국으로 교류가 확대되면서 한국 기업의 중국 진출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한․중간 무역규모가 증가하여 왔다. 더불어 양국간 유학생도 크게 늘어나고 있어, 이들 유학생들이 현지 기업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즉, 중국내 한국유학생이 중국 현지 기업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한국내 중국유학생이 한국 현지 기업으로 취업할 수 있는 취업지원제도가 필요하다.
더불어, 양국간 인적자원의 교류 확대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양국간 상호인정제도의 확대, 즉 양국간 직업교육훈련의 표준화, 공동학위 제도의 확대, 국가자격의 상호인정제도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첫째, 양국 정부 차원에서 공동학위제 운영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국가 또는 민간 차원의 대표기구를 통해 한․중 공동 학위제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기구를 통해 양국 대학간 교류사업을 확대하고, 중국내 한국사무소(주요 지역별)를 설치함으로써 재중 한국유학생에 대한 지원은 물론 중국의 우수학생을 국내로 유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양국간 직업교육훈련 표준화를 위해 직업교육훈련 정책협의회의 구성 및 정기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공동 개발 및 운영, 직업교육훈련 직종 및 훈련기간의 공동 개발 및 운영, 직업교육훈련 내용과 방법에 대한 공동 개발 및 활용, 직업교육훈련 교재의 공동 개발 및 교원의 공동 양성과 교류, 직업교육훈련 시설과 기자재의 상호 지원, 직업교육훈련 기관간 교류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양국 간 국가자격증 상호 인정 체계 마련을 위해 국가자격증 정책협의회의 구성 및 협의의 정례화, 국가자격증 시행 정책의 공동 개발과 운영, 국가자격증 담당 부서별 교류 협력, 장기적으로 국가자격증 공동 인증제의 시행 등을 추진해야 한다.한․중 FTA 협상시 인적자원개발 분야 주요 검토사항
한국은 인적교류·인력수출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국내 산업인력과 관련한 조사뿐 아니라 중국의 최근 산업, 고용동향 등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FTA 협상에 임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중 FTA에서 인력이동을 위한 방향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한 고려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첫째, 양국의 인구층 변화가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인 시각에서 인력유입·진출을 허용하는 것은 자칫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향후 경제활동인구 감소에 따른 청년층 부족으로 고용상황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고,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노동력 부족현상을 심각하게 겪고 있으며, 농촌지역에서는 이미 다민족 사회가 구축되고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자격에 대한 한․중의 인식 격차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각 국가의 경제사정, 산업환경, 문화적 차이 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단순히 자격을 상호인정하기 위해 협상을 하기보다는 그 전에 다른 국가로 진출하기 위해 어떠한 교육과 능력이 필요한가를 우선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다른 국가의 노동관행 및 근로환경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조사·분석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경우 과거와 비교하였을 때 인건비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지만 중국 노동관행 및 근로환경에 대한 정보가 없다면 취업을 하더라도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장기간 근무를 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다. 넷째, 인력교류·인력수출의 마이너스 효과가 나타나지 않도록 높은 수준의 교육과 훈련을 시행함으로써 양질의 인력을 육성하여 해외로 진출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중국의 고급인력을 유치할 수 있는 한국만의 강점은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더 나아가 해외인력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과 정책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한․중 인적자원개발 분야 교류․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제언
우선 인적자원개발 거버넌스 협력, 인적자원 정보망 공동 활용, 지역 인적자원개발(RHRD) 정책의 교류, 한․중 공동 온라인 직업교육 시스템 구축 등의 인적자원개발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첫째, 인적자원개발 거버넌스 협력을 위해 중국 전문인력 수요분석에 기초한 관련 부처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체제 구축 및 한․중 부문별 공동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한․중 연구기관간 협력체제와 거점 구축⋅강화, 한․중대학간 자매결연에 토대를 둔 대학간 공동연구 활성화, 한․중 양국의 상호 이익분야 선정 및 공동 플랫폼 구축을 통한 국제협력의 효과 극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적자원 정보망 공동 활용을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국가자격체계(KQF) 등의 노하우 공유를 통한 한․중간 상호표준(안) 마련 및 종합관리시스템 구축, 산업, 직업, 고용부문의 통계 공유 및 양국의 경제발전 기초자료 활용, 각 부문별 지한파, 지중파 전문가 POOL 구축 및 활용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 인적자원개발(RHRD) 정책의 교류 활성화를 위해 지역 단위에서의 RHRD센터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하고, 지역간 인적자원개발 협의회 구성 등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한․중간 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에 관한 공동개발 및 운영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한․중 공동 온라인 직업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해 중장기적으로 원격 직업교육훈련 분야에 대한 시장 진출 및 상호 공동의 노력이 요청된다.
교육훈련기관에서의 인적자원 양성 차원에서 첫째, 학점교류, 그리고 공동학위제인 한국의 3+1, 중국의 2+2를 대폭 강화하고 연구비도 제공하여 전문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연구비 제공에 있어서는 중국 진출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전문인력의 양성에 앞서 중국사회 이해와 관심을 증대시키기 위해 한․중의 초중등교육기관간 교류협력을 적극 지원하는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의 중국 관련 학과를 특성화하여 중국전문인력 양성의 인프라를 확고히 다질 필요가 있다. 넷째, 동반발전의 관점에서 우리 대학과 중국의 대학이 공동으로 외국 유학생을 유치하고 교육프로그램을 상호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전공의 개발과 투자가 필요하다. 다섯째, FTA 등을 통해 중국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진출을 모색하는 산업분야를 선정할 때 관련 직업교육훈련 서비스가 패키지로 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원격훈련, 가상훈련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원격직업교육훈련 서비스에 대한 투자와 육성이 필요하다.
자격의 상호인정은 한․중간 국경을 초월한 직업 및 산업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국내 인력과 관련 산업의 보호 차원에서 면밀한 검토와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처음부터 무리하게 서로 성격이 같은 자격을 상호인정하기보다는 상호간 자격의 내용과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가 자격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자격양식을 개발하여 중국에서도 자격소지자가 자신의 직업능력을 대한 공정한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먼저 구축해야 한다. 둘째, 중국 노동시장에서 취업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기제로 작동 가능한 우리 자격을 발굴하거나 중국 시장에서 통용 가능한 국제자격을 조사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인적자원의 활용 활성화를 위해 고급인적자원 양성기관과의 MOU를 통한 공동기술개발 및 우수 인적자원의 교류, 한․중 대학의 석․박사과정생, 박사후과정생의 교류프로그램에 대한 지원 확대, 직업계 고교와 대학 중심의 중국 전문인재 양성 체제 구축, 교사 및 교수의 교류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
한·중 인력이동과 전문외국인력 활용 및 여성관리인력 활용비교
본 보고서는 한중 인력이동 및 전문인력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탐색적 연구라 함은 한중 전문인력 노동시장이나 전문인력의 이동과 활용에 관한 연구가 매우 초보적이어서 기본적인 소개도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본 연구가 진행되..
배규식 외 발간일 2012.12.31
경제개방, 노동시장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문제의 제기
2. 전문외국인력 활용에 관한 이론적 논의
가. 중국 베이징 1차 면담자
나. 상하이 면담자
제2장 한국과 중국의 전문외국인력 제도와 정책
1. 한국의 전문외국인력제도와 정책
가. 비자체계와 전문외국인력 제도
나. 분야별 전문외국인력 유치 지원제도
2. 중국의 전문외국인력 제도와 정책
가. 중국의 전문인력 육성정책
나. 중국내 전문외국인력 정책
제3장 한국과 중국의 전문외국인력 활용현황
1. 한국의 전문외국인력 활용현황
가. 비자유형별 전문외국인력 유입현황
나. 한국의 전문외국인력 활용실태
2. 중국의 전문인력 노동시장 현황
가. 중국 내 외국인력 개괄
나. 중국의 전문인력 노동시장
다. 중국의 전문외국인력 현황
제4장 한중 양국 전문인력의 상대국 진출 현황
1. 중국 전문인력의 한국취업실태
2. 한국 전문인력의 중국취업실태
가. 중국 전문인력 노동시장에서 한국인 전문인력 수요
나. 중국내 한국인의 체류와 중국전문인력 시장의 진출 현황
다. 한국인 신규 대졸자의 중국 취업에 있어서 제도적 장벽
라. 중국 노동시장에서 한국인들의 경쟁력과 취업경로
마. 한국인 대졸자의 중국 취업의 성공적 사례분석
제5장 한중 전문인력의 이동과 교류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1. 외국 전문인력 활용과 국내 전문인력의 해외진출 정책
2. 한중 전문인력의 이동과 활용 비교
3. 한국의 전문인력 중국 진출 및 중국전문인력 활용을 위한 정책과제
참고문헌국문요약본 보고서는 한중 인력이동 및 전문인력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탐색적 연구라 함은 한중 전문인력 노동시장이나 전문인력의 이동과 활용에 관한 연구가 매우 초보적이어서 기본적인 소개도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본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보고서는 기존 초보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하되 이를 어느 정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여전히 한중 전문인력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나 실태조사를 통해서 수행한 연구가 아니라 면담과 집단면담, 일부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정확한 상을 제대로 드러내고 분석했다고 하기는 어렵다.
선진국에서는 전문인력 연구 특히 전문인력의 이민에 관한 연구가 두뇌유출, 두뇌획득, 두뇌순환 등의 연구로부터 시작하여 전문인력 노동시장, 국제적 이동등 노동시장적인 관점으로 진전되었다. 그런 점에 비하면 한국에서의 전문인력의 국제적 이동에 관한 연구나 관심은 아직 매우 낮은 편이다. 이번에 한중 간의 전문인력의 이동과 활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은 경제적인 교류가 급증하고, 국제적인 분업의 진전 등으로 양국간의 상호의존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인력의 교류와 더불어 전문인력의 교류가 이루어진 것을 평가해 보고, 향후 한중 FTA와 상호 전문인력의 수급불균형을 해결하고 보완하기 위해서 시기적으로 필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두 나라의 전문외국인력의 도입과 활용과 관련된 제도를 각각 살피고 있다. 양국의 제도를 보다 체계적이고 전체적으로 비교하기에는 너무 다양하고 취지가 달라서 일목요연한 표로 비교하기 어려웠다. 중국에 대해서는 중국의 전문인력 정책을 먼저 살펴보는 가운데 중국의 전문외국인력 정책을 알아보았다. 중국에서는 아직도 해외에 유학한 유학생과 중국계 전문인력의 귀환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정책들을 갖추어 놓고 있다. 반면 한국에서는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력, 전문기능인력을 수입하여 쓰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갖추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전문외국인력 노동시장에 대해 각각 외국인 인력의 입국자, 구성 그리고 전문인력의 규모, 국적별 구성 등을 정부의 통계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한국과 중국 양국에서 상대국의 전문인력의 진출 상황을 알아보았다. 한국과 중국 전문인력의 상대국 진출 정도는 아직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중국인 대졸자들이 한국의 전문인력 시장에 진출한 정도는 과학기술분야의 연구활동으로 E3 비자를 받고 입국한 학자들이 일정한 수가 있었고 특정활동 E7 비자를 받고 일하는 일부의 전문직이 있었다. 그러나 중국인으로서 전문인력에 해당하는 E7 비자를 받고 한국에 입국하여 일하고 있는 경우는 대부분 주방장과 요리사로서 실제로는 전문인력이라고 할 수 없었고, 단순히 특정분야의 숙련기능직이었다. 중국인 유학생 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인 대졸자들의 한국 전문인력 시장 진출은 아직 이처럼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것은 아마도 중국에서도 전문인력이 부족한 곳이 많아 중국 내부의 전문인력 수요를 충당하기에도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국인 가운데 한국에서 전문직으로 취업하려는 사람들이 한국의 전문인력 노동시장 사정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접근이 어렵다는 점도 중국 전문인력의 한국 진출을 저해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또한 한국이 특별히 중국의 전문인력이 옮겨와 살 정도로 자녀교육, 삶의 질, 생애전망의 개척에 유리한 곳으로 여겨지지 않기 때문에 중국인 전문인력이 선호하지 않는 점도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국인 대졸자들의 중국 전문인력 시장 진출 또한 중국내 외국인 거주자와 유학생 가운데 한국인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낮은 수준이다. 중국의 전문인력 노동시장에서는 중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쏟아져 나오는 신규 대졸자, 해외유학파들 가운데 귀환자, 외국인 가운데 중국 소재 다국적 기업이나 중국기업에 취업하려는 대졸자 그리고 경력자들이 치열하게 경쟁을 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신규 대졸자(중국 유학생이든 국내 대졸자이든)들의 경쟁력이 이들 경쟁자들의 경쟁력 보다 별다르게 나은 점이 없다는 점도 중국의 전문인력 시장 진출을 어렵게 하고 있다. 한국인 대졸자들은 2000년대 전반기까지 중국의 전문인력 시장을 과소평가하여 취업을 하려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2000년대 후반 이래 유학생 출신,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신규 대졸자, 일부 경력자들이 전문인력으로서 중국기업이나 중국 소재 다국적 기업에 취업하려 해왔지만, 중국의 전문인력 노동시장에 대한 정보, 접근통로, 네크워크가 부족하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중국에 취업하기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도 모르고 취업 자체가 어려웠다. 여기에 중국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제도적인 장벽도 한국인 대졸자들의 중국 전문인력 시장에 진출하는데 추가적인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렇게 한국 대졸자들의 중국 전문인력 시장 진출이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한국 대졸자들 가운데 성공적으로 중국에 취업하여 정착을 하고 있는 유형들을 면담을 통해 정리해 보았다.
한국과 중국 간의 전문인력의 이동과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서, 특히 한국의 신규 대졸자들을 중심으로 중국의 전문인력시장에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한국정부가 해야 할 역할은 아래와 같은 세 가지이다. 하나는 한국의 신규 대졸인력들이 중국의 전문인력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하는 일이다. 반대로 중국의 대졸인력이 한국의 전문인력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한국의 전문인력 시장에 관한 각종 정보도 제대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 하나는 한국을 대표하는 인력회사를 만들어 한국의 대졸인력들과 국내외 일자리를 매칭시켜줄 뿐 아니라, 노동시장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여 취업준비를 제대로 하도록 하는 일이다. 나머지는 한중 FTA나 한국외교협상을 통해 한국의 전문인력이 중국의 전문인력 노동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막는 법제도적인 요인들을 제거하거나 개선하는 일이다.<한국 대졸자의 성공적 중국취업 유형>
유형
특징
현황과 전망
유학생 취업형
중국유학(중고 혹은 대학부터), 중국언어와 문화습득, 중국인 네트워크 구축
다수가 시도도 하지 않음. 준비없이 취업시도 유학생들의 좌절, 일부가 성공, 향후 점진적 증가예상
국내대졸자의 진출형
산업인력공단, 어학연수 등의 기회이용, 중국어, 중국문화 적응 후 기회포착 취업
정보나 준비없이 시도, 대부분 좌절, 일부 성공, 향후에도 어려움, 일부 증가예상
중국 내 한국 기업 취업형
다국적 기업, 중국기업 취업의 곤란 때문에 중국내 한국기업에 일단 취업,경력축적/비자획득 후 중국기업, 다국적기업 진출희망
유학생, 국내대졸자 다수가 시도하지 않음. 주재원들과의 차등대우로 갈등, 향후 중국진출을 위한 대안으로 증가예상
경력자 진출형
국내의 전문분야에서 상당한 경험을 쌓은 후, 초청이나 중국진출노력을 통해 전문경력자로 중국기업/다국적기업 진출
좋은 대우를 받고 있으나 현재 소수에 그치고 있음. 아시아지역 기업이나 다국적기업의 진출을 위한 통로, 향후 점진적 증가예상
퇴직엔지니어초빙형
국내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은 엔지니어들이 퇴직 후 중국기업 초청으로 일정한 기간동안 진출
한국에서 앞선 업종(자동차, 조선, 철강, 제철)에서 일정기간 동안 수요가 있을 것임. 좋은 대우
다음으로 한국 정부가 한국의 전문인력의 중국 진출을 위해서 중국과의 FTA이나 외교협상에서 반영하여 개선해야 할 내용은
■ 중국에서 취업비자인 Z비자를 받기 위한 요건으로 대학졸업 후 2년의 경력을 요구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중국인 대졸자의 취업에 2년 경력을 요구하지 않고 있는 점에 비추어 상호주의 입장에서 특별한 전문성이 요구되는 직종이 아니면 2년 경력 요건을 없애줄 것.
■ 중국에 법인을 설립하지 않고 대표처만을 두고 사업을 하는 항공사들을 포함한 여러 기관들이 Fesco를 통해 인력을 독점 공급받도록 되어 있으나 이들 인력의 질에 비해 임금수준이 높아서 어려움이 많다는 호소가 있는 점을 고려하여 대표처라고 하더라도 사용하는 중국인력에 대한 Fesco의 인력독점권을 없애줄 것
■ 비자 갱신기간이 1년으로 짧아서 많은 번거로움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에 비자갱신기간을 고용계약기간과 연동시키거나 3년에 1회 정도로 연장을 하되 비자갱신 심사기간도 줄여줄 것.
■ 중국의 5대 보험에 대해 보험의 이동성도 없고 보험료 혜택을 받을 수도 없으므로 한국과의 이동성(portability)이 보장되기 전까지는 5대 보험의 강제 가입을 보류해 줄 것.
■ 일본인들과 같이 일시 체류 시 15일 무비자 -
중국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연구
본 연구는 중국 교육정책의 방향과 일선 학교에서의 실제적인 교육 상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초·중·고등학교 단계에서의 교육과정 편성 내용 및 그 실제 운영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헌자료 수집과 분석, 그리고 중..
손민정 외 발간일 2012.12.31
경쟁정책, 정치경제원문보기목차연구 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제2장 중국 국가 교육과정의 특징
1. 기초교육 교육과정 개정 요강(시범 시행)
가. 교육과정 개정의 목표(课程改革的目标)
나. 교육과정의 체제(课程结构)
다. 교과 교육과정 기준(课程标准)
라. 교수·학습 과정(教学过程)
마. 교과서 개발과 관리(教材开发与管理)
바. 교육과정 평가(课程评价)
사. 교육과정 관리(课程管理)
아. 교사 양성과 연수(教师的培养和培训)
자. 교육과정 개정의 조직과 실시(课程改革的组织与实施)
2. 의무교육 교육과정 편성 시범 방안
가. 배양 목적
나. 교육과정 편성의 원칙
다. 교육과정 편성
라. 의무교육 교육과정 편성과 관련된 설명
3. 보통고등학교 교육과정 방안(시범)
가. 교육과정의 목표
나. 교육과정의 체제
다. 교육과정의 내용
4. 교육과정의 실시와 평가제3장 지역별 의무교육 교육과정 편성·운영
1. 베이징시(北京市) 의무교육 교육과정 분석
가. 베이징시 의무교육 교육과정 편성 분석
나. <종합실천활동>의 특징
다. <지역 교육과정>과 <학교 교육과정>의 특징
2. 상하이시(上海市) 의무교육 교육과정 분석
가. 상하이시 교육과정 편성표 분석
나. 상하이시 <종합실천활동>과 <지역 및 학교 교육과정>의 특징
다. 상하이시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 사례
3. 산둥성(山东省) 의무교육 교육과정 분석
가. 산둥성 교육과정 편성표 분석
나. <종합실천활동>과 <지역과 학교 교육과정>
4. 리아오닝성(辽宁省) 의무교육 교육과정 분석
가. 리아오닝성의 교육과정 편성표 분석
나. <종합실천활동> 분석
다. <지역 및 학교 교육과정>
5. 장쑤성(江苏省) 의무교육 교육과정 분석
가. 장쑤성 교육과정 편성표 분석
나. <종합실천활동> 분석
다. <지역 교육과정>과 <학교 교육과정>
6. 기타 성·시 의무교육 교육과정 편성표 분석
가. 지린성(吉林省)
나. 텐진시(天津市)
다. 허베이성(河北省)
라. 충칭시(重庆市)
마. 저장성(浙江省)
바. 광둥성(广东省)
사. 쓰촨성(四川省)
아. 후베이성(湖北省)
자. 후난성(湖南省)
차. 안후이성(安徽省)
카. 윈남성(云南省)
타. 헤이롱장성(黑龙江省)
7. 의무교육 교육과정 종합 분석
가. 지역별 의무교육 교과목의 시수 총괄 비교제4장지역별 보통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1. 국가 수준의 보통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가. 교육과정의 편성 체제
나. 교육과정의 운영
2. 성·시 수준의 보통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가. 베이징시의 보통고등학교 교육과정
나. 상하이시의 보통고등학교 교육과정
다. 장쑤성의 보통고등학교 교육과정
라. 산둥성의 보통고등학교 교육과정
마. 리아오닝성의 보통고등학교 교육과정
바. 지린성의 재중 동포 고등학교 교육과정
3. 보통고등학교 교육과정 종합 분석제5장 결 론
1. 연구 요약
2. 중국과 한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비교
3. 중국 교육과정 분석에서 얻은 시사점 및 향후 과제참고문헌
중국 교육과정 관련 용어 번역표
국문요약본 연구는 중국 교육정책의 방향과 일선 학교에서의 실제적인 교육 상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초·중·고등학교 단계에서의 교육과정 편성 내용 및 그 실제 운영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헌자료 수집과 분석, 그리고 중국 각 지역 개별 학교에 대한 탐방을 통해 얻은 결과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에 집중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중국 정부의 공식적인 교육과정 편성 내용과 그 함의는 무엇인가?
둘째, 중국 정부의 공식적인 교육과정 편성이 성급 단위의 지방 정부에서는 어떻게 다시 조정되는가?
셋째, 성급 단위의 지방 정부에서 편성된 교육과정이 실제 개별 학교에서는 어떻게 실현되는가?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중국의 의무교육은 9년제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의 6-3제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부분적으로 초등학교 5년, 중학교 5년의 5-4제를 시행하기도 한다. 의무교육(초등학교 및 중학교) 단계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는 개설 교과목 및 편성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수업 시수는 범위만을 제시할 뿐 구체적인 과목별 수업 시수는 지방 성·시에서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중앙집권적 교육과정인 동시에 지역 분권화·자율화를 보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초등교육 단계는 종합 교육과정 위주로 편성한다. 초등 저학년에서는 <품덕과 생활>, <어문>과 <수학> 및 <체육>, <예술>(또는 <음악>이나 <미술>) 등을 개설하고, 초등 중, 고학년에서는 <품성과 사회>, <어문>과 <수학>, <과학>, <외국어>, <종합실천활동>, <체육>, <예술>(또는 <음악>이나 <미술>) 등을 개설한다.
중학교 단계는 분과와 통합이 서로 결합하는 교육과정을 편성한다. 주로 <사상품덕>, <어문>, <수학>, <외국어>, <과학>(혹은 <물리>, <화학>, <생물>), <역사와 사회>(혹은 <역사>나 <지리>), <체육과 건강>, <예술>(<음악>이나 <미술>) 및 <종합실천활동>이 여기에 속한다. 학교는 선택과목을 개설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도록 힘쓰고, 의무 교육 단계의 <어문>과 <예술>, <미술> 수업에서는 한자 쓰기 수업을 강화한다.2. 고등학교는 분과 교육과정 위주로 편성한다. 학생들이 기본적인 수준에 도달하였다는 전제 하에, 그들이 개성 있는 발전을 할 수 있도록 교과 교육과정 기준은 수준별로 구성되어야 하며, 필수과목을 편성하는 동시에 다양하고 풍부한 선택과목을 편성하고, 기술 부문 교육과정도 개설한다.
중국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학점제이며, ‘필수’와 ‘선택’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필수’는 고등학교 3년 동안 총 116학점(<탐구형 학습> 15학점, <봉사활동> 2학점, <체험학습> 6학점 포함)을 이수하여야 하고, ‘선택’은 28학점을 이수하여 총학점이 144학점이 되어야 졸업할 수 있다. ‘선택’은 다시 ‘선택Ⅰ’과 ‘선택Ⅱ’로 나뉘는데, ‘선택Ⅰ’은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과 수요에 맞추어 교과 교육과정 기준을 내용별로 분류하고 수준별로 나누어 개설하는 과목이고, ‘선택Ⅱ’는 학교에서 해당 지역의 사회·경제·과학기술·문화 발전의 수요 및 학생의 흥미를 반영하여 개설하는 과목이다.3.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종합실천활동>을 필수과정으로 편성한다. <종합실천활동>에는 <정보 기술>, <탐구형 학습>, <봉사활동>, <체험학습>, <노동과 기술> 등이 있다. <종합실천활동>을 함으로써 실천을 통한 탐구와 창의성을 증대시키고, 과학 연구의 방법을 익히며, 종합적으로 지식을 운용할 줄 아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학교와 사회의 관계를 증진시키고, 학생의 사회적 책임감을 함양한다. 교육과정 시행 과정에서 정보 기술을 강화하고, 학생들이 정보 기술을 이용하는 의식과 능력이 배양되도록 한다.
4. 전체적으로 성급 지방 정부는 국가의 교육과정 편성 방침을 충실히 이행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방 정부의 자율성이 두드러지는 부분도 있는데, 특히 경제적 상황이 좋은 성(省)·시(市)일수록 그 자율성의 정도가 높다. 대표적인 경우가 <외국어> 교과인데, 국가는 기초교육 단계에서 <외국어> 수업시수를 전체 수업시수의 6~8%로 제안하였지만, 베이징시나 상하이시의 경우에는 10%이상으로 배정하였으며, 심지어 같은 성 내에서도 편차가 존재하여, 광둥성의 <외국어> 수업시수는 8.7%이지만, 광둥성의 성도(省都)인 광저우는 그 비중이 9.7%에 달하고 있다.
5. 중국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총론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는 초·중학교의 개설 교과목 및 편성표에서 학년별 총 수업시간을 제시한 반면, 중국은 국가 수준에서 교과별 수업시수 비율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수업시간은 성·시의 교육과정 편성 지침에서 정하도록 하고 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표의 경우에 우리나라는 개설할 수 있는 선택과목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반면, 중국은 국가 수준에서 필수과목은 제시하였으나 선택과목은 지역이나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개설하여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6. 중국 초·중·고등학교의 국가 수준, 지역별, 학교별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가 교육과정 개발 시 참고할 만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년군제를 원활히 운영하기 위한 학기제의 재구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중국 고등학교에서 운영하는 학점제 방식을 도입한다면 교과 운영을 좀 더 탄력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국어 과목을 영어 일변도가 아닌 다양한 외국어로 확대하여 편성하는 방안도 참조할 만하다.
7. 중국의 국가 수준 및 지역별 교육과정이 선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그 기능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후속 연구로 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가 교육과정은 교육 정책의 핵심으로 교과서를 통해 구체화되며, 교과서의 내용은 교사의 수업 과정에서 전달된다. 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교에서는 과목 편성부터 수업 진행까지 어떻게 교육과정을 운영하는지를 후속 연구로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중국 교육과정에서 표방하는 교육 이념과 정책이 제대로 학교 현장에서 구현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아프리카 건설·플랜트 시장특성 분석 및 한국의 진출방안
아프리카의 인프라는 세계에서 가장 열악하다. 도로는 화물과 승객 수송의 80~90%를 담당하는 주요 국가 기간망이지만 포장비율은 20% 정도에 불과하며, 철도 역시 대부분이 식민시대에 건설된 것으로 노후화 정도가 심각하여 제 기능을 다하..
박영호 외 발간일 2012.12.31
경제개발,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ㆍ범위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제2장 아프리카 인프라 현황 및 개발 잠재력
1. 인프라 저개발 현황
가. 운송 인프라
나. 전력 인프라
다. 에너지 인프라
2. 인프라 개발자금 조달구조 및 개발자금 수요
가. 인프라 개발자금 조달구조
나. 인프라 개발자금 수요
3. 잠재적 인프라 수요 측정
가. 분석 방법 및 분석자료
나.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지역의 인프라 결정인자
다. 벤치마킹(benchmarking)을 활용한 잠재수요 분석
4. 인프라 확충 사례: 나이지리아
가. 운송 인프라
나. 전력 인프라
다. 에너지 인프라
5. 인프라 개발 잠재력
가. 경제개발과 도시화: 수요 측면
나. 자원개발 붐: 수요 측면
다. 국제사회의 인프라 개발자금 지원: 공급 측면제3장 주요국의 아프리카 건설시장 진출 현황 및 특징
1. 중국
가. 진출 현황
나. 주요 분야별 진출 사례
다. 진출 전략 및 특징
2. 프랑스
가. 진출 현황
나. 기업별 진출 사례
다. 프랑스 건설기업의 아프리카 진출 전략 특징
3. 일본
가. 아프리카 건설ㆍ플랜트 진출 현황
나. 주요 분야별 진출 사례
다. 진출 전략 및 특징
4. 미국
가. 미국 해외건설업체 현황
나. 아프리카 건설시장 진출 현황
다. 미국 건설기업의 아프리카 진출 특징제4장 한국의 아프리카 건설수주 현황 및 애로요인
1. 아프리카 건설수주 현황 및 특징
가. 건설수주 추이
나. 국가 및 분야별 수주 실적
2. 진출 성공 사례
가. 알제리: 신도시 개발
나. 나이지리아: 석유ㆍ가스 생산시설공사
다. 앙골라: LNG 플랜트
라. 이집트: 벤젠 생산시설
3. 진출(관심) 이유 및 진출상의 애로사항
가. 아프리카 진출(관심) 이유 및 주요 고려사항
나. 진출 여건 및 애로사항제5장 한국의 진출확대방안
1. 분석 내용 요약 및 한국에의 시사점
가. 분석 내용 요약
나. 한국에의 시사점 및 진출방향 도출
2. 금융지원: 해외 금융기관 활용
가. 필요성
나. 협조융자 사례
3. 전략적 제휴를 통한 협력 진출
가. 필요성
나. 외국 건설업체와의 협력 진출
다. 자원 메이저와의 협력 진출
4. MDB 차관사업 수주
가. MDB 차관 규모
나. MDB 사업 수주방안제6장 맺음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정책연구브리핑아프리카의 인프라는 세계에서 가장 열악하다. 도로는 화물과 승객 수송의 80~90%를 담당하는 주요 국가 기간망이지만 포장비율은 20% 정도에 불과하며, 철도 역시 대부분이 식민시대에 건설된 것으로 노후화 정도가 심각하여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항만 및 공항 시설 역시 크게 낙후되어 있어 경제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다. 전력 인프라 또한 그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은데, 사하라이남 지역의 경우 인구는 8억 명에 달하고 있지만 발전능력은 인구 4,500만 명의 스페인보다도 적으며, 이것도 남아공을 제외하면 아르헨티나와 비슷해진다. 더욱이 전력설비가 크게 노후화되어 1/4 정도는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30여 개국에서는 매일 정전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막대한 규모의 경제적 손실을 겪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정치적 안정과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에다가 자원개발 붐과 국제사회의 인프라 개발자금 지원이 결부되면서 아프리카에서 새로운 건설수요가 창출되고 있다. 많은 아프리카 국가의 건설부문 성장률이 경제성장률은 물론 다른 산업의 성장률을 크게 상회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앙골라, 수단, 알제리, 콩고(DRC) 등 자원부국을 중심으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국가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공공투자 계획을 보면 교통 및 전력 인프라 등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산유국들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축적한 오일머니 재원을 바탕으로 산업기반시설 확충에 나서고 있어 고부가가치 산업인 플랜트 건설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높은 경제성장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건설 수요가 이에 비례하여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적인 경제전문기관인 「The Economist」는 머지않아 아프리카의 경제성장률이 아시아의 경제성장률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하며 향후 5년간(2011~15년)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성장을 시현할 10개국에 아프리카 7개국이 포함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인프라 수요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아프리카의 도시화는 다른 개도국 지역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 2040년경에는 인구 100만 이상의 도시가 100개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자원개발에 따른 건설수요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자원 확보 경쟁이 가열되면서 아프리카 자원개발 붐이 탄력을 받고 있는데, 오는 2020년경에는 외국자본이 대거 몰리면서 아프리카가 전 세계 석유생산의 30%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처럼 아프리카 자원개발 붐이 본격화되면서 도로, 철도, 항만 등 교통 인프라는 물론 전력설비, 정유시설, 송유관, 해양 플랜트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 플랜트 건설 수요가 확산되고 있는데,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10~35년간 아프리카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과 관련된 인프라 개발시장 규모가 2.1조 달러(연간 830억 달러 이상)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프리카에 가장 공세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국가는 중국으로 대규모의 원조 공세를 앞세우며 인프라 건설시장을 사실상 석권해 나가고 있다. 아프리카 건설시장은 전통적으로 유럽 기업들이 선점해 왔으나,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중국 업체들이 대거 진출하면서 유럽의 지위를 대신하고 있다. 중국의 아프리카 건설매출액은 2002~11년간 21배나 증가하여 2011년에는 아프리카 건설시장 점유율이 40%를 넘어섰다. 과거 식민종주국으로서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는 프랑스는 밀접한 정치ㆍ경제적 관계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건설시장에 여전히 높은 지배력을 보이고 있다. 프랑스 건설기업의 전체 해외 매출액(2011년)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비중은 13% 정도이지만, 이는 유럽 지역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수치이다. 프랑스 건설기업들은 분야별로 특화된 전문성과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아프리카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남아공, 나이지리아, 앙골라, 케냐 등 비전통적인 시장으로의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미국은 전통적으로 유럽과 함께 아프리카 인프라 시장에서 높은 시장 지배력을 유지해 왔으나, 중국의 아프리카 시장공략이 거세지면서 시장점유율이 2000년대 초반 15%대에서 2011년에는 5%대로 대폭 축소되었다. 교통 인프라 분야에서 미국이 가지고 있었던 주도권은 이미 중국에 넘어간 상태이며, 현재 미국은 비교우위가 높은 석유화학 분야를 중심으로 시장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현재까지 일본기업의 아프리카 건설시장 점유율은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2008년 이후 아프리카 진출 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건설경기의 장기 불황과 동일본 대지진 등의 악재에 대한 돌파구로 아프리카 진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건설ㆍ플랜트 시장에서 일본기업의 수주 실적이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2011년에는 전년대비 2.3배 증가한 42.6억 달러를 기록했다.
아직까지 아프리카 건설시장 규모는 다른 신흥국가에 비해 영세하지만, 자국 건설업체의 공급능력이 부족하여 상당 부분을 해외 건설업체에 의존하고 있다. 2010년 기준 세계 해외건설시장에서 차지하는 아프리카의 비중은 16%로 중남미(9%)와 북미지역(12%)을 능가하고 있다. 이는 해외건설업체 입장에서 보면 그만큼 진출의 여지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아프리카(마그레브)는 우리 건설기업의 인력 및 장비가 대규모로 진출해 있는 중동지역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진출상의 이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시장진출 기회의 이면에는 많은 리스크가 상존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정치적 위험 말고도 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는 부정부패, 정책의 일관성 결여, 신뢰 부족 등 여러 종류의 사업 리스크가 프로젝트 수행을 어렵게 하고 있다. 게다가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은 국가 신용도가 낮기 때문에 국제 금융시장에서 자금조달이 용이하지 않다. 인프라 건설은 대규모의 자본이 소요되고 투자 성과가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자본집약적 사업으로 장기 자금조달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아프리카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 리스크는 다른 많은 개도국에서도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진출 가능성 전체를 가려서는 곤란할 것이다. 아프리카의 잠재력만을 지나치게 부각시켜 과대평가하는 것도 경계해야 할 부분이지만, 기존에 우리가 아프리카에 대해 가졌던 부정 일변도적인 시각 또한 교정될 필요가 있다. 아프리카 진출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장애요인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와 동시에 새로운 건설시장으로 평가받을 만큼 충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연구는 아프리카 건설ㆍ플랜트 시장의 개발 잠재력을 살펴보고, 아프리카 진출의 후발주자인 우리의 입장에서 모색해 볼 수 있는 진출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첫째, 해외 금융기관 활용을 통한 금융지원을 들 수 있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남아공과 일부 산유국을 제외하고는 국가재정 사정이 열악하여 인프라 개발자금을 자체적으로 조달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은 국가위험이 높고 신용등급이 극히 낮기 때문에 국제 금융시장에서 자금조달(financing)도 용이하지 않다. 아프리카 인프라 투자수익률이 높은 데도 불구하고 투자를 꺼리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자금조달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국내 공적수출신용기관(ECA)이 적극 나서 양자간 또는 다자간 개발금융기관(DFI: Development Financial Institution)들과 협조융자(Co-financing) 등 자금협력을 통해 사업을 발굴하고 우리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역량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 금융기관이 단독으로 아프리카 사업에 대해 금융지원을 확대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세계 여러 금융기관들을 협조융자 파트너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금융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동안 수출입은행은 선진국 ECA와 국제개발금융기관(MDB)과의
협조 융자를 통해 국내건설기업의 아프리카 진출을 측면에서 지원한 바 있는데, 이를 보다 확대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둘째,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수주 확대를 꾀하기 위해서는 아프리카 현지시장에서 많은 사업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외국 건설업체와 협력을 통해 진출해야 한다.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 유럽 기업은 아프리카 건설시장에서 역사적으로 공고하게 구축된 진출기반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업 발굴 및 금융조달에서도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기업들과 컨소시엄 구성 등을 통한 전략적 제휴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과의 동반 진출도 더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일본은 아프리카 건설시장에 관한 한 한국과 마찬가지로 후발주자이고, 또한 아프리카 리스크에 대해 커다란 부담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과의 협력 진출을 선호하고 있다. 그동안 양국 기업은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이집트, 모로코, 케냐, 마다가스카르 등에서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터키와의 협력 진출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회교 국가인 터키는 지리적 인접성과 역사적 관계, 동일한 종교, 인종 및 문화적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북아프리카 건설시장에서 강점을 보인다. 터키 건설업체는 지난 1972년부터 2012년까지 해외건설시장에 진출하여 2,267억 달러(6,663건)를 수주했는데, 이 중 리비아와 알제리가 각각 11.6%, 2.6%를 차지할 정도로 북아프리카 진출이 활발하다. 국내 건설업체가 터키 건설업체와 합작 진출한다면, 노동력 수급문제 해소는 물론 건설 기자재 조달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중국과의 협력 진출 모색도 필요하다. 물론 장기적으로는 중국과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겠지만, 중ㆍ단기적으로 보면 아프리카 건설시장에서 급부상하는 중국과의 협력 전략이 현실적으로 필요하다. 예컨대 대규모 건설공사에는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한국과 중국이 각각 설계와 기술, 자금과 시공을 담당하고, 우리 기업이 도급을 맡은 건설 공사는 중국 기업을 하청업체로 활용하는 방안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 진출해 있는 자원 메이저와의 협력 진출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아프리카 산유국에는 다수의 오일 메이저가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는데, 이 오일 메이저들이 석유개발 관련 건설 프로젝트의 실질적인 발주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석유개발과 관련된 인프라 및 플랜트 건설을 주도하고 있는 외국 오일 메이저들과 협력을 통해 진출기회를 모색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MDB 차관 사업 수주를 들 수 있다. 지난 12년간(2000~11년) 세계은행의 지역별 차관지원 규모를 보면 아프리카가 중남미 다음으로 가장 많은 1,600억 달러 정도를 차지했는데, 이는 전체 차관의 21%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건수 기준으로 보면 아프리카가 남아시아의 3배에 달하는 3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세계은행은 빈곤감축을 위한 사회기반 구축 사업에 재원을 집중하고 있는데, 전력을 비롯한 에너지, 교통, 위생 등 다양한 분야에 개발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에너지 분야에 대한 차관 지원액 비중이 22.5%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그만큼 아프리카의 전력 인프라가 열악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세계은행의 아프리카에 대한 차관 규모는 글로벌 ODA 시장 확대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사회는 MDG 달성을 위해 2015년까지 원조 공여국의 ODA 규모를 국민소득(GNI) 대비 0.7%로까지 확대할 것을 천명한 만큼, 이는 세계은행의 차관시장 확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의 차관은 세계은행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가장 역점을 두고 지원하는 분야는 인프라 개발로 전기ㆍ식수ㆍ위생ㆍ교통ㆍ통신 부문에 많은 재원을 할애하고 있다. 아프리카에서 MDB 차관사업 규모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우리 기업의 수주 실적은 매우 저조하다. 그동안 세계은행의 아프리카 차관사업 중에서 한국 기업이 수주한 실적은 단지 1건에 그쳤으며, AfDB 차관사업 역시 6건(1.37억 달러)에 불과하다. MDB 조달사업은 절차가 복잡하고 많은 기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우리 기업의 과거실적이 크게 부족하여 진입 장벽이 높은 시장이다. 하지만 MDB 사업은 일단 사업 수주에 성공하여 실적을 축적하게 되면, 이후에 지속적인 사업 참여가 가능한 안정적인 시장이라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또한 MDB 사업은 리베이트 등 부패문제와 높은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이 외에도 건설공사 대금 지급이 보장된다는 점, 환(foreign exchange) 리스크가 없다는 점 등이 MDB 발주사업의 장점으로 꼽힌다.
우리 기업의 MDB 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MDB 사업에 대한 정보를 일괄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이를 기업에 적시에 제공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아울러 우리 기업의 참여 경험과 MDB 근무 경험자들의 전문지식 및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도록 ‘MDB 전문가 풀’을 조직하여 운영해야 한다. 또한 MDB 발주 인프라 조달시장에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MDB의 성격 및 정책, 업무절차, 프로젝트 사이클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업의 준비단계(preparation)에서부터 우리 기업의 컨설팅 참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사업 준비단계에서 프로젝트의 성격과 목적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업에 필요한 요소(component)를 결정하는데, 여기에서 사업시행에 필요한 컨설팅 서비스와 설비, 장비 등 물품조달에 관한 밑그림이 그려지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구축도 중요한 사안이다. MDB 사업은 국가별 개발계획 수립, 프로젝트 계획안 작성, 승인, 입찰 등의 과정을 거치는데, 초기 단계에서부터 MDB와 수원국과의 접촉을 통해 정보수집 능력을 키우는 것이 수주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인터넷 웹사이트에 게재된 입찰정보는 ‘낡은 정보’로 그 유용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견해이다. 따라서 상시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국가별 개발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수, 분석하여 이를 기업에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이 외에도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들 수 있다. 아프리카 시장은 불확실성이 높고 프로젝트 발주의 불예측성이 특징이므로 정부와 발주처 등과의 밀접한 유대관계가 사업수주로 이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우리의 입장에서 볼 때, 아프리카는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비교적 생소한 시장이므로 정부 및 발주처 주요 인사와의 활발한 교류 등을 통한 인적 협력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
유럽의 ODA 정책과 한ㆍ유럽 개발협력
제2편은 개발원조정책의 국제적 흐름을 정리하고 유럽연합과 주요 공여국들의 공적개발원조 정책, 체제, 경험 등을 소개하고 분석하여, 앞으로 국제개발원조사회에서 한국의 역할과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개발협력방..
김종섭 외 발간일 2012.12.31
경제개발, 경제발전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편의 취지 및 구성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및 구성제2장 국제사회 공적개발원조의 흐름과 공적개발원조정책의 쟁점
1. 개발원조의 역사와 국제적 논의 현황
2. 국제 ODA의 추이 및 특징
3. ODA 정책분석의 주요 이슈
4. 소결제3장 EU의 공동 공적개발원조정책
1. 이 장(章)의 취지
2. EU 및 회원국 공동 원조정책의 발전
3. EU 공동 공적개발원조정책의 의사결정체계와 운영
4. EU 공동 원조정책의 기조와 원칙
5. EU 공동 원조정책의 운영과 국제협력
6. EU 원조예산의 수립, 재정수단 및 원조 배정의 원칙
7. EU 원조정책의 집행과 관리
8. EU 대외원조정책에 대한 평가와 앞으로의 과제
9. 소결
부록 3-1. EC의 2010년 개발원조제4장 EU의 녹색 공적개발원조정책 연구
1. 경제성장, 지속가능발전 그리고 녹색성장
2. 개도국과 지속가능발전
3. 녹색 공적개발원조: 현황 및 지표체계
4. 녹색 공적개발원조: 지표 연구
5. 녹색 공적개발원조: 전략
6. 소결제5장 스웨덴
1. 서론
2. 스웨덴 공적개발원조의 추진 현황 및 주요 특징
3. 스웨덴 공적개발원조의 조직과 운영체계
4. 스웨덴의 개발원조전략
5. 소결
부록 5-1. 스웨덴 국제개발원조의 운영체계
부록 5-2. SIDA 조직도제6장 영국
1. 서론
2. 영국 공적개발원조의 추진 현황 및 주요 특징
3. 영국 공적개발원조 담당조직과 운영체계
4. 영국 공적개발원조 모니터링, 평가 및 연구시스템
5. 소결
부록 6-1. DFID 조직도
부록 6-2. 공공서비스협정(PSA) 정책간 협력관계
부록 6-3. Good Humanitarian Donorship Initiative Principles 원문제7장 프랑스
1. 서론
2. 프랑스 공적개발원조의 추진 현황
3. 프랑스 공적개발원조의 운영체제
4. 프랑스의 개발원조전략
5. 프랑스 공적개발원조의 예산 및 평가체제
6. 소결제8장 독일
1. 독일 공적개발원조정책의 개요
2. 독일의 공적개발원조 추진 현황과 조직체계
3. 독일 공적개발원조의 분야
4. 독일 공적개발원조의 평가
5. 소결제9장 스페인
1. 스페인 공적개발원조의 개요
2. 스페인의 공적개발원조 추진 현황
3. 스페인의 공적개발원조 운영체계
4. 소결: 스페인 공적개발원조 정책의 특징 및 평가
부록 9-1. 스페인의 파리선언 이행평가 결과
부록 9-2. 스페인의 QuODA 분야별 세부 지표 성적제10장 이탈리아
1. 개요
2. 이탈리아 공적개발원조정책의 내용과 현황
3. 소결제11장 총론: 한국에 대한 시사점
1. 총론
2. 정책기조: 공생의 정신, 국제적 명분, 지속성 및 유연성
3. 개발원조 행정체계의 확립과 원조의 형태
4. 마스터플랜의 수립: 공적개발원조의 비전, 목표
5. 원조의 관리 및 집행
6. 국제적 공조 및 한국ㆍEU 협력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제2편은 개발원조정책의 국제적 흐름을 정리하고 유럽연합과 주요 공여국들의 공적개발원조 정책, 체제, 경험 등을 소개하고 분석하여, 앞으로 국제개발원조사회에서 한국의 역할과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개발협력방안 등을 모색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은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ODA 지원규모를 점진적으로 증액하여 ODA/ GNI 비중을 2011년 0.13%에서 2012년 0.15%로, 그리고 2015년에는 0.25%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한국은 짧은 기간 내 개발과정을 완성하고, 이제 비록 절대적인 규모는 작으나 국제사회에서 개발원조 신흥 공여국으로 등장하였다. 2010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가입을 계기로 한국은 ODA 규모 확대를 비롯해서 개발정책의 선진화를 위해 ODA의 양적․질적 개선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국가발전의 장기적 비전에 연계한 개발원조정책의 전략과 인프라 구축은 가장 중요한 기본 과제로 등장하였다. 무엇보다도 한국은 두 가지 측면에서 ODA 정책의 향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공여국으로서 아직은 초기 단계에 있는 우리나라의 ODA 정책운용 방향과 체제를 정립하는 것과 동시에 국제사회 공조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최근 국제사회가 ODA의 규모를 GNI 대비 0.7% 수준까지 증액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ODA 규모가 최근 OECD DAC 평균인 0.5% 내외 수준에도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빠른 ODA 예산의 지속적 증가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정책기조의 수립과 ODA 지원체계의 확립 및 그 효율성을 제고하는 과제가 시급히 요청된다.
선진공여국의 개발협력사례는 이미 국내에도 많은 보고서에서 소개되고 정리된 바 있지만, 본 연구는 특히 각각의 특징을 가지는 유럽 국가들을 몇 개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또한 EU라는 유럽 국가간 공동 공적개발원조 정책을 통해 우리나라가 국제공조방안을 마련하는 데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오랫동안 개발원조정책의 시행을 통해 많은 경험과 지식을 축적한 유럽의 공적개발원조 체계와 정책의 운영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이 원조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방향 설정을 확고히 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유럽은 다른 대륙과는 달리 공적개발원조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이전인 식민지경영시기부터 구축해온 수원국들과의 원조 및 지원 관련 네트워크와 유ㆍ무형의 인프라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유럽은 오랜 역사를 통해서 시행착오 과정을 거듭했으며 개선을 위한 꾸준한 노력을 전개함으로써 개발협력분야의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따라서 공적개발원조정책 시행 초기에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이들의 경험으로부터 많은 시사점을 얻어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또 하나 우리에게 시급한 과제는 국제원조사회와의 공조방안이다. 특히 한국은 신흥공여국으로 등장한 이상 원조모델과 정책방향을 조속히 정립하고 국제사회공조방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국제사회는 지난 10여 년간 공여국들간 다양한 형태와 주제로 회합을 가지며 긴밀한 협력을 모색해오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에게 시급한 과제는 또 하나 국제원조사회와의 공조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국제적인 다자 차원에서 UN은 새천년개발목표(UN MDG: Millenium Development Goal)선언을 2000년에 채택되었다. 이 선언은 원조를 통한 개도국 지원이 일회성 또는 단기성 원조사업으로 산만하게 진행되기보다는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배경으로 수혜국이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시행해야 한다는 국제적인 합의(컨센서스)에 바탕을 둔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회원국 차원의 원조보다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이 요구되며, 따라서 공여국 간 그리고 국제개발기구들과의 공조와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본 연구보고서는 서론을 포함하여 총 10개의 장과 결론에 해당하는 총론을 더하여 총 11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제1장은 간략한 연구 배경과 범위, 구성을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국제사회 공적개발원조의 전개과정, 현황 및 추세 분석 그리고 주요 국가별 특성을 전반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현재 국제기구 및 학계 등에서 논의되고 있는 원조 관련 주요 이슈들을 발굴해서 무엇이 쟁점인지 논의하고 그 대안들과 함께 국제사회 공적개발원조정책의 발전방향을 정리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EU 및 유럽 국가들의 ODA 정책이 갖는 입장을 파악하는 한편 한국이 선택할 수 있는 정책방향에 대해서 시사하는 바를 이해하고자 한다.
제3장 및 제4장은 어떤 의미에서는 유럽 국가들의 전반적인 원조공여정책과 관련된 총론 부분에 해당한다. 제3장 EU의 공동 공적개발원조정책은 회원국들과는 독립적으로 원조공여주체의 역할을 하는 EU의 활동을 소개한다. EU는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별도의 원조주체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회원국의 입장을 종합적으로 반영할 수밖에 없는 특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특유(特有)한 위치에 있다. 동시에 회원국의 입장을 대변한다는 명분상 EU는 국제적으로 개발원조정책의 기준(standard)을 제시한다는 인상도 주기 때문에 미국과 함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EU는 이외에도 회원국간 공동정책의 추진을 위한 조정과 접근의 역할도 수행하기에 각국간 상이한 정책을 종합하는 총체적인 흐름과 그 방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동시에 경제통합의 심화에 따른 EU의 권한 확대와 국제적인 원조정책의 발전에 맞추어 꾸준히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EU의 ODA 운영체제와 정책방향이 한국의 ODA 정책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제4장 EU의 녹색 공적개발원조정책 역시 유럽 원조공여국 전반과 관련을 갖는 주제이다.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은 새로운 국제패러다임으로 정착되고 있으며 최근 ODA와 관련하여 중요한 목표로 등장하고 있다. EU 및 회원국들의 원조에서도 환경 및 자연보존, 기후변화 대응 그리고 생물다양성 보호 등은 그 비중을 더해가는 추세이다. 개도국들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원칙에 수긍하면서도 환경과 성장 간의 역관계(trade-offs)라는 고정관념으로 인해 실제 정책 운영에서는 유보적인 태도를 취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의미에서 한국정부가 제안한 녹색성장개념은 개발전략의 추구에서 충분한 설득력을 갖는다. 또 한국이 국제적으로 녹색성장을 최초로 제안하였고, 개발경험을 전수한다는 차원에서 녹색성장은 중요한 우리나라 원조정책수단이기도 하다. 제4장에서는 유럽 국가들이 환경을 내용으로 하는 원조공여를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피도록 한다. 보고서의 구성상 개별 국가별로 이 주제를 단편적으로 다루기보다는 이 장에서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제5장부터 제10장까지 총 6개 장은 연구팀이 선정한 독일, 프랑스, 영국, 스웨덴, 이탈리아 및 스페인 총 6개국에 대한 개별 사례 분석을 하였다. EU 및 회원국을 포함하는 유럽국가들은 국제개발원조에서 55~60%를 차지함으로써 제일 중요한 공여지역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유럽 원조의 대부분이 이 보고서의 연구대상인 7개 주체(EU 및 6개 회원국)에 의해 수행된다. ‘하나의 공간(공동체) 속에서 다양성 추구’라는 유럽 일반인의 인식이 말해주듯이 유럽 국가들간에는 공통점이 있으면서도 역사 및 외교 관계, 경제적 이해 또는 문화, 전통 등의 차이로 인해 각 국가별로는 원조정책의 운영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개별 국가에 대한 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제11장에서는 각 개별국 사례를 통해 본 다양한 원조 정책과 체계의 장단점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정책제언을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신흥공여국으로서 원조의 경험과 노하우가 쌓이지 않았고, 원조체계와 정책방향성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조속히 이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후발주자로서의 위치를 충분히 활용하면서 선진공여국들의 장점은 취하고 단점은 보완하여 한국 상황에 맞게 적용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정책 사례연구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개방화와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우수 인재의 양성 및 확보가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주요 선진국들은 글로벌 인재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자국 내 우수 인재의 해..
구자억 외 발간일 2012.12.31
경쟁정책, 경제관계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가.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 배경 및 현황 분석
나. 중국의 해외대학 유치 정책 분석
다. 중국 해외대학 유치 사례 분석
라. 국내의 성공적인 해외대학 유치를 위한 정책적 제언 제시
3. 연구방법
가. 문헌 연구
나. 연구진협의회 및 전문가 협의회 운영
다. 현지 조사연구(field research)
라. 심층 면담
마. 연구 중간 및 결과 보고회 운영
4. 연구 흐름도
5.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제2장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현황
1. 중외대학합작의 배경
2. 발전과정
가. 회복단계 (1978~1981)
나. 발전단계 (1982~2000)
다. 심화단계 (2001~2007)
3.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방식 및 유치현황
가. 합작운영 및 기관설립 방식
나. 중외합작대학 운영심사인가 및 관리
다.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현황
4. 중외합작학교 운영의 문제점 및 발전과제
가. 중외합작학교 운영의 문제점
나. 발전과제제3장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정책 분석
1. 정책 제정과정
가. 정책 형성의 태동 단계(개혁개방 후부터 1995년까지)
나. 정책 발전 성장 단계(1995~2003)
다. 법적·제도적 완비단계 (2003~현재)
2. 법에 나타난 유치 정책 분석
가. 법률
나. 행정법규
다. 각종 문건
3. 종합 분석 및 시사점제4장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사례 분석
1. 베이징대학교
가. 베이징대학-미국 포드햄대학/벨기에 블레릭 로븐 겐트 관리학원 합작 공상관리석사(MBA) 프로그램
나. 베이징대학-호주 라트로브대학 합작 위생사업관리석사(MHA) 프로그램
다. 베이징대학-홍콩대학 합작 치주임상석사 프로그램
라. 베이징대학-홍콩이공대학 합작 사회복지석사(MSW) 프로그램
마. 베이징대학교의 성과 및 과제
2. 닝보노팅엄대학교
가. 개황
나. 유치배경
다. 합작내용
라. 성과와 과제
3. 지린재경대학교 국제교류학원
가. 개황
나. 유치배경
다. 합작내용
라. 성과와 과제
4. 종합 분석 및 시사점
가. 종합 분석
나. 시사점제5장 정책제언
1. 3가지 유형의 유치 모델
가. 정부 주도의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 유치 모델
나. 지자체 주도의 전략적 대학 유치 모델
다. 지역 대학 주도의 특성화 대학 유치 모델
2.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의 성공과 실패 요인
가. 특성화와 보편화
나. 전략화와 고착화
다. 시장화와 다목적화
라. 네트워크화와 고립화
3. 3대 정책제언
가. 유치목표 및 전략의 명료화
나. 법적, 제도적 정책 보완
다. 대국민 공감대 형성
4. 영역별 추진과제
가. 1영역: 우수 교육기관 선별적 유치
나. 2영역: 관리·감독 시스템 마련
다. 3영역: 규제완화 및 지원정책 개선
라. 4영역: 외국대학의 자생력 강화
마. 5영역: 사회적 공감대 형성참고문헌
국문요약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최근 개방화와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우수 인재의 양성 및 확보가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주요 선진국들은 글로벌 인재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자국 내 우수 인재의 해외 유출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고등교육을 중심으로 우수 외국대학 유치를 위해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이 연구는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정책 사례를 심도 있게 분석한 후, 우리나라의 외국대학 유치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국 사례에 주목하게 된 것은 중국은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매우 가까운 곳에 있으면서 우리나라보다 앞서 고등교육 개방 정책을 추진하여 세계 유수의 외국대학을 유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북아시아의 공동 번영, 특히 한․중 양국 간 교육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국의 고등교육 개방 정책과 해외대학 유치 정책을 체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 이상의 연구목적을 위해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첫째,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 배경 및 현황,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정책, 중국 세 개 대학의 외국대학 유치사례와 관련한 선행연구 및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둘째, 중국의 해외대학 유치 배경 및 정책 사례, 세 개 대학의 외국대학 유치 사례를 실제적으로 조사·분석하기 위해 중국 현지조사(field research)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 현황 및 사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중국 교육부, 국가교육발전연구중심, 그리고 베이징대학을 방문하여 해당 관계자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 진행 과정에서 연구진 협의회 및 전문가 협의회를 수시로 운영해 연구진의 의견과 전문가의 의견 조율을 거쳤다. 특히 전문가 협의를 통해서는 우리나라의 해외대학 유치를 위한 정책대안 내용의 타당성, 실현가능성, 제반 후속조치 사항 등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넷째, 연구의 진행과정에서 연구의 중간 진행상황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해 연구 중간보고회를 갖고, 연구 마무리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발주기관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연구 결과보고회를 개최하였다.
□ 이상의 연구 목적과 방법에 근거한 연구 흐름을 도식화 하여 제시하면 [그림 1]과 같다.2.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사례 분석
□ 사례 선정 대상 및 주요 분석 내용
-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사례 분석 대상 대학은 베이징대학, 닝보노팅엄대학, 지린재경대학 등 세 개 대학이다. 세 개 대학의 선정 준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징대학은 중국 최고의 명문대학이며, 프로그램 형태로 합작 운영하는 사례이다. 둘째, 닝보노팅엄대학은 중국 내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합작대학을 운영한 사례이며, 독립법인, 독립캠퍼스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셋째, 지린재경대학은 단과대학(학원)형태로 합작 운영하는 사례로서 우리나라에 시사해주는 바가 크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 분석의 주요 내용은 개황, 유치배경, 합작내용, 성과와 과제 등이다. 개황은 학교 소개 및 현황을 중심으로 다루었으며, 합작내용은 유치심사 및 절차, 학사제도, 경영정보, 정부지원과 규제, 학교운영 방법 등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또한 성과와 과제는 주요성과, 과제 측면에서 시사점 위주로 분석하였다.
□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사례 특징
-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사례의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베이징대학은 정부 주도의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 유치 모델을 갖고 있고, 닝보노팅엄대학은 지자체 주도의 전략적 대학 유치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지린재경대학은 지역대학 주도의 특성화 대학 유치 모델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런 세 개 대학의 외국대학 유치 모델을 도식화하여 제시하면 [그림 2], [그림 3], [그림 4]와 같다.3.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사례 성공요인과 실패요인
□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 성공요인은 특성화, 전략화, 시장화, 네트워크화 등이며, 실패요인은 보편화, 고착화, 다목적화 등으로 볼 수 있으며 [그림 5]와 같다.
4. 3대 정책영역, 5개 정책과제 및 15개 세부과제
□ 3대 정책영역
-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사례의 특징으로 나타난 특성화, 전략화, 시장화, 네트워크화의 네 가지 성공요인을 바탕으로 3대 정책영역을 제안하면 [그림 6]과 같다.
□ 5개 정책과제 및 15개 세부과제
- 중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기관 수준, 규모, 지역성, 환경, 인프라, 인지도 등이 다른 상황을 감안하여 5개 정책 추진과제와 15개 세부과제를 제안하면 <표 1>과 같다.
3대 정책영역
5개 정책과제
15개 세부과제
유치목표 및 전략의 명료화
우수 교육기관 선별적 유치
1) 국내외 수요 조사를 통한 유치전략 구축
2) 전문가 집단 구성
3) 유치기관 심사위원회 운영체계 개선
법적, 제도적 정책 보완
관리·감독 시스템 마련
1) 유치 전후 관리 체계 확립
2) 질 관리를 위한 평가 시스템 마련
3) 관리-지원 네트워크 구축
규제완화 및 지원정책 개선
1) 유치 저해요소 파악 및 규제 완화 계획 수립
2) 우수 외국기관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확보
3) 규제완화를 위한 유치 기관별 간담회
외국대학의 자생력 강화
1) 국내외 학생 유치전략 파악
2) 산학연 협력기반 구축
3) 지자체와의 긴밀한 협조 시스템 마련
대 국민
공감대 형성
사회적 공감대 형성
1) 해외의 성공 유치사례 홍보
2) 국내 고등교육기관 견인방안 발표
3) 복수트랙 운영으로 리스크 최소화 방안 수립 -
안데스 자원부국과의 경제협력 확대 방안: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볼리비아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커다란 자원개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중남미 국가 중 상대적으로 정치ㆍ경제적 리스크가 높아 우리 기업의 진출이 크게 부진한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볼리비아 등 안데스 자원부국과의 실질적인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
권기수 외 발간일 2012.12.31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연구 내용
나.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과 한계제2장 안데스 3국의 경제적 중요성과 경제협력 환경
1. 경제적 중요성
가. 천연자원의 보고
나. 성장성이 높은 시장
다. 개발협력 대상국
2. 경제협력 환경
가. 경제 환경
나. 정치 환경제3장 안데스 3국의 국가개발계획과 유망 협력 분야
1. 볼리비아: 정부프로그램(Programa de Gobierno 2010-2015)
가. 수립 배경
나. 주요 내용
2. 에콰도르: 국가개발계획(PNDBV 2009-2013)
가. 수립 배경
나. 주요 내용
3. 베네수엘라: 시몬 볼리바르 국가계획(PNDSB 2007-2013)
가. 수립 배경
나. 주요 내용
4. 유망 협력 분야
가. 볼리비아
나. 에콰도르
다. 베네수엘라제4장 주요국의 부문별 경제협력 사례
1. 개발협력
가. 스페인의 국가개발계획 지원
나. 다국적 기금의 연구기관 지원
다. 브라질의 경제발전 경험 공유
2. 산업기술협력
가. 중국의 통신위성개발 협력
나. 중국의 정보통신(IT) 분야 협력
3. 자원협력
가. 인도 JSB의 광산개발 철수
나. 미국 셰브론의 사회적공헌 활동
4. 금융협력
가. 브라질/이탈리아의 발전 부문 협력
나. 중국의 자원개발 및 발전 부문 협력
다. 한국의 정유플랜트 부문 협력
5. 한국에 대한 시사점제5장 안데스 3국과의 경제협력 현황 및 평가
1. 경제협력 현황 및 평가
가. 교역
나. 투자
다. 자원개발 및 건설플랜트
라. 개발협력
마. 제도협력
바. 경제협력 평가
2. 경제협력 환경의 SWOT
가. 강점
나. 약점
다. 기회
라. 위협제6장 안데스 3국과의 경제협력 확대 방안
1. 경제협력 방향
2. 경제협력 확대 방안
가. 정부 차원의 지원 확대 방안
나. 기업 차원의 진출 확대 방안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정책연구브리핑본 연구는 커다란 자원개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중남미 국가 중 상대적으로 정치ㆍ경제적 리스크가 높아 우리 기업의 진출이 크게 부진한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볼리비아 등 안데스 자원부국과의 실질적인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추진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안데스 3국과의 자원개발 협력에 직접적인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우리 기업이 성공적으로 현지 자원개발 부문에 진출하기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경제협력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포괄적인 경제협력 방안을 제시하는 데 집중하였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볼리비아,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3국의 높은 정치ㆍ경제적 리스크를 고려해 현지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안 발굴에도 주력하였다.
이 같은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본 보고서는 크게 6개 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제1장인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내용 및 방법, 그리고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제2장에서는 경제협력 대상국으로서 볼리비아,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등 안데스 3국이 갖는 중요성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정치 및 경제 환경으로 나누어 경제협력 환경을 분석했다. 특히 본 장에서 안데스 3국의 경제적 중요성은 천연자원의 보고로서의 가치, 시장으로서의 가치, 개발협력 대상국으로서의 가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안데스 3국이 추진하고 있는 중장기 국가개발계획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와의 협력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도출하였다. 국별로 볼리비아는 정부프로그램(Programa de Gobierno 2010-2015)을, 에콰도르는 국가개발계획(PNDBV 2009-2013)을, 베네수엘라는 1차 사회주의계획(2007-2013)과 2차 사회주의계획(2013-2019)을 집중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볼리비아와는 천연가스, 철도 및 전략산업 육성 계획 수립 지원, 전력ㆍ석유화학플랜트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에콰도르와는 고등교육과 기술이전, IT기술, 교통인프라 등에서 협력이 유망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베네수엘라와는 자원개발, 정유ㆍ가스ㆍ전력 플랜트, 공동기금 조성 등에서 협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제4장에서는 중국, 스페인, 인도, 브라질, 캐나다, 미국 등 주요국의 구체적인 진출 사례를 발굴하여 분석하고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개발협력 분야에서는 스페인의 국가개발계획 지원, 캐나다를 중심으로 한 다국적기금의 연구기관 지원(Think Tank Initiatives), 브라질의 경제발전 경험 공유 사례가 소개되었다. 둘째, 산업기술협력 분야에서는 중국의 통신위성개발 협력, 중국의 정보통신분야 협력 등 중국의 사례가 집중 분석되었다. 셋째, 자원개발협력 분야에서는 인도 JSB의 볼리비아 광산 부문 진출 실패 사례, 미국 셰브론의 베네수엘라에서 성공적인 사회적 공헌(CSR) 활동이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금융협력 분야에서는 브라질과 이탈리아의 베네수엘라 발전 부문 진출, 중국의 자원개발 및 발전 부문 진출, 한국의 정유플랜트 부문 진출 사례가 분석되었다.
제5장에서는 한국과 안데스 3국과의 경제협력 현황을 교역, 투자, 자원개발 및 건설플랜트, 개발협력, 제도협력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경제협력 과제를 제시하였다. 특히 여기서는 SWOT 분석에 기초해 안데스 3국의 경제협력 환경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안데스 3국과의 경제협력 확대 방안이 제시되었다. 여기서 경제협력 확대 방안은 정부 차원의 지원 확대 방안과 기업 차원의 진출 확대 방안으로 나누어 제안되었다. 먼저 정부 차원의 지원 확대 방안으로는 △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공고화 △산업화전략의 동반자 관계 구축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 △안데스개발공사(CAF)와의 협력 강화 △삼각협력 모델 개발 △한국의 인지도 및 이미지 제고 등 여섯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기업 차원의 진출 확대 방안으로는 △정부의 공식 채널 활용 △중국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 강화 △거점화(Hub&Spoke) 전략 △금융협력 및 조달 방식의 다각화 등이 도출되었다.
-
동남아 주요 국가들의 인력송출 현황과 한국의 대응방안
한국은 현재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의 주요 인력수입국으로 2011년을 기준으로 체류외국인 139만 5천 명 중 약 70만 5천 명이 국내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외국인력의 급증은 한국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이에 대한 사회적 ..
오윤아 외 발간일 2012.12.31
경제협력, 정치경제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의 방법과 구성제2장 한국의 외국인력 현황과 과제
1. 한국 내 외국인노동자 현황
가. 전체 외국인 체류자 및 노동시장 참여자 수
나. 단순기능외국인력
다. 전문외국인력
라. 국적별 외국인력
2. 한국 외국인력 정책의 과제
가. 단순기능인력 편중과 운용 개선
나. 불법체류자 규모 축소
다. 전문외국인력 유치제3장 동남아의 지역적 특성
1. 전 세계적 인력이동의 현황과 요인
2. 동남아 지역의 인력이동 특성: 구조적 요인을 중심으로
가. 동남아 인력이동 현황
나. 동남아 인력이동의 구조적 요인
3. 동남아 인력송출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가. 기본모형
나. 자료
다. 분석 결과제4장 동남아 주요 송출국의 현황과 정책 분석
1. 베트남
가. 양국 경제협력과 베트남의 한국에 대한 인력송출
나. 베트남 인력송출 현황
다. 인력송출 제도와 관련 정책
라. 전문인력 송출 여건
2. 인도네시아
가. 양국 경제협력과 인도네시아의 한국에 대한 인력송출
나. 인도네시아 인력송출 현황
다. 인력송출 제도와 관련 정책
라. 전문인력 송출 여건
3. 필리핀
가. 양국 경제협력과 필리핀의 한국에 대한 인력송출
나. 필리핀 인력송출 현황
다. 인력송출 제도와 관련 정책
라. 전문인력 송출 여건
4. 태국
가. 양국 경제협력과 태국의 한국에 대한 인력송출
나. 태국 인력송출 현황
다. 인력송출 제도와 관련 정책
라. 전문인력 송출 여건
5. 동남아 주요 송출국의 특성제5장 결론 및 송출국가별 시사점
1. 외국인력정책 개선에 대한 일반적 대안들
2. 동남아 주요 송출국에 대한 시사점
가. 베트남
나. 인도네시아
다. 필리핀
라. 태국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참고문헌
부 록
부록 1. 국내 결혼이민자 현황
부록 2. 필리핀과 태국의 인력송출 관련 부서 및 정책
부록 3. 필리핀과 태국의 이주노동자 보호 및 사후관리제도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정책연구브리핑한국은 현재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의 주요 인력수입국으로 2011년을 기준으로 체류외국인 139만 5천 명 중 약 70만 5천 명이 국내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외국인력의 급증은 한국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이에 대한 사회적 갈등과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외국인력 수입은 ①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한 단순기능인력의 제한적 유입과 ② 전문인력의 적극적 유치를 목표로 정부의 적극적인 주도하에 이루어졌다. 그동안의 단순기능외국인력의 수입은 제조업, 농축산업, 건설업 등의 인력난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였으나, 내국인 고용과 임금에 대한 부정적 영향, 불법체류자 양산, 산업구조조정 지연, 사회ㆍ경제적 외부성 등에 대한 우려를 초래하였고, 고급 외국인력의 유치는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가 미미한 편이다.이 연구는 한국에 대한 주요 송출지역인 동남아 국가들의 구조적 송출요인과 정책적 요인을 분석하여 송출국가들의 ‘공급측 요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이 이들 국가들과의 노동협력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를 모색하였다. 동남아 주요 송출국들은 경제발전 단계와 인구구조, 산업구조, 노동시장 등을 고려할 때 인력송출을 촉진하는 구조적 요인을 가지고 있고, 송출국 정부들은 인력송출을 고용창출과 외화획득의 기회로 보고 이를 장려하고 있다. 소득이 낮은 동남아의 개발도상국들이 해외로 인력을 송출하게 된 지는 오래되었지만, 정부의 주도하에 송출과정이 정비되고 인력송출을 장려하게 된 것은 많은 국가들에서 1990년대 이후 본격화되었다. 대부분 동남아 국가들의 인력송출 정책과 제도는 송출과정 제도화로 요약되며, 인력송출 정책의 적극성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 또한 이들 국가에서 해외송출이 국가경제에 대해 갖는 중요성 역시 차이가 있는데, 필리핀과 같이 해외송금에 의존적인 나라부터 태국과 같이 영향이 미미한 국가까지 그 범위가 다양하다. 또한 이들의 일반적인 송출 행태와 결과로 한국이 해당 국가에 얼마나 중요한 시장인지 역시 국가별 차이가 있다.
주요 동남아 송출국별로 살펴보면, 한국에 인력을 가장 많이 송출하고 있는 베트남의 경우 경제발전 단계와 인구구조 측면에서 구조적 요인들이 인력송출을 촉진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의 정책적 장려와 제도화도 어느 정도 진행된 편이다. 경제구조상 해외취업과 해외송금 수취는 베트남의 경제 전반에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는다. 베트남의 특이성은 한국으로 인력송출이 집중되고 있다는 점인데, 이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향후 유연한 외국인력 정책의 운영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어 정책담당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구조적 측면에서 인력송출 촉진요인이 강하나, 인도네시아 정부 차원의 정책적 추진이나 송출 과정과 노동자 보호에 대한 제도화는 효과적이지 않다고 판단된다. 또한 인도네시아의 경제규모를 반영하여 해외취업이나 해외송금이 인도네시아 경제 전반에 있어서 크게 중요하지는 않다. 한국은 인도네시아의 주요 송출대상국이 아니지만, 중동과 말레이시아에 비해 한국의 양호한 외국인력 노동여건을 이유로 한국 송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필리핀의 경우 인력송출을 촉진하는 구조적 요인이 강하며, 정부 차원에서 송출정책을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필리핀은 해외송금의 국가경제적 중요성이 높으나, 송출대상국이 다변화되어 있어 한국으로의 집중도는 높지 않다.마지막으로 태국의 경우 소득수준과 인구구조 등 구조적 요인을 고려했을 때, 인력송출국의 지위를 졸업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이다. 태국 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적극적인 인력송출 정책을 추진하거나 이를 국제노동협력에서 공세적으로 채택하고 있지는 않다. 해외송금이 태국의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고, 송출대상국 역시 다변화되어 있어 인력송출을 한국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다.
이러한 송출국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베트남의 경우 한국에 대한 최대 동남아 송출국으로 그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양자노동협력을 통해 단순기능인력 수급 조절과 불법체류자 해결을 집중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단순기능인력 유입에 대해서 송출국을 보다 다변화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주요 송출국 중 태국의 경우 현재 주요 송출국 중 소득수준이 가장 높아 인력송출이 향후 감소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점에서 쿼터 비중을 높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전문인력 유치 방안으로, 동남아 국가 중 연구역량과 중등교육 여건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베트남, 필리핀, 태국에 ODA를 재원으로 두뇌순환 원칙에 입각해 유학생 유치 사업을 집중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을 검토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외국인력 운영의 수단으로 양자협상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외국인력 정책의 전반적인 개선과 함께 추진해야 할 것이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