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통합검색
"우크라이나"에 대해 318건 검색 되었습니다.
발간물 (118)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우크라이나의 주요산업: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 IT산업, 항공우주 산업등록일 : 2009-12-30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부유럽 주요국의 지정학적 위기 대응 전략: 에너지 이슈를 중심으로등록일 : 2023-05-04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등록일 : 2024-05-23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우크라이나 위기 발발 이후 러시아 경제상황 변화와 정책 시사점등록일 : 2016-10-04
-
발간물 > 보고서 > 전체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등록일 : 2025-03-17
세미나 (9)
-
한-우크라이나 수교2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한-우크라이나 외교·경제협력: 과제와 전망등록일 : 2012-09-12
-
전문가 초청간담회
우크라이나 위기 관련 긴급 전문가 간담회등록일 : 2023-01-30
-
국제세미나
2023 KIEP 북방 세미나등록일 : 2023-02-01
-
국내세미나
‘2022년 한러대화 정치경제분과위 국내 세미나' 개최등록일 : 2022-07-06
-
국제세미나
‘2022 KIEP 북방 세미나' 개최등록일 : 2022-07-07
연구원동정 (37)
-
우크라이나 위기 관련 긴급 전문가 간담회 개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김흥종)은 2월 25일(금) 서울 달개비에서 ‘우크라이나 위기의 첨예화: 주요국 입장, 전망, 시사점’을 주제로 ‘우크라이나 위기 관련 긴급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지난 24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정세의 불안이 심화1하고 실물경제 충격이 이어짐에 따라 긴급 개최된 본 간담회의 모두발언에서 김흥종 KIEP 원장은 주요국의 입장과 이해관계에 근거한 ‘우크라이나 ..
-
박정호 러시아유라시아팀장, ‘한국기업의 미래-우크라이나 시장' 세미나 발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박정호 구미·유라시아본부 러시아·유라시아팀장이 9월 29일(목) 서울 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열린 ‘한국기업의 미래-우크라이나 시장’ 세미나에 발표자로 참석하였다. 본 행사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과 법무법인 광장이 우크라이나 진출에 관심 있는 투자자 및 기업 관계자들에게 우크라이나의 법률 및 조세현황, 진출전략, 투자방안 등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였다. 라운드테이블 형식으로 ..
-
제성훈 팀장, '우크라이나, EU행 불행열차' 주제로 주간동아에 기고
제성훈 러시아·유라시아팀장은 "우크라이나, EU행 불행열차"라는 주제로 주간동아 특집 "동유럽, EU 그리고 한국의 셈법"코너에 기고하였다. 기고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주간동아 제937호(2014년 5월 12일)에서 볼수 있다. 1991년 소련 해체로 독립국이 된 우크라이나는 EU가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2002년 6월에는 EU 가입을 최우선적 국정과제로 규정하면서 EU가 제시하는 기준에 부합하..
-
KIEP, ‘The 5th Korea-Ukraine Economic Forum’ 공동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한국경제학회(KEA), 주우크라이나 한국대사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외교부·경제개발통상부 등 우크라이나 정부기관과 공동으로 주최한 ‘The 5th Korea-Ukraine Economic Forum’이 7월 28일(금, 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키예프에서 개최되었다. KEA가 우크라이나 정부 및 관련기관과의 정보 교류, 협력 증진을 위해 주관한 본 행사는 “Economic Cooperation within the Context of Eurasian In..
-
2022 KIEP 북방 세미나 개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2022년 7월 29일(금) 오전 10시 광화문 버텍스코리아 22층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 질서의 주요 이슈와 전망”을 주제로 ‘2022 KIEP 북방 세미나’를 개최했다.올해 2월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세계경제 및 안보 환경 전반에 위기감을 불러왔으며, 이번 전쟁으로 △미국 주도의 대서양 동맹 강화 △러시아와 미국·유럽과의 관계 악화 △유럽 역내 안보 위기와 군비 증강 △유럽의 대러 ..
게시판 (154)
-
연구원소식 > 대외경제전문가풀 > 전문가 회의 결과(19.07 이전)
우크라이나 사태와 정세동향-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경제뿐만 아니라 세계경제에도 악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보이며, 최근에는 러시아와 서방간의 대립으로 확대되고 있음. - 이러한 배경 하에 이번 사태의 전개방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크라이나 사태의 배경과 발전과정, 최근 논의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따라서 아래에서는 사건의 배경과 전개과정, 그리고 핵심이슈를 살펴보도록 함. - 우크라이나 내..
-
연구원소식 > 보도자료
우크라이나 위기, 주요국 입장과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 논의"우크라이나 위기, 주요국 입장과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 논의" - KIEP, ‘우크라이나 위기의 첨예화: 주요국 입장, 전망, 시사점’ 주제로 긴급 전문가 간담회 개최 - 김흥종 원장, ‘우크라이나 위기에 대한 종합적 진단을 통해 한반도 에 대한 시사점’ 파악 필요성 강조 - 전문가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둘러싸고 미국, 중국, 유럽 등 강대국의 전략적 이해관계 논의 및 한반도에 주는 시사점 제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연구원소식 > 대외경제전문가풀 > 전문가 회의 결과(19.07 이후)
유럽의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과 시사점I. 개 요 1. 제목: 유럽의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과 시사점 2. 일시 : 2023.2.22. (13:30~15:30) 3. 장소 : 원내 333호 회의실 (화상회의 병행) 4. 발표자 : 전혜원 (국립외교원, 교수) 5. 참석자성 명소 속직 책참석사유 및 역할[위 촉]1강유덕한국외국어대학교교수종합토론2문성만전북대학교교수종합토론3이현철조선대학교교수종합토론4정세원부경대학교교수종합토론성 명소 속직 책참석사유 및 역할1장영욱세계지역연구센..
-
연구원소식 > 대외경제전문가풀 > 전문가 회의 결과(19.07 이전)
한-우크라이나 관계 현황 및 발전 전망[위촉 전문가]조영관 (한국수출입은행 선임연구원) 고재남 (국립외교원 교수) 나희승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연계연구팀장)김석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교수)김영옥 (법무법인미르 변호사)나원창 (외교부 유라시아과장)이상준 (국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한홍열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박지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연구위원)변현섭 (한양대학교 HK 연구교수) 제성훈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교수)[비..
-
연구원소식 > 보도자료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우크라이나 수교 20주년 기념 심포지엄’개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蔡 旭)은 2012년 9월 11일(화)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한국외국어대학교와 ‘한국-우크라이나 수교 20주년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본 회의는 한국-우크라이나 수교 20주년을 맞아 독립국가연합(CIS) 국가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와 한국 간 외교통상 관계의 중요성을 조명하고 향후 협력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우크라이나는 동유럽과 러시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이자 풍부한 광물자..
인기검색어
2025-05-02 ~ 2025-05-09
- 1 탄소
- 2 식량안보
- 3 트럼프 2기
- 4 climate change
- 5 tariff
- 6 관세
- 7 IPEF
- 8 RCEP
- 9 ODA
- 10 economic secu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