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주요 연구보고서의 연구 목적과 내용, 정책 시사점을 정리한 20면 내외의 요약 리포트입니다.

목록으로

무형자산 투자와 경제성장: 글로벌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무형자산(intangible assets)의 중요성이 경제 구조 변화와 함께 더욱 강조되고 있음.
- 본 연구는 주요국 및 한국 경제에서 무형자산 투자의 중요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이 무형자산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음.
- 무형자산 투자와 경제성장률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대체로 무형자산 투자의 집중도가 높아질수록, 즉 상대적 비중이 높아질수록 1년 후 및 5년 후의 TFP 성장률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발견
- 한국의 무형자산 투자가 더 늘어날 경우, 한국도 미국처럼 더 큰 기업이 더 많은 고용을 하게 되고 생산성도 증가
- 무형자산이 한국기업들의 매출액, 노동생산성, 수출액, 수출 여부에 대부분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
- 한국의 경우 AI 노출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는 종사자 수, 여성 종사자 수, 상용근로자, 매출액이며,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지표는 1인당 매출액, 노동분배율, 1인당 실질노동소득임.

▶ 분석 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음.
- 무형자산 투자 촉진을 위한 정책 가운데서도 연구개발(R&D), 소프트웨어, 조직자본과 같은 국민계정에 포함된 무형자산 항목에 대한 세제 혜택이나 직접적인 재정 지원 강화가 필요
- 무형자산 투자의 대기업 집중 경향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 해소를 위해 중소기업 지원 관련 정책을 강화하되, 불평등을 완화할 방안 함께 강구
- 무형자산 투자가 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기업들이 무형자산을 적극적으로 보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적 지원 고려
- AI 기술의 도입이 고용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과 미국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한국의 상황에 맞는 정책적 대응 필요

이전 다음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