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ESG 경영
조직
무역투자정책팀
구경현 | 직급 | 팀장 | 분야 | 국제무역, 노동, 중소기업 | 연락처 | 044-414-1271 | 메일 보내기 |
---|---|---|---|---|---|---|---|
예상준 | 직급 | 연구위원 | 분야 | FDI, GVC, 디지털경제 | 연락처 | 044-414-1157 | 메일 보내기 |
연지흠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거시, 노동, 재정, 무역 | 연락처 | 044-414-1156 | 메일 보내기 |
이현진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첨단 ICT 산업, GVC | 연락처 | 044-414-1324 | 메일 보내기 |
김혁황 | 직급 | 선임연구원 | 분야 | FDI, 국제무역 | 연락처 | 044-414-1135 | 메일 보내기 |
박혜리 | 직급 | 선임연구원 | 분야 | 수출 중소기업, 탄소국경조정(CBAM), 조달통상 | 연락처 | 044-414-1029 | 메일 보내기 |
김민성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원산지규정, 무역원활화 | 연락처 | 044-414-1113 | 메일 보내기 |
정민철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상품무역, 비관세조치 | 연락처 | 044-414-1052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271
주력분야 국제무역, 노동, 중소기업
- 2017 미시간주립대학교
경제학 박사
- 2010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
- 2007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경제학 학사
[경력]
- 2020.7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무역투자정책팀장
- 2022.7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2017.7 ~ 202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수상]
- 2022. 5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우수 연구보고서상 (제2022-20호)
- 2021. 5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우수 연구보고서상 (제2021-83호)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발간 예정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1-16, 2021.12.
"중국인의 삶의 질 분석: 전면적 소강사회에 대한 경제학적 고찰" (공저), 연구보고서 21-14, 2021. 12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연구책임), 중장기통상전략연구 20-03, 2021.09.,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우수 연구보고서(제2022-20호)
"무역구조의 변화가 국내 고용구조에 미친 영향과 정책 시사점"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19, 2020.12.,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우수 연구보고서(제2021-83호)
"포용적 무역을 위한 중소기업의 국제화 정책방향 연구"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19-16, 2019.12.
"자유무역협정의 구성요소가 교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공저), 연구보고서 18-24, 2018.12.
"사회통합형 통상정책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8-31, 2018.12.
(연구자료)
"The Rise of China and the Rebound in Korea’s Manufacturing Employment" (공저, 연구책임), KIEP Working Paper 18-07, 2018.12
(정책브리핑ᆞ현안자료)
"The Effects of Online Export Promotion Policies for SMEs in Korea", World Economy Brief 22-45, 2022.10.
"The Effects of Increased Trade with China and Vietnam on Workers' Earnings and Job Security in Korea", World Economy Brief 22-15, 2022.04.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공저, 연구책임), 오늘의 세계경제 22-04, 2022.03.
"The Effects of Free Trade Agreements on SMEs' Direct and Indirect Exports", World Economy Brief 21-08, 2021.03.
"The Components of Free Trade Agreements and Their Effects on International Trade" (공저), World Economy Brief 20-12, 2020.06.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의 국제적 확산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10, 2020.03.
"The Impact of China's Rise on the Korean Labor Market and Its Implications", KIEP Opinions No157, 2019.04.
[주요논문]
"The Evolution of Earnings Volatility during and after the Great Recession" Industrial Relations, 55.4, 2016.
"Essays on Job Displacement and Earnings Volatility" 학위논문(박사), 미시간주립대학교, 2017.
[Working Paper]
"How Did Men's Earnings Volatility Change during the Great Recession? A comparison of Evidence betweeen the PSID and CPS"

직급 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157
주력분야 FDI, GVC, 디지털경제
-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경제학 박사
- 연세대학교 경제학 석사
- 연세대학교 수학, 경제학 학사 (최우등 졸업)
[경력/수상]
- 2019.6 ~ 현재: 부연구위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무역통상실
- 202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우수보고서상 (최우수 연구보고서, 제811호)
- 202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우수보고서상 (최우수 현안분석자료, 제828호)
[KIEP 발간물]
<연구보고서>
- "지식재산권의 국제 논의 동향과 영향에 관한 연구"(공저),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04(예정)
- "WTO 상소기구의 기능 변화와 전략적 통상 정책"(공저),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04(예정)
<오늘의 세계경제>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의 국제적 확산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0-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03
<기타 논문>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156
주력분야 거시, 노동, 재정, 무역
- 2017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경제학 석사
- 2015 한양대학교 (서울) 경제금융학부 경제학 학사
- 2021.1-2023.6: Federal Reserve Bank of Minneapolis 연구원
- 2019.9-2020.5: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NBER) 연구조교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324
주력분야 첨단 ICT 산업, GVC
- 2016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산업 및 시스템공학 석사
- 2013 Tsinghua University 산업공학 학사
- 2024.12-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 2024.03-2025.02: 한양대학교 중국지역통상학과 겸임교수
- 2021.06-2024.12: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
- 2020.08-2021.06: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산업경영연구소 연수연구원
직급 선임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35
주력분야 FDI, 국제무역
- 2005.9 ~ 현 재 : KIEP 무역투자정책실 지역통상팀 전문연구원
- 2003.8 ~ 2005.8 : KIEP 동북아경제협력센터 연구원
- 2003.2 ~ 2003.7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연구보조원
- 2001.2 ~ 2003.2 : 숭실대학교 대학원 연구조교
-“외국인직접투자 유형별 결정요인 분석” (공저), 연구보고서 15-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국내 R&D 투자가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 생산성 변화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4-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무역 및 투자 개방이 한국의 FDI에 미치는 영향” (공저), 연구보고서 13-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경제개방과 R&D 정책의 상호작용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2-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국내 외국인직접투자의 투자형태별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 (공저), 무역투자연구시리즈 12-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5.
- “한국의 중간재 교역 결정요인과 생산성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1-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기발효 FTA에 따른 한국의 상품경쟁력 변화 분석” (공저), 무역투자연구시리즈 1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한국 해외투자의 경제적 효과 분석: 생산성, 무역, 고용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0-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국내 외국인직접투자의 경제적 효과 및 투자환경 개선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09-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한국의 교역구조와 경상수지 변동요인 분석” (공저), 연구보고서 08-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국경간 M&A를 통한 한국기업의 해외진출전략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08-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글로벌 아웃소싱 확대에 따른 한국의 과제와 대응” (공저), 연구보고서 07-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 “The Determinants of Cross-border M&As” (공저), Working paper 07-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1.
- “한·중·일 FTA: 제조업 부문의 대응전략 - 민감품목 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05-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12.
-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금융국제화 진전과 향후 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04-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12.
[주요 논문]
-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Firm R&D on Foreign Market Performance: Evidence from Korean Firms” (with Seungrae Lee and Jounwon Lee),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dustry Studies, Vol.20, No.2, pp. 29-57, 2015
- “Different Types of Liberalization and Jobs in south Korean Firms” (with Hongshik Lee), Journal of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Vol.19 No.1, pp. 71-97, 2015
- “Technology diffusion and host-country productivity in South-South FDI flow” (with Hongshik Lee and Joonhyung Lee), Japan and the World Economy Vol.33, pp. 1-10, 2015.
- “한국의 현시된 비교우위 패턴과 순외국인직접투자” (이홍식, 박소영 공저), 국제지역연구 제18권 제2호, pp. 263-286, 2014.
- “중국의 FDI 결정요인 분석: Revisited” (이홍식, Chen Lei 공저), 동북아경제연구 제24권 제4호, pp. 95-122, 2012.
- “한국의 해외직접투자가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현혜정 공저), 국제통상연구 제16권 제3호, pp. 1-28, 2011.
- “외국인직접투자의 기업생산성 효과분석: 투자유형을 중심으로” (이홍식 공저), 국제통상연구 제16권 제3호, pp. 59-78, 2011.
- "The Determinants of Korea’s Terms of Trade: The Real-Side Approach" (wit Lee Hongshik), Journal of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Vol.15 No,4, pp. 21-48, 2011.
- "The Determinants of Cross-border M&As: The Role of Institutions and Financial Development in the Gravity Model" (with Hyun Hea-Jung), The World Economy Vol. 33 Issue 2, pp. 292-310, 2010.
- "Regional production networks. service offshoring. and productivity in East Asia" (co-authored), Japan and the World Economy Vol.22 Issue3, pp. 206-216, 2010.
-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to Korea." (with June Dong Kim), Journal of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Vol.14 No.2, pp. 21-48, 2010.
- “중국 주식시장의 제도변화에 따른 정보효율성 비교”, 사회과학논총 제8집,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pp. 133-158, 2006.
- “BT 산업 R&D의 기업 생산성 분석” (이홍식 공저), 국제통상연구 제11권 제3호, pp. 1-15, 2006.
- “풋-콜 패리티를 이용한 KOSPI200 옵션시장의 효율성 분석” (서병선 공저), 素岡 박태하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2004.
-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이홍식 공저), 대외경제정책연구 제8권 제2호, pp. 257-289, 2004.
- “국채 수익률과 신용 스프레드의 관계에 대한 동태적 분석” (서병선 공저), 금융학회지 제8권 제1호, pp. 61-85, 2003
직급 선임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29
주력분야 수출 중소기업, 탄소국경조정(CBAM), 조달통상
[KIEP 발간물]
- 박혜리(2022), ‘미국의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 정책 강화 동향 및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경제포커스
- 박혜리(2021),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의 중소기업에 대한 영향과 해외 정책사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경제포커스
- 'EU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에 대한 통상법적 분석 및 우리 산업에의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오늘의세계경제, 2022. 공저
- 박혜리(2021), '바이든 행정부의 바이 아메리카 (Buy America) 강화 동향과 정부조달시장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경제포커스
-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2. 공저
-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방안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자료. 2021
-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1. 공저
-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 공저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의 국제적 확산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오늘의세계경제, 2020. 공저
- 박혜리(2019), 세계거버넌스지수(WGI)를 활용한 우리나라의 제도경쟁력 현황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P 기초자료
- 박혜리 (2018), 'Buy National' 정책의 확산과 최근 정부조달 국제논의 동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P 기초자료
-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2. 공저
-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방안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자료. 2021
-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1. 공저
-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 공저
- ‘신흥국 정부조달시장 개방 실태 분석과 중소기업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9. 공저
- ‘포용적 무역을 위한 중소기업의 국제화 정책방향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9. 공저
- ‘자유무역협정의 구성요소가 교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 공저
- ‘산업연관관계를 고려한 무역구제조치의 경제적 영향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7. 공저
- ‘신보호무역주의하에서의 비관세조치 현황과 영향에 관한 연구: UNCTAD 비관세조치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7. 공저
- ‘한국의 수입구조 결정요인과 기업분포에 미치는 영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 공저
- “개정 정부조달협정(GPA)의 주요 내용과 정책 시사점”, 오늘의 세계경제 16-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
- “APEC’s Liberalization Efforts on Environmental Good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5-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2.
- “무역구제조치가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반덤핑조치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4-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한국산 유정용 강관에 대한 미국 상무부의 덤핑 최종판정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4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8.
- “TPP 협상국의 정부조달시장 개방 현황과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13-3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7.
- “Designing New Climate Regime: An Integrated Solution with Mitigation and Finance Mechanism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3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7.
- “APEC 환경상품 논의 동향과 한국의 대응방안: 2012 환경상품 리스트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자료 13-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5.
- “신기후변화체제하에서 한국의 대응전략: 새로운 감축-지원 통합 메커니즘의 모색” (공저), 연구보고서 12-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중국의 WTO 정부조달협정(GPA) 가입협상 동향과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12-3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0.
- “무역조정지원제도의 주요 개정내용과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12-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3.
- “개방화 효과 극대화를 위한 경쟁구조에 대한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1-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미국 무역조정지원제도의 최근 논의동향과 향후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1-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6.
- “DDA 협상 의장보고서의 주요 내용과 향후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5.
- “미국의 한국산 냉장고 반덤핑·상계관세 조사 개시의 평가와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1-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5.
- “한미 철강 제로잉 분쟁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1-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4.
- “EU의 그린조달제도 운영 현황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1-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3.
- “주요국의 서비스 교역장벽 측정과 정책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09-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유럽세계화조정기금의 운영 현황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9-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2.
- “사회안전망 측면에서의 무역조정지원제도 발전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08-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한·미 FTA 이후 미국 정부조달시장 진출전략” (공저), 무역투자연구시리즈 08-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4.
- “한·중 FTA 반덤핑분야: 제도 및 예상 쟁점” (공저), 무역투자연구시리즈 07-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8.
- “무역자유화 피해 지원제도: 미국 EU 사례와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5-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4.
- “한ㆍ일 김 수입쿼터 분쟁의 패널 설치와 향후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 05-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4.
- “수입선다변화제도 철폐 5년의 평가: 가전산업의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자료 04-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12.
[저서]
- 『한ㆍ미 FTA 바로 알기 2006』 (공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
[용역보고서]
- 중소기업 간접수출 규모 추정 및 정책제언 용역(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 한-미 FTA 이행상황평가 연구보고서 용역(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 한-영 공급망 협력방안 발굴과제(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 한-미 FTA 이행상황평가(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
- 온라인수출사업 성과분석 및 최신 트렌드를 활용한 사업적용방안 연구용역(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
- 통상피해 지원을 위한 무역조정지원제도 세부제도운영 방안 연구(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 업종별 中企 간접수출비중 산출을 통한 수출 지원정책 시사점 도출 연구(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 한-중국 FTA 이행상황 평가보고서(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 한-UAE FTA 경제적 효과 분석(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 글로벌 통상위기 대응을 위한 무역조정지원제도 확대방안 정책연구(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 2020년 수출인큐베이터 운영혁신 및 성과도출 방안(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 아시아-태평양 무역협정(APTA) 활용 현황 분석 연구(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
- 한-우즈벡 FTA 공동연구(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
- 한-영 FTA 경제적 영향평가(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
- FTA 15년 성과와 정책연구 방향(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
- “한국 사례를 바탕으로 한 RCEP 경제기술협력 분야 발전 방안“ (공저), 산업통상자원부, 2014
- “한·캐나다 FTA 경제적 영향분석“ (공저), 산업통상자원부, 2014.
- “한·호주 FTA 경제적 영향분석“ (공저), 산업통상자원부, 2014.
- “한·콜롬비아 FTA 영향 평가“ (공저), 기획재정부, 2012.
- “한·터키 FTA의 산업영향 분석” (공저), 외교통상부, 2012.
- “환태평양전략적경제동반자협정(TPP) 전개에 따른 한국의 전략적 접근 연구” (공저), 기획재정부, 2011.
- “WTO 정부조달협정 및 FTA 협정을 활용한 국내기업의 해외민간투자사업 진출 방안 연구” (공저), KDI, 2011.
- “WTO 정부조달협정 개정의 경제적 효과추정” (공저), 외교통상부, 2011
- “한중일 FTA대비 비관세장벽 실태조사 및 대응방안 연구” (공저), 지식경제부, 2010.
- “2009년도 통상환경 보고서 분야별 분석” (공저), 외교통상부, 2009.
- “한 이스라엘FTA 민간공동연구” (공저), 외교통상부, 2009
- “CGE모형을 이용한 한중 FTA체결의 경제적 효과분석” (공저), 외교통상부, 2009.
- “한중 한일 FTA 거시경제적 효과” (공저), 2009.
- “중국의 기체결 FTA 분석” (공저), 지식경제부, 2008.
- “한일FTA 체결의 효과분석 및 협상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방향” (공저), 재경부, 2008
- “무역전문인력양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에 관한 연구” (공저), 무역협회, 2007.
- “한ㆍ페루 FTA 타당성 분석” (공저), 외교부, 2007.
- “한ㆍ중 FTA 추진시 예상되는 쟁점과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공저), 재경부, 2007.
- 한ㆍ미 FTA체결에 따른 미국정부조달시장 진출전략 및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 (공저), 조달청, 2006.
- “2006년 통상환경보고서” (공저), 외교부, 2006.
- “한ㆍ중 FTA 민간공동연구” (공저), 외교부, 2006.
- “캄보디아 상품-서비스 무역능력 배양사업 PMC 용역” (공저), KOICA, 2006.
- “FTA 피해근로자 지원방안” (공저), 노동부, 2006.
- “2014년 제17회 아시아 경기대회 인천유치 타당성 조사” (공저), 인천시청, 2006.
- “대외개방에 따른 구조조정 지원관련 제조업 및 농수산업 DB 구축방안 연구” (공저), 산업연구원, 2005.
- “2005년 통상환경보고서” (공저), 외교부, 2005
- “중소기업 해외활동지원에 관한 정부조직 개편방안” (공저), 국회, 2005.
- “주요국의 FTA 피해산업 대책-미국TAA, EU구조기금” (공저), 대한상공회의소, 2004.
- “한ㆍ칠레 FTA 백서“ (공저), 농업경제연구원, 2004.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13
주력분야 원산지규정, 무역원활화
- 이화여대 국제경영학 석사
[연구보고서]
- DDA협상 조기수확패키지의 경제적 효과분석과 정책 대응 (연구보고서 , 2013.12.30)
- 무역상 기술장벽(TBT)이 무역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보고서 , 2011.12.30)
- 최빈개도국에 대한 특혜관세제도 활용 현황과 과제 (연구보고서 , 2010.09.15)
- 한ㆍASEAN FTA 효율적 이행을 위한 연구: 상품 무역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 2009.12.30)
- 국내 외국인직접투자의 경제적 효과 및 투자환경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 2009.12.30)
- 한국 FTA 원산지규정의 특성 및 활용전략 (연구보고서 , 2008.12.30)
- 한국과 중국의 FTA 원산지규정 비교: 주요 산업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 2008.05.23)
- 글로벌 아웃소싱 확대에 따른 한국의 과제와 대응 (연구보고서 , 2007.12.30)
- NAFTA 이후 멕시코 경제의 변화와 시사점 (연구보고서 , 2006.07.18)
- 2006.05.31 NAFTA 이후 멕시코 경제 변화의 이해
- 2006.04.20 한-미 FTA 의의와 기대효과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52
주력분야 상품무역, 비관세조치
- 2016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 석사
- 2015.11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무역통상실 무역투자정책팀 전문연구원
[KIEP 발간물]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의 국제적 확산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공저), 연구보고서 20-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9.3
- "한국의 비관세조치 현황: UNCTAD 자료를 중심으로" (공저), 기초자료 20-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
- "한・중 FTA 발효 이후 한・중 무역의 변화와 시사점" (공저), 기초자료 19-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2
- "사회통합형 통상정책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7-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 무역구제제도의 변화와 주요 사례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18-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미 자동차 232조 조사의 향후 전망 및 대응방안" (공저), 기초자료 18-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7
- "최근 미 세이프가드(통상법 201조) 조치의 주요 쟁점과 대응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2
- "신보호무역주의하에서의 비관세조치 현황과 영향에 관한 연구: UNCTAD 비관세조치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7-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원산지 누적 조항의 무역비용 추정과 경제적 효과" (공저), 연구보고서 17-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1
- "한국의 비관세조치 현황 분석: NTM-HS코드 연계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7-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09
- "한국의 비관세조치 현황 분석: 비관세조치 식별 DB 구축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6-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서비스 분야 규제완화가 외국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 STRI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6-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한·중 FTA 발효 1년의 평가와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3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주요 논문]
- "한국의 무역자유화에 따른 후생효과 분석: 수입다양성 증가를 중심으로." 국제통상연구 21.1, pp.87-127,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