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개
조직
KIEP 연구진소개

직급 원장
전화번호 044-414-1100
주력분야 국제통상, 국제거시경제, 유럽경제/EU, 경제안보
- 1989. 2.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졸업 (경제학 석사)
- 1995. 6.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MPhil in Economics)
- 1999. 2.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졸업 (경제학 박사)
[주요 경력]
- 2020.06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 2020.06 ~ 현재: 한국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KOPEC) 회장
- 2020.01 ~ 2020.06: Visiting Scholar, Free University of Brussels(VUB), Brussels, Belgium
- 2012.09 ~ 2020.05: 겸임교수, 서강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
- 2012.01 ~ 2020.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17.04 ~ 2018.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유럽선임파견관
- 2015.01 ~ 2015.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본부장(부원장)
- 2014.01 ~ 2015.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경영기획본부장(부원장)
- 2013.11 ~ 2017.12: KU-KIEP-SBS EU 센터 부소장
- 2012.06 ~ 2012.12: 정부업무평가위원회 전문위원, 국무총리실
- 2012.05 ~ 2020.05: 국제행사심사위원회 전문위원, 기획재정부
- 2011.01 ~ 2014.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조정실장
- 2009.07 ~ 2010.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
- 2008.08 ~ 2009.07: UC Berkeley, Fulbright Fellow
- 2007.07 ~ 2009.07: 한-EU FTA 전문가 자문위원, 외교통상부
- 2006.03 ~ 2009.08: SNU-KIEP EU 센터 운영위원
- 2002.09 ~ 2008.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유럽팀장(유럽 및 EU 경제연구)
- 2001.07 ~ 2002.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부연구위원(아프리카·중동·남아시아 지역 연구, ODA, 무역구조 연구)
- 2000.02 ~ 2001.04: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크라이스트처치 칼리지 명예펠로우(Honorary High Table Member of Christ Church, Oxford)
[기타 경력]
- 2021.07 ~ 현재: 한국APEC학회 회장
- 2021.01 ~ 현재: 한러대화(KRD) 조정위원
- 2021.01 ~ 2021.12: 한국EU학회 회장
- 2020.03 ~ 2020.04: 방문학자,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EU연구소
- 2019.07 ~ 2019.12: Senior Visiting Fellow, French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fri), Paris, France
- 2017.04 ~ 2018.04: Senior Visiting Fellow, French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fri), Paris, France
- 2014.01 ~ 2016.01: 이사, 한국국제경제학회
- 2010.03 ~ 2017.02: 겸임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 2008.03 ~ 2011.02: 초빙교수,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 2007.06 ~ 2020.05: 국제행사타당성 TFT,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2007.05 ~ 2007.12: 국제협력사업 전문위원, 국가청렴위원회
- 2007.03 ~ 2016.02: 이사 및 부회장, 국제통상학회
- 2007.01 ~ 2007.12: 사무차장, 한국국제경제학회
- 2005.12 ~ 2010.12: Advisory Board member, ESiA, ASEF, Singapore
- 2003.04 ~ 2005.04: 국제사업자문단 자문위원, 한국무역협회
- 2002.09 ~ 2014.02: 유럽경제연구회 간사, 대외경제전문가풀
- 2001.06 ~ 2002.08: 아중동연구회의 간사, 대외경제전문가풀
[상 훈]
- 2019.06 우수 연구보고서 포상(경제인문사회연구회)
- 2015.05 우수 연구자 포상(경제인문사회연구회)
- 2013.12 기획재정부 장관 표창(기획재정부)
- 2010.02 국무총리실장 표창(국무총리실)
- 2008.08 ~ 2009.07 Fulbright Scholarship Program Advanced Research Award, 미국 국무성(State Department)
- 2007.08 KIEP 최우수 보고서(KIEP,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2006.12 KIEP 업적평가 최우수자(KIEP)
- 2006.02 국무조정실장 표창(국무조정실)
- 2004.06 KIEP 최우수 보고서(KIEP,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2001.04 ~ 08 세종대 BK21연구(학술진흥재단)
- 2000 ~ 2001 박사후 연구 장학금(학술진흥재단)
- 1998 IV Fellowship (미국 국무성, State Department)
- 1994 Faculty Scholarship for GREQAM Summer School Sub-faculty of Economics, Oxford University, Oxford, UK
- 1993 ~ 1995 Swire Scholarship(The Swire Group, Hong Kong, China)
- 1987 ~ 1989 조교장학금(TA/RA)(서울대학교 대학원)
- 1983 ~ 1987 대학장학금(서울대학교)
[주요 연구 업적]
<저 서>
- EU 혁신성장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중소기업정책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18-28, KIEP, 2018. 12 (PM)
- 소득주도 성장 관련 유럽 및 미국의 정책사례 연구, 연구보고서 18-08, KIEP, 2018. 12 (참여)
- The European Union in Crisis What Challenges Lie ahead and Why It Matters for Korea, Policy Analysis, 18-01, KIEP, 2018. 12 (공편저)
- 신통상정책에 나타난 EU의 FTA 추진전략과 시사점, 연구보고서 16-18, KIEP, 2016. 12 (PM)
- 브렉시트의 경제적 영향분석과 한국의 대응전략, 연구보고서 16-17, KIEP, 2016. 12 (PM)
- 국제행사 타당성조사 일반지침 수립을 위한 방법론 연구, 연구자료 13-10, KIEP, 2013. 12 (PM)
- An Exploration of an Integration Index and its Application for Asian Regional Community, KIEP Working Paper 09-10, 2009. 12 (PM)
-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해외 주요국의 경제동향과 출구전략 전망, 지역연구시리즈 09-02, KIEP, 2009. 12 (PM)
- 20세기 유럽경제사, 이반 버렌드 저, KIEP, 2008. 12 (공역)
- 한국의 주요국별·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총괄보고서, 연구보고서 07-01, KIEP, 2007. 12 (PM)
- 사회경제정책의 조화와 합의의 도출: 주요 선진국의 경험과 정책 시사점, 연구보고서 06-02, KIEP, 2006. 12 (PM)
- 동아시아 자유무역지역의 성공조건 - 제도적 접근 -, 지역연구시리즈 06-01, KIEP, 2006. 12 (참여)
- The Success Story of Switzerland: How could Switzerland's Specific Political Institutions - Contribute to the Country's Political Stability and Economic Wealth?, KIEP Regional Experts Series 06-01, 2006. 08 (참여)
- 한-EU FTA의 경제적 효과분석과 정책적 대응방안, 정책연구 05-09, KIEP, 2005. 12 (PM)
- 비교방법론적 분석을 통해서 본 동북아 경제통합, 단행본, KIEP, 2005. 12 (참여)
- 전세계적 양극화 추세와 해외 주요국의 대응, 정책자료 05-04, KIEP, 2005. 12 (PM)
- 세계화의 새로운 국면과 도전: 한국과 독일의 경험을 중심으로, 세미나자료모음 05-03, KIEP, 2005. 12 (PM)
- 최근 독일의 정치경제 현황과 한독경제관계, 지역리포트 05-04, KIEP, 2005. 11 (PM)
- 선진통상국가의 개념정립, 정책자료 05-01, KIEP, 2005. 4 (참여)
- 거대경제권과의 FTA 평가와 정책과제, 정책연구 04-11, KIEP, 2004. 12 (참여)
- 중·동구 주요 EU 신규가입국의 적정환율 분석과 EMU가입에 대한 시사점, 지역연구 04-03, KIEP, 2004. 12 (PM)
- EMU협상의 정치경제학과 동아시아 통화통합에 대한 시사점, 지역연구 04-02, KIEP, 2004. 12
- 거시경제적 성과로 본 유럽경제의 효율성 분석, 지역연구회시리즈 04-02, KIEP, 2004. 12 (참여)
- Monetary Union and Real Convergence Compared: Europe and East Asia, KIEP discussion paper 04-01, 2004. 4 (PM)
- 2004년 EU확대와 유럽경제의 변화, 지역연구 03-02, KIEP, 2003. 12 (PM)
- 아프리카 섬유산업의 현황과 한국기업의 진출확대방안, 지역연구 03-01, KIEP. 2003. 10 (PM)
- 중동 주요국의 교역구조 분석 및 한국의 대중동 통상확대 전략, 정책연구 02-19, KIEP. 2002. 12 (단독)
- 최근 이란의 석유산업 동향과 우리 기업의 진출 확대 방안, 한국수출입은행, 2002. 12 (참여)
- Has Trade Intensity in ASEN+3 increased? Evidence from a gravity analysis, KIEP Working Paper 02-12, 2002. 11
<논 문>
- 한-EU FTA 서비스 자유화의 경제적 영향 평가, 국제통상연구, 13(2), 한국국제통상학회, 2008. 9 (공저)
- An Evaluation of the Ongoing Negotiation of the Korea-EU FTA: A Comparison with the Korea-US FTA, EU學硏究 13(1), 한국EU학회. 2008. 8 (단독)
- 한국의 지역통상정책에서 한-EU FTA가 갖는 의의, 『한국의 대외 경제정책과 동아시아 공동체』, 한국국제경제학회 창립30주년 기념 논문집, 한국국제경제학회, 2007. 12 (단독)
- 한EU FTA의 경제적 효과와 추진전망, 京畿論壇, 9(3), 경기개발연구원, 2007. 9 (단독)
- Contemporary Korea-India Economic Relations, Taiwanese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2007, vol. 1, 2007. 6 (단독)
- 韓-EU FTA의 意義와 推進過程: 評價와 展望, 經濟論集, 46(2), 서울大學校 經濟硏究所, 2007. 6 (단독)
- The European Union in the Eyes of Korean Elites,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4(2), 2006. 12 (공저)
- 유럽의 거시 경제적 성과와 과제, EU學硏究 11(1), 한국EU학회, 2006. 8 (공저)
- Ten Years of ASEM and Korea's Role: a Retrospective Assessment, EU學硏究, 제10권 제2호, 한국EU학회. 2005. 12 (공저)
- 한-EU FTA의 주요 쟁점과 평가, 국제지역연구 9(3), 2005. 11 (단독)
- The Process of European Monetary Integr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East Asia, 경상논총 33, 한독경상학회, 2005. 9 (공저)
- Korea-EU Trade Relations: Over-traded or Under-traded?,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2(2), 2004. 12 (공저)
- EMU모형에 비추어 본 동아시아 통화통합의 경로, 대외경제연구 8(2), 2004. 12 (공저)
- Are the New Member States really Integrated to the Incumbents?: A Gravity Analysis on the Bilateral Trade Performances in the Enlarged EU, Asia 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2004. 8 (공저)
- Diversity, Institutions and Economic Growth in Sub-Saharan Africa, EU學硏究, 제8권 제2호, 한국EU학회. 2003. 12 (공저)
-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Roles of the US and the EU, Asia Europe Journal, I: 503-509. 2003. 12 (단독)
- A Derivation of Potential Korean Exports to Africa, 대외경제연구 6(2). 2002. 12 (단독)
- 자본축적과 지역성장의 양극화, 경제발전연구 제7권 제2호, 한국경제발전학회, 2001. 12 (단독)
- 독일의 지역간 성장 격차와 산업별 기여도 분석, EU學硏究, 제6권 제1호, 한국EU학회, 2001. 8 (단독)
- 수렴도 2%는 과연 안정적인가? : 구 서독지역 성장의 수렴도 분석, EU學硏究, 제4권 제1호, 한국EU학회, 1999. 9 (단독)
- Ten Problems Hindering Transformation of Korean Economy, Korea Focus on Current Topics, Korea Foundation, July-August, Vol.4, No.4, 1996. (단독)
- 브렉시트를 어떻게 보아야 하나, (계간)외교, 한국외교협회, 2019. 10
- 브렉시트의 배경, 향후 전망과 영향, 예산춘추, 국회예산정책처, 2019. 5
- 아세안에서 아시아공동체(AU)로: EU의 사례로 본 아세안지역 통합의 현실과 미래, Global Affairs Vol.15, No.3, 세종연구원, 세종대학교, 2015. 6
- Korea and the European Union: A Changing Landscape, in Richard Youngs ed. " A New Context for EU-Korea Relations," FRIDE, 2013. 11
- Korea and East Asia in a Changing Regional and Global Environment, (S.H Park, R. Frank co-ed), Conference Proceedings 12-03, KIEP, 2012. 12
-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Lessons from Europe, in Korea's Economy, Vol.28. Korea Economic Institute, 2012. 11
- Asia and the European Union: Looking for a Way of Creating Shared Value, in The Asian-European Agenda, Ideas for Crisis Prevention and Effective Cooperation, Europe in Dialogue, Bertelsmann Foundation, 2012. 4
- Regionalism, Economic Integration and Security in Asia, (Jehoon Park, T. J. Pempel co-ed) Edward Elgar, 2011. 5
- Regional Integration in Europe and Asia, (Sung-Hoon Park co-ed) Transformation, Development, and Regionalization in Greater Asia 6, Nomos, Germany, 2009. 6
- The Political Economy of European Economic and Monetary Union Negotiations and Implications for East Asia, in Hoichi Hamada, Beate Reszat and Ulich Volz ed. "Towards Monetary and Financial Integration in East Asia," Edward Elgar, 2009. 5
- The Asia Strategy of the European Union and Asia-EU Economic Relations: History and New Developments, in Richard Balme and Brian Bridges ed. "Europe-Asia Relaions, Building Multilateralisms," Palgrave Macmillan, 2008. 5
- Financial Integration in East Asia: which role for Korea?, in Francoise Nicolas ed. "Korea in the New Asia," Routledge, 2007. 7
- The Development of Korea-EU Relation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n Seidelmann R. and M. Ceu Esteves eds. "EU-Asian Relations: State of Affairs, Problems and Perspectives," 2006. 11
- 한-EU 통상관계의 변천, "한국무역사," 한국무역협회, 2006. 11 (공저)
- “Socio-economic Disparity in the APEC Region” submitted and approved by the Economic Committee of APEC, (2006/SOM3/008rev1), Danang, Vietnam, 2006. 9
- 한-EFTA FTA의 주요내용, 외교통상부/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12
- Nouvel ordre economique mondial: la vision de l'Asie de l'Est, Geoeconomie. N.34, Choiseul, 2005. 7
-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Asia-Pacific Region, Conference Proceedings 03-03, KIEP. 2003. 12.
- 통일 전후 구 서독의 지역별 경제 성장에 관한 연구』 SIES Working Paper, No.101, 서울사회경제연구소, 1999. 6
이외 70여 편의 수시 연구자료/기고문 및 60여 건의 연구용역보고서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