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ESG 경영
조직
러시아유라시아팀
박정호 | 직급 | 팀장 | 분야 | 러시아·CIS 정치경제 | 연락처 | 044-414-1255 | 메일 보내기 |
---|---|---|---|---|---|---|---|
정민현 | 직급 | 연구위원 | 분야 | 경제성장론, 제도경제, 러시아·CIS | 연락처 | 044-414-1128 | 메일 보내기 |
정동연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CIS, 몽골, 코카서스 경제 | 연락처 | 044-414-1167 | 메일 보내기 |
민지영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러시아, CIS 지역 | 연락처 | 044-414-1095 | 메일 보내기 |
강부균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러시아, CIS 경제 | 연락처 | 044-414-1242 | 메일 보내기 |
김경민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러시아, CIS 정치경제 | 연락처 | 044-414-1507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255
주력분야 러시아·CIS 정치경제
[KIEP 발간물]
- “Social & Economic Policies of Putin's Fourth Term and Implications for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8-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7.
- “푸틴 집권 4기 사회·경제 정책 방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5.
- “Recent Development of Russia – Japan Economic Relations and Implications for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8-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
- “한ㆍ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산업협력 증진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7-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중앙아시아 개발과제와 한·중앙아 신협력 방향” (공저), 연구보고서 17-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of Major Central Asian Countr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7-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25 Years of Korea-Central Asia Diplomatic Relations: The Direction of Future Cooperation”, KIEP Opinions no.1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5.
- “러·일 경제관계 진전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5.
- “중앙아 주요국의 경제발전 전략과 경협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6-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우크라이나 위기 발발 이후 러시아 경제상황 변화와 정책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6-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9.
- “The Role of Korea-Central Asia Cooperation Forum for Eurasia Initiative”, KIEP Opinions no.8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3.
- “EEU 출범과 유라시아 국제관계 변화” (공저), 연구보고서 14-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직급 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128
주력분야 경제성장론, 제도경제, 러시아·CIS
-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경제학 박사
-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
- 성균관대학교 경제학 학사
- 2018.8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부연구위원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67
주력분야 CIS, 몽골, 코카서스 경제
- 2010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국제협력학 석사
-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
- 몽골 선거제도 개편과 2024 총선 전망,
- 중앙아 3개국 경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향,
- 중앙아시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앙아시아 협력 방안, 2022.12
-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
- 유라시아 역내 국제남북운송회랑(INSTC)의 개통 의미와 전망,
- 한·코카서스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미래협력 방향,
- 아제르바이잔 경제발전전략과 한국과의 신협력 과제,
- 러시아 IT 산업 발전과 한-러 협력: 러시아의 경제 구조 전환을 중심으로, 2020.12
- 중앙아시아 및 코카서스 지역의 코로나19 확산 동향과 경제적 영향,
- 몽골 축산물가공업 육성 동향과 한·몽 협력 과제,
- 한국의 신북방 경제협력 거버넌스 개선 방안 연구: 러시아를 중심으로, 2019.12
- 중·몽·러 경제회랑 추진 현황과 시사점: 몽골의 시각에서,
- 코카서스 3국 경제발전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주요 용역보고서]
- 한-몽골 EPA 서비스·투자 분야 연구용역, 2023, 산업통상자원부.
- 2021년 국제개발협력 평가 연구용역, 2021, 국무조정실.
- 한-조지아 FTA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 검토, 2021, 산업통상자원부.
- 한·몽 산업협력 확대와 공동협력 전략 수립, 2019, 산업통상자원부.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95
주력분야 러시아, CIS 지역
- 2024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 박사
- 2011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 석사
- 2007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학사
- 2011.9 ~ 현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P 발간물]
- “2016년 세계경제 전망 (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6.
- “Russia’s Economic Modernization Policy and Implications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6-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
- “한·러 경제협력의 평가와 중장기 비전” (공저), 단행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Оценка текущего российско-корейского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и перспективы развития на средне- и долгосрочный период” (공저), 단행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러시아의 ‘경제 현대화’ 정책과 한·러 협력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5-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2016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1.
- “Recent Development in the Russian Far East-Baikal Region and Its Implicat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5-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8.
- “2015년 세계경제 전망(제2차 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7.
- “2015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
- “러시아의 극동 · 바이칼 지역 개발과 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4-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2015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4-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1.
- “2014년 하반기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4-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7.
- “Toward Korea-Belarus Cooperation in the ICT Sector”, World Economy Brief 14-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6.
- “Russian Arctic Development Strategy and New Possibility for Korea-Russia Cooperat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4-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5.
- “'우크라이나 위기'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지역경제포커스 14-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4.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러시아의 주요산업_전력인프라, 의료서비스”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한·벨라루스 ICT산업 협력방안”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2014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3-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1.
- “러시아의 북극개발전략과 한·러 협력의 새로운 가능성”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2013년 하반기 세계경제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3-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7.
- “The Russian ODI and FDI Promotion Strategy of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4.
- “조지아의 주요 산업: 교통 인프라, 정보통신 산업을 중심으로”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2-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2013년 세계경제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0.
- “최근 보호무역주의 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0.
- “블라디보스토크 APEC 정상회의 이후 한·러 협력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9.
- “유럽 재정위기가 신흥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8.
- “조지아 경제발전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8.
- “최근 러·중 경제협력 강화: 특징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7.
- “러시아 대선 이후 푸틴 정부의 경제정책 전망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3.
- “러시아의 WTO 가입: 경제적 효과와 우리의 대응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3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2012년 세계경제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3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42
주력분야 러시아, CIS 경제
- 2010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국제학 석사
- 2005 연세대학교 노어노문학 학사
[KIEP 발간물]
- “우크라이나 위기 발발 이후 러시아 경제상황 변화와 정책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16-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9.
- “러시아 경기침체가 중앙아시아 해외송금유입에 미치는 영향”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7.
- “Russia’s Economic Modernization Policy and Implications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6-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
- “러시아의 ‘경제 현대화’ 정책과 한?러 협력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5-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Recent Development in the Russian Far East-Baikal Region and Its Implicat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5-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8.
- “수교 25주년, 한·몽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3.
- “러시아의 극동·바이칼 지역 개발과 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4-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최근 우크라이나 위기의 배경과 전망”, 지역경제포커스 1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3.
- “한·러 비자면제협정 체결의 경제적 효과와 활용 방안” (공저), 연구자료 13-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러시아의 주요산업_전력인프라, 의료서비스”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3기 푸틴 정부의‘대외정책개념’과 정책적 시사점”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The Putin Administration's Far East Development Plans and the Future of Korea-Russia Cooperat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6.
- “The Rise of Shale Gas and Russia’s Countermeasure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5.
- “셰일가스의 부상과 러시아의 대응”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3-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2.
- “조지아의 주요 산업: 교통 인프라, 정보통신 산업을 중심으로”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2-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블라디보스토크 APEC 정상회의 이후 한·러 협력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9.
- “조지아 경제발전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8.
- “최근 러·중 경제협력 강화: 특징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7.
- “주요국의 셰일 가스 개발 동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6.
- “러시아 대선 이후 푸틴 정부의 경제정책 전망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3.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507
주력분야 러시아, CIS 정치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