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개
조직
세계지역연구2센터
곽성일 | 직급 | 센터장 | 분야 | 동남아 경제/투자/아세안/ASEAN/공급망/ 경제안보 | 연락처 | 044-414-1050 | 메일 보내기 |
---|---|---|---|---|---|---|---|
최여은 | 직급 | 선임연구조원 | 분야 | 연구 행정 | 연락처 | 044-414-1256 | 메일 보내기 |
정순복 | 직급 | 선임연구조원 | 분야 | 연구 행정 | 연락처 | 044-414-1161 | 메일 보내기 |
최현주 | 직급 | 선임연구조원 | 분야 | 연구 행정 | 연락처 | 044-414-1238 | 메일 보내기 |

직급 센터장
전화번호 044-414-1050
주력분야 동남아 경제/투자/아세안/ASEAN/공급망/ 경제안보
-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경제학 박사
-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경제학 석사
- (2011-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22-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경제안보전략실장
- (2016-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APEC연구컨소시엄사무국장(겸)
- (2016-현재) 한국 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 사무국장
- (2020-2021)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역임
- 2019 미국 American University, Info Technology & Analytics 방문교수 역임
- 2018 신남방경제실장
- (2018-현재) 국제지역학회 부회장 및 동남아지역위원장 역임
-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주저자),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12 (발간예정)
-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주저자),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12 (발간예정)
- 한-베트남 수교 30주년 경제적 성과와 향후 과제 (주저자), 오늘의 세계경제 22-21, 2022.12
- 한국-베트남 경제·사회 협력 30년: 지속가능한 미래 협력 방안 연구(한국어본 및 베트남어본) (주저자), 연구보고서 21-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12
- 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및 대외경제 협력 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21-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12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디지털화와 한국의 협력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20-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2
- 인도태평양 전략과 신남방정책의 협력 방향, (공저), 연구보고서 20-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2
- “The Growth of the ASEAN Infrastructure Market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in Korea” (주저자), World Economy Brief 19-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7.
- “ASEAN 지역의 인프라 시장 확대와 한국기업의 진출 방안” (주저자), 연구보고서 18-05, 2019.3
- “한·인도, 한·싱가포르 정상회담 성과와 신남방정책의 과제” (주저자), 오늘의 세계경제18-29, 2018.8
- “APEC 내 디지털 경제 논의 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 방향” (주저자), KIEP기초자료 18-09, 2018. 5
- “2017 APEC 정상회의 결과와 포용적 성장의 향후 전망” (주저자), 오늘의 세계경제 17-32, 2017. 12
- “한국 중소기업의 동남아 주요국 투자실태에 대한 평가와 정책시사점” (주저자), 연구보고서 17-04, 2017.11
- “APEC 보고르 목표 이행 현황 점검과 향후 전망” (주저자), KIEP기초자료 17-01, 2017. 9
- “한·베트남 수교 25주년 성과와 과제” (주저자) 오늘의 세계경제 17-10, 2017.3.
- “한-아세안 기업간 지역생산네트워크 구축전략” (주저자), 연구보고서 16-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주요국의 대(對)베트남 진출전략과 시사점” (주저자), 연구자료 16-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6.
- “2016년 세계경제전망(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22, 2016.6.
- “아세안 경제공동체(AEC)의 미래와 우리의 대응” (주저자), 오늘의 세계경제 16-06, 2016.2.
- “아세안경제통합과 역내 무역투자 구조의 변화 및 시사점” (주저자), 연구보고서 15-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한-러 경제협력의 평가와 중장기비전” (공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Localiz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Recent Changes in the Southeast Asian Labor Market Environment” (주저자), World Economy Brief 15-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Reassessment of South Korea's Development Assistance”, (주저자), KIEP Opinions 7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2015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4-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7.
- “동남아 주요국 노동시장의 환경 변화와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주저자), 연구보고서 14-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Financial Inclusion and Microfinance: On the Cases of ODA and Analysis of the Poverty Reduction Effect” (주저자), World Economy Brief 14-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4.
- “주요국의 대아프리카 환경 ODA 공여정책과 결정요인 분석 및 시사점” (주저자), 전략지역 심층연구 13-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MENA 지역의 보건의료산업 동향 및 국내 산업과의 연계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3-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금융포용과 마이크로파이낸스: ODA 지원사례 및 빈곤감소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주저자), ODA정책연구 13-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국제행사타당성조사 일반지침 수립을 위한 방법론 연구” (공저), 연구자료 13-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Korea’s Cooperation Schemes to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Ethiopia” (주저자), World Economy Brief 13-5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The Challenges of Korean Development NGOs and Their Comparative Advantages”, (주저자) KIEP Opinions 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1.
- “아프리카 건설·플랜트 시장특성 분석 및 한국의 진출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2-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아프리카 개발수요와 한국의 분야별 ODA 추진방안” (공저), ODA지역연구 12-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ODA 사업의 비용편익분석” (주저자), ODA정책연구 12-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에티오피아의 중소기업 발전과제와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주저자), 전략지역 심층연구 12-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Regional Difference and Counterfactual Decomposition of Pro-Poor Growth: An Application to Rural Ethiopia”, (주저자), Working paper 11-06, KIEP, 2011.12.
[용역 보고서]
-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위한 對아세안 협력방안 (주저자), 기획재정부 수탁과제 2022.12
- APEC 개도국 역량강화사업(CBNI) 4단계 액션플랜 수립 (주저자), 외교부 수탁과제, 2022, 12
- 2025년 APEC 주제 관련 연구 (주저자), 외교부 수탁과제 2022.12
- 한-베트남 관계 향후 30년 발전 방안에 대한 제언: 한-베트남 수교 30주년 기념 한국츨 현인그룹 보고서 (주저자), 외교부 수탁과제 2022.11
- 동남아시장 무역-투자 확대 민간 자문단 운영 및 전략 연구 (주저자), 산업부 수탁과제 2022.9
- 한-베트남 수교 30주년 계기 양국 관계 발전 성과 평가 (주저자), 외교부 수탁과제 2022. 2
- 글로벌 공급망 변화 전망 및 한-아세안 경제협력에 대한 함의 (주저자), 외교부 수탁과제 2021.11
- 주요국의 대메콩 혀벽 현황 및 한-메콩 협력 발전 방향 (주저자), 외교부 수탁과제 2020. 9
- “한,베 교역규모 1,000억 불 달성과 지속가능한 교역,투자 연계 및 확대방안 마련을 위한 공동연구(주저자) ”, 산업통상자원부, 2018.9
- “글로벌경제전문가 협의회 개최”, 국민경제자문회의, 2018.7
- “한-베트남 경제협력 로드맵 작성을 위한 연구” (주저자),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 2018.6
- “신남방정책 구현을 위한 한-아세안 경제협력 강화방안” (주저자), 산업통상자원부, 2017.12
- “아시아 지역 국가간 새로운 협력 체제 구축 방안” (주저자), 국민경제자문회의, 2017.10
- “한-아세안 FTA10주년 성과 분석” (주저자), 산업통상자원부, 2017.4
- “안정적인 무역, 투자 구조 형성을 위한 한-베트남 공동연구” (
직급 선임연구조원
전화번호 044-414-1256
주력분야 연구 행정
직급 선임연구조원
전화번호 044-414-1161
주력분야 연구 행정
직급 선임연구조원
전화번호 044-414-1238
주력분야 연구 행정
동남아대양주팀
김남석 | 직급 | 팀장 | 분야 | 국제무역, 경제성장, 정치경제 | 연락처 | 044-414-1080 | 메일 보내기 |
---|---|---|---|---|---|---|---|
라미령 | 직급 | 연구위원 | 분야 | 동남아 지역, 국제무역 | 연락처 | 044-414-1054 | 메일 보내기 |
최인아 | 직급 | 연구위원 | 분야 | 동남아 정치·외교, 아세안·대양주 협력 | 연락처 | 044-414-1049 | 메일 보내기 |
정재완 | 직급 | 선임연구원 | 분야 | 동남아/ASEAN 경제, 메콩(Mekong) 유역개발, 해외투자 및 산업분석 | 연락처 | 044-414-1051 | 메일 보내기 |
이재호 | 직급 | 선임연구원 | 분야 | 동남아 경제(태국,인도네시아) | 연락처 | 044-414-1134 | 메일 보내기 |
신민금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동남아 경제(필리핀, 말레이시아) | 연락처 | 044-414-1169 | 메일 보내기 |
신민이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동남아 경제(인도네시아, 대양주) | 연락처 | 044-414-1154 | 메일 보내기 |
박나연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동남아 경제 | 연락처 | 044-414-1245 | 메일 보내기 |
김제국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동남아 경제(베트남, ASEAN) | 연락처 | 044-414-1039 | 메일 보내기 |
김소은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동남아 경제(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 연락처 | 044-414-1335 | 메일 보내기 |
백하은 | 직급 | 연구원 | 분야 | 동남아·대양주 경제(싱가포르/브루나이/대양주) | 연락처 | 044-414-1245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080
주력분야 국제무역, 경제성장, 정치경제
- Syracuse University 경제학 박사 (2022)
- 서강대학교 경제학 석사 (2017)
- 서강대학교 경제학 학사, 정치외교학 학사 (2015)
- 팀장, 동남아대양주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현재
- 부연구위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 ~ 현재
[정부 대표단]
-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 2023, 2024
- 한/아세안 고위경제관리회의 2023, 2024
[정부 TF 위원]
-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수출 1천억 달러 식품산업 육성 TF」위원, 2024.2

직급 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054
주력분야 동남아 지역, 국제무역
- 2015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 2008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
- 2006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주요 경력]
- 2015.12 ~ 2016.6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전임연구원
- 2015.9 ~ 2016.2 : 명지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시간강사
- 2015.4 ~ 2015.8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보조연구원
- 2009.3 ~ 2009.8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과 시간강사
- 2007.9 ~ 2008.1 : 국회예산정책처 보조연구원
[수상 경력]
- 2015 서울대학교 사회대 대학원 우수논문상
[주요 논문]
- “Multi-brand Firms and Brand Acquisition: The Impact of Trade Liberalization on Reallocation of Brand Equity”, 학위논문(박사), 서울대학교, 2015.
- “Vertical Integration for Quality Signaling” (박지형 공저), Seoul Journal of Economics Vol.23 No.4, pp.533-567, 2010.
- “Vertical Integration for Quality Signaling”,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2008.

직급 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049
주력분야 동남아 정치·외교, 아세안·대양주 협력
- University of Bristol 정치학 박사
- 숙명여자대학교 국제학 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정보방송학 학사
[주요경력]
- 2019.1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위원
- 2018.9 ~ 2018.12: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선임연구원
- 2017.6 ~ 2018.8: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HK연구교수
- 2014.3 ~ 2016.8: 주싱가포르대사관 선임연구원
- 2010.6 ~ 2011.4: 인도네시아 국제전략연구소(CSIS) 방문연구원
[수상경력]
- 외교부 장관 표창 (2015)
-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
-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
-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
-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
- 미중 경쟁에 대한 호주의 전략적 대응과 시사점: 호주의 대중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2022.05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아세안 공동체 변화와 신남방정책의 과제, 2021.12
- 인도태평양 전략과 신남방정책의 협력 방향, 2020.12
기타 보고서
- 신남방정책과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인태전략 간 연계협력 방안: 대아세안 협력을 중심으로 (2022) (공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2-06-01.
- 신남방정책 평가와 개선방향 (2022) (공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2-20-01.
- 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지원전략 수립 연구 (2019) (공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9-30-01.
현안 및 기타 자료
- 한-태평양도서국 정상회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2023.6.12) (공저) KIEP 세계경제포커스 23-18.
- 한-아세안 연대 구상(KASI)의 주요 내용과 대아세안 협력 전망 (2023.5.3) (공저) KIEP 세계경제포커스 23-10.
- 2022년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2022.12.9) (공저) KIEP 세계경제포커스 22-36.
- ASEAN-ROK Partnership: What's Next After the New Southern Policy? (2022,.8.11) KIEP Opinions No. 244.
- Australia's Strategic Responses to the US-China Rivalry and Implications to Korea (2022.8.1) (공저) World Economy Brief 22-30.
- 아세안 주요국의 IPEF 참여 배경과 전망 (2022.6.10) (공저) KIEP 세계경제포커스 22-21.
- 한미 정상회담 주요 내용 및 시사점 (2021.5.28)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1-10.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동남아 정책 전망과 시사점 (2021.4.22) (공저) KIEP 세계경제포커스 21-19.
- Exploring convergence between the New Southern Policy and U.S. Indo-Pacific Strategy: From Korea’s Perspective (2021.4.8) (공저) World Economy Brief 21-19.
- ASEAN Outlook on the Indo-Pacific (AOIP) and Korea's New Southern Policy (2022.3.30) KIEP Opinions No. 183.
- 한·아세안 및 한·메콩 정상회의 개최와 향후 협력 방향 (2019.11.21)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25.
- 조코위 2기 정부의 경제·대외정책 방향과 신남방정책에 대한 시사점 (2019.5.22)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11.

직급 선임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51
주력분야 동남아/ASEAN 경제, 메콩(Mekong) 유역개발, 해외투자 및 산업분석
- 신흥국 정부조달시장 개방실태 분석과 중소기업에 대한 시사점, 2019.12
- 신남방지역의 가치사슬 분석과 교역 확대 및 고도화 방안,
- 인도태평양 전략과 신남방정책의 협력 방향,
- 미얀마 쿠데타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 동향과 시사점,
- 미얀마의 쿠데타 발발 배경과 전망 및 시사점,
- 코로나19 사태의 주요국 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 한·아세안 및 한·메콩 정상회의 개최와 향후 협력 방향,
- 일본의 對한국 수출규제와 신남방 지역 영향,
- 신흥국의 대중국 경제협력 전략: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대응을 중심으로, 2018.12
- ASEAN 서비스산업 규제 현황과 시사점, 2018.12
- 캄보디아 경제 특징과 한·캄보디아 경제협력 방향,
- 한·말레이시아 경제협력 평가와 신남방정책 협력과제,
- ASEAN 지역의 인프라 시장 확대와 한국기업의 진출 방안, 2018.12
- 미국의 경제제재(sanctions program) 완화 사례 분석,
- 미얀마 수찌 정부의 경제개혁 2년 평가와 전망,
- 베트남의 수출 고도화 배경과 전망,
- 아시아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추진전략과 협력방안: 중국, 인도,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2017.12
- 가상통화 관련 주요국의 정책 현황과 시사점,
- 한국 중소기업의 동남아 주요국 투자실태에 대한 평가와 정책 시사점, 2017.11
- AEC 출범에 따른 아세안 자동차시장의 최근 변화와 전망,
- 아프리카 도시화 특성분석과 인프라 협력방안, 2016.12
- 한·아세안 기업간 지역생산네트워크 구축전략, 2016.12
- 라마 10세 시대 태국 경제의 진로와 과제,
[KIEP 발간물]
- “제12차 베트남 공산당 전당대회의 특징과 향후 정치·경제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 16-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3.
- “아세안 경제통합과 역내 무역투자 구조의 변화 분석 및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5-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Localiz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Recent Changes in the Southeast Asian Labor Market Environment” (공저), World Economy Brief 15-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동남아 주요국 노동시장의 환경 변화와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5-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Trade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Specialization Structure between ASEAN and Chin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4-3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9.
- “China's advance into Emerging Markets - A Focus on ASEAN, Latin America and Afric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4-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4.
- “Strategies to Strengthen Industrial Cooperation with Major Emerging Countries in Southeast Asi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4-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3.
- “International Responses to Myanmar’s Transformat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4-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3.
- “동남아 주요 신흥국가와의 산업협력 강화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13-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중국의 신흥시장 진출과 한국의 대응방안: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3-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중ㆍASEAN 분업구조 및 결정요인 분석”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the Mekong Reg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4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9.
- “신정부 출범 이후 미얀마 개혁·개방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과 시사점”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2-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한국의 메콩 지역개발 중장기 협력방안: 농업, 인프라 및 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2-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미얀마의 관리변동환율제도 도입 의미와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4.
- “인도네시아의 주요 산업: 에너지·광물자원,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건설” (공저),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11-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한·중·일 3국의 대캄보디아 개발협력 비교연구” (공저), 연구자료 11-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베트남의 주요 산업: 유통, 석유화학, 수송인프라건설” (공저),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11-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의 경영실태와 생산성 분석” (공저), 연구보고서 11-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동남아 산업구조 변화와 시사점: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0-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ASEAN 주요국의 비관세장벽 현황과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0-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미얀마 총선과 수치 여사 석방의 의미 및 정국 전망”, 지역경제포커스 10-4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1.
- “미얀마의 주요 산업: 에너지 및 광물 자원 개발, 농업 및 농가공, 섬유·봉제”,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09-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한ㆍASEAN FTA 효율적 이행을 위한 연구: 상품 무역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09-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해외자원개발의 전략적 추진방안: 4대 신흥지역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09-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1.
- “한국 FTA 원산지규정의 특성 및 활용전략” (공저), 연구보고서 08-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필리핀의 주요 산업: 자동차,바이오연료,TV방송,프랜차이즈”, 단행본 08-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태국의 주요 산업: 바이오에너지,금융,자동차,전기전자” (공저), 단행본 08-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2009 세계경제전망: 세계지역경제”, 오늘의 세계경제 08-4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세계 각 지역, 국가별 경제성장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 08-4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1.
- “한-ASEAN 부품산업 분업구조 분석” (공저), 연구자료 08-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8.
- “미얀마 신헌법 채택과 향후 정국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08-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6.
- “베트남 경제 위기설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08-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5.
- “인도 산업발전 전망과 한·인도 산업협력 확대방안: 주요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07-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 “한국의 주요국별ㆍ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ASEAN” (공저), 연구자료 07-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 “베트남의 주요 산업”, 연구보고서 07-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1.
- “급성장하고 있는 필리핀 콜센터 아웃소싱산업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7-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3.
- “인도 진출 한국기업의 경영실태와 현지화 전략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06-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 “선진통상국가 실현을 위한 중장기 통상전략 연구: 협력경제” (공저), 연구자료 06-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 “몽골 경제와 한 · 몽골 경제협력 확대방향” (공저), 연구자료 06-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8.
- “몽골 경제의 특징과 한ㆍ몽골 정상회의의 주요 성과”, KIEP 세계경제 제9권 제5호 통권92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5.
- “베트남의 최저임금 인상과 한국투자기업에 미치는 영향”, KIEP 세계경제 제9권 제3호 통권90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3.
- “태국의 의료서비스 허브 추진 동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6-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2.
- “싱가포르의 보건의료 및 교육 허브 추진 동향과 시사점”, 오늘의 세계경제 06-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2.
- “ASEAN+3 협력체제의 성과와 정책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05-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12.
- “ASEAN+3(한·중·일) 경제동향 및 한국과의 경협 현황” (공저), 연구자료 04-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11.
- “메콩강유역개발 : GMS 프로그램 10년의 평가와 시사점” (공저), Policy Analysis 03-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12.
- “美·싱가포르 FTA 체결을 통해 본 싱가포르의 FTA 정책과 시사점”, 오늘의 세계경제 03-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5.
- “이라크전 발발 이후 동남아경제의 동향과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3-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4.
- “韓·싱가포르 FTA: 경제적 효과 및 고려사항”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2-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11.
- “싱가포르의 知識基盤經濟 이행전략과 시사점”, Policy Analysis 0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12.
- “미국의 아프칸 공격이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1-4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10.
- “인도네시아 메가와티 신정부의 출범과 정국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1-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7.
- “The Mekong River Basin Development”, Working paper 99-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12.
- “주요 아시아 경쟁국 기업의 환위험 관리실태와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99-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12.
- “韓國의 對베트남 投資 및 ODA 推進方向”, Policy Analysis 97-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7.12.
- “베트남의 經濟改革 進出現況 및 經濟展望”, Policy Analysis 97-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7.12.
- “메콩江流域 開發現況과 韓國의 參與方案” (공저), Policy Analysis 97-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7.12.
- “대미얀마 경제협력 강화방안 : 투자와 공적개발원조(ODA)를 중심으로”, (센)조사보고 96-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6.12.
- “몽골편람 1995 증보판”, (센)편람 95-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5.12.
- “미얀마편람 1994”, (센)편람 94-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4.10.
- “몽골편람 1993”, (센)편람 93-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3.8.

직급 선임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34
주력분야 동남아 경제(태국,인도네시아)
[연구보고서]
- 주요국의 대(對)베트남 진출전략과 시사점 (연구자료, 2016.09.13.)
- 동남아 도시화에 따른 한·동남아 경제협력 방안 (연구보고서, 2015.12.30.)
- 아세안 경제통합과 역내 무역투자 구조의 변화 분석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 2015.12.30.)
- 동남아 주요국 노동시장의 환경 변화와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연구보고서 , 2014.12.30)
- 동남아 주요 신흥국가와의 산업협력 강화전략 (연구보고서 , 2013.12.30)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말레이시아의 주요 산업_육상교통인프라, 바이오에너지 (연구보고서 , 2013.12.30)
- 한국의 메콩 지역개발 중장기 협력방안: 농업, 인프라 및 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 2012.12.31)
- 인도네시아의 주요 산업: 에너지·광물자원,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건설 (연구보고서 , 2011.12.30)
- 베트남의 주요 산업: 유통, 석유화학, 수송인프라건설 (연구보고서 , 2011.12.30)
-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의 경영실태와 생산성 분석 (연구보고서 , 2011.12.30)
- 인도네시아 비관세장벽 현황과 철강제품 비관세조치의 관세상당치 추정 연구 (연구보고서 , 2010.12.30)
- 호주의 주요 산업 (연구보고서 , 2010.12.30)
- 아세안의 경제발전과 한아세안 개발협력 (연구보고서 , 2010.12.30)
- 동남아 산업구조 변화와 시사점: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 2010.12.30)
- ASEAN 주요국의 비관세장벽 현황과 대응방안 (연구보고서 , 2010.12.30)
- 태국의 주요 산업: 바이오에너지, 금융, 자동차, 전기전자 (연구보고서 , 2008.12.30)
- 한ㆍ중ㆍ일 대인도네시아 FTA 체결에 따른 인도네시아 시장 접근성 비교 (연구보고서 , 2008.12.30)
- 한국의 주요국별ㆍ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ASEAN (연구보고서 , 2007.12.30)
[논문]
- Three stages of entry mode choice : case of Korean and Japanese firms in Southeast Asia(2005,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최근 주요 저서]
- 2018년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한·아세안, 아세안+3, EAS를 중심으로 ,「세계경제리포트」(2018, 공저, KIEP)
- 한·태 수교 6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신남방정책 협력과제 ,「KIEP기초자료」(2018, KIEP)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주요 신흥국의 외환시장 동향과 시사점 ,「세계경제리포트」(2018, 공저, KIEP)
- 라마 10세 시대 태국 경제의 진로와 과제 ,「오늘의세계경제」(2017, 공저, KIEP)
- Korea’s Recent Export to Vietnam and Implications (KIEP World Economic Update, 2016)
- Localiz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Recent Changes in the Southeast Asian Labor Market Environment (KIEP World Economic Update, 2015)
- 태국의 군부 쿠데타 발생과 정치경제적 시사점 ,「지역경제리포트」(2014, KIEP)
- Strategies to Strengthen Industrial Cooperation with Major Emerging Countries in Southeast Asia (KIEP World Economic Update, 2014)
[최근 용역과제 수행 실적]
- 신남방정책 국제세미나 개최 (2018,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 주요국 경제자문기구 현황조사 및 협력방안 (2018, 국민경제자문회의)
- 한·베 교역규모 1,000억 불 달성과 지속가능한 교역·투자 연계 및 확대방안 마련을 위한 공동연구 (2018, 산업통상자원부)
-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에 따른 역내 산업구조 변화와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 연구 (2015, 산업통상자원부)
- 인도네시아 비퉁 SEZ Masterplan 수립용역 중 대상국 경제산업구조 등 개발여건분석 및 개발방향 설정 (2015, 경동엔지니어링)
-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 관련 국제세미나 개최 (2015, 산업통상자원부)
- 한-베트남 FTA 영향평가 (2015, 산업통상자원부)
- 신경협 로드맵에 기초한 신흥국과의 협력방안 (2014, 기획재정부)
-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의 경제적 활용방안 연구 (2014, 산업통상자원부)
[최근 강의·발표]
- 한국무역협회 베트남 산업무역부 공무원 연수 강사 (2018.11.23.)
- 강원도 인재개발원 공무원 글로벌 리더과정 강사 (2018. 11. 9)
- 주태국대한민국대사관 탐마삿대학교 심포지엄 한태수교 60주년, 한국과 태국의 관계 심포지엄 발표 (2018.6.13.)
- 경기도수출기업협회 ‘베트남 경제현황 및 경제정책에 대한 이해’ 세미나 강사 (2016.4.7.)
- 중소기업연수원 베트남 파견 주재원 역량강화 연수 강사 (2015.11.25.)
- Kotra 베트남 시장 진출과정 교육 강사 (2014.10.7.)
- Kotra 베트남 지역마스터 과정 교육 강사 (2014.8.12.)
- 하나생명 ‘ASEAN 주요국의 사회경제분석과 2014년 경제전망’ 강사 (2014.3.20.)
- 우정사업본부 ‘ASEAN 주요국의 사회경제 분석과 경제전망’ 강사 (2014.3.11.)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69
주력분야 동남아 경제(필리핀, 말레이시아)
- 서울대학교 국제학 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 학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원(2011~2015.8)
- 대외경제전문가풀 동남아 분과위원(2011~현재)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54
주력분야 동남아 경제(인도네시아, 대양주)
- 2019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수료
- 2012 서울대학교 국제학 석사
- 2010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 학사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
-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공저),연구자료22-10,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 10
- “ASEAN서비스산업 규제 현황과 시사점” (공저),연구보고서18-23,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호주ㆍ뉴질랜드의 대아시아 경제협력 현황과 시사점” (공저),연구자료18-01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4
- “한ㆍ아세안 기업간 지역생산네트워크 구축전략” (공저),연구보고서16-11,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중국의 동남아 경제협력 현황과 시사점” (공저),연구자료17-05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0
- “동남아 도시화에 따른 한·동남아 경제협력 방안” (공저),연구보고서15-19,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동남아 주요국 노동시장의 환경 변화와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공저),연구보고서14-18,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현안자료]
-“인도네시아 대선,후보별 주요 공약과 시사점”,세계경제 포커스, 24-05,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 2
- “2024년 세계경제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 23-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11
- “호주의 수소부문 국제협력 확대 요인과 시사점”,세계경제 포커스, 23-3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10
“2023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오늘의 세계경제 23-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5
- “글로벌 물가상승에 대한 아세안 주요국의 대응과 시사점” (공저),오늘의 세계경제 22-18,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 11
- “2023년 세계경제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 22-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11
- “코로나19사태의 주요국 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20-05,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2
- “호주 산불 피해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공저),세계경제 포커스20-03,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1
- “한·아세안 및 한·메콩 정상회의 개최와 향후 협력 방향” (공저),오늘의 세계경제19-25,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 11
- “조코위2기 정부의 경제·대외 정책 방향과 신남방정책에 대한 시사점” (공저),오늘의 세계경제19-11,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5
- “2019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공저),오늘의 세계경제19-09,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5
- “한·말레이시아 경제협력 평가와 신남방정책 협력과제” (공저), KIEP세계경제포커스19-03,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3
- “2018파푸아뉴기니APEC정상회의의 주요의제 준비 현황과 과제” (공저), KIEP기초자료18-27,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1
- “2019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오늘의 세계경제18-37,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1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주요 신흥국의 외환시장 동향과 시사점” (공저), KIEP세계경제포커스18-02,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0
- “한·인도네시아 협력현황과 신남방정책 과제”, KIEP기초자료18-19,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 9
- “말레이시아 신정부의 경제정책과 신남방정책에 대한 시사점” (공저),오늘의 세계경제18-31,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 8
- “2018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공저),오늘의 세계경제18-22,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6
- “한국 중소기업의 동남아 주요국 투자실태에 대한 평가와 정책 시사점” (공저),연구보고서17-04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 11
- “2018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오늘의 세계경제17-30,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1
- “아세안·중국 경제관계의 심화와 전망” (공저),오늘의 세계경제17-02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
- “2017년 세계경제 전망”(공저),오늘의 세계경제16-33,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1
- “인도네시아 인프라 개발 현황과 전망” (공저),지역 기초자료16-08,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8
- “2016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공저),오늘의 세계경제16-22,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6
- “2016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오늘의 세계경제15-29,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1
- “Localiz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Recent Changes in the Southeast Asian Labor Market Environment” (공저), World Economy Brief 15-24,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최근 호주 광업투자 둔화 원인과 전망”,지역경제포커스14-41,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8
[연구용역보고서]
- “금융투자회사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해외시장 조사시리즈:인도네시아,베트남” (공저),금융투자협회, 2020. 10
- “한-인니CEPA영향평가” (공저),산업통상자원부, 2020. 5
- “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 금융협력 수요 및 금융협력 방향” (공저),기획재정부, 2020. 3
- “한-인도네시아CEPA경제적 타당성 분석” (공저),산업통상자원부, 2019, 7
- “한국-베트남 경제협력 로드맵 작성을 위한 연구” (공저),기획재정부, 2018. 12
- “안정적LNG공급을 위한 도입선 다변화 평가방안 분석 용역” (공저),한국가스공사, 2018. 8
-“수출확대를 위한 국가별 경제협력 방안 수립:미얀마”(공저), KOTRA, 2016.10.
- “인도네시아 비퉁SEZ Masterplan수립용역 중 대상국 경제산업구조 등 개발여건분석 및 개발방향 설정” (공저),경동엔지니어링, 2015.12.
- “신경협 로드맵에 기초한 신흥국과의 협력방안” (공저),기획재정부, 2015.6.
- “저유가에 대응한 신흥시장과의 통상협력 강화 방안 연구” (공저),산업통상자원부, 2015.5.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45
주력분야 동남아 경제
-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개발협력) 석사(2012)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2018~현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원(2014~2017)
- 미얀마 쿠데타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 동향과 시사점,
- 최근 호주·중국 갈등 관계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뉴질랜드의 코로나19 주요 방역조치 및 시사점,
- 코로나19 위기 속 주요국의 외국인투자 심사 강화와 시사점,
- 코로나19 대응 주요국의 재정 및 통화금융 정책,
- 한국의 아세안투자 특성과 시사점: 해외 자회사 활동과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분석, 2019.12
- 주요국별 코로나19 대응 및 조치,
- 코로나19 사태의 주요국 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 호주 산불 피해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 한·브루나이 정상회담 의미와 신남방정책 협력과제,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39
주력분야 동남아 경제(베트남, ASEAN)
- 2015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 석·박사통합과정 수료
- 2012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 학사
[주요 경력]
- 2018.8 ~ 현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동남아대양주팀 전문연구원
- 2015.6 ~ 2018.8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동남아대양주팀 연구원
[수상 경력]
- 2015 춘당 논문상
[KIEP 발간물]
연구보고서
- 아세안 주요국의 경쟁법 비교 분석: 디지털플랫폼 시장 M&A를 중심으로 (공저), 2021
- 아세안 역내 서비스시장 통합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공저), 2020
- 신남방지역의 가치사슬 분석과 교역 확대 및 고도화 방안 (공저), 2019
- 신남방지역 디지털경제 협력방안 (공저), 2019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한·아세안 금융협력사업 발굴 및 금융협력센터 설립 방안 연구 (공저), 2019
- ASEAN의 서비스산업 규제현황과 시사점 (공저), 2018
- ASEAN 지역의 인프라 시장 확대와 한국 기업의 진출 방안 (공저), 2018
-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일본의 통상정책 (공저), 2017
- 한국 중소기업의 동남아 주요국 투자실태에 대한 평가와 정책 시사점 (공저), 2017
- 한-아세안 기업 간 지역생산네트워크 구축 전략 (공저), 2016
- 아세안 경제통합과 역내 무역투자 구조의 변화 분석 및 시사점 (공저), 2015
오늘의 세계경제
- 2021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공저), 2021
- 미국의 베트남 환율조작국 지정과 영향 (공저), 2020
- 2021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 2020
- 2020년 세계경제전망(업데이트) (공저), 2020
- 코로나19 확산과 신흥국의 취약성 분석 (공저), 2020
- 코로나19 사태의 주요국 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공저), 2020
- 2020년 세계경제전망 (공저), 2019
- 2019년 세계경제 전망 (업데이트) (공저), 2019
- 2019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 2018
- 2018년 세계경제 전망 (업데이트) (공저), 2018
- 2018 세계경제전망 (공저), 2017
- 2017 세계경제전망(업데이트) (공저), 2017
- 한-베트남 수교 25주년 성과와 과제 (공저), 2017
-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추진 현황과 시사점 (공저), 2017
- 라마 10세 시대 태국 경제의 진로와 과제 (공저), 2017
- 2017 세계경제전망 (공저), 2016
- 2016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공저), 2016
- 아세안 경제공동체(AEC)의 미래와 우리의 대응 (공저), 2016
그 외 보고서
- Digital Economy: A New Prospect for Korea’s New Southern Policy (공저), 2020
- 일본 수출규제의 신남방 지역 영향 및 대응 방향 (공저), 2019
- 2018년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한아세안, 아세안+3, EAS를 중심으로 (공저), 2018
- 베트남의 수출고도화 배경과 전망 (공저), 2018
- Korea’s Readiness for the ASEAN Economic Community (공저), 2016
[연구용역보고서]
- 한∙아세안 무역불균형 원인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공저), 2020
- 신남방정책 2.0 수립 연구 (공저), 2020
- 2020년 수출인큐베이터 운영혁신 및 성과도출 방안 연구용역 (공저), 2020
- 금융투자회사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해외시장 조사시리즈: 인도네시아, 베트남 (공저), 2020
- 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타당성조사 연구용역 (공저), 2020
- 신남방지역(베트남, 태국, 미얀마) 진출 우리기업의 사업환경 개선 (공저), 2019
- 한-필리핀 FTA 경제적 타당성 검토 (공저), 2019
- 한,베 교역규모 1,000억 불 달성과 지속가능한 교역,투자 연계 및 확대방안 마련을 위한 공동연구 (공저), 2019
- 한국-베트남 경제협력 로드맵 작성을 위한 연구 (공저), 2018
- 한-베트남 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의 경제적 타당성 검토 (공저), 2018
- 베트남의 향후 20년 간 환전 불능 위험(Availability Risk) 분석 (공저), 2018
- ODA 경제적 효과 측정 연구 (공저), 2018
-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기본계획 타당성조사 연구용역 (공저), 2018
- 한‧ASEAN FTA 10주년 성과 분석 (공저), 2017
- 안정적인 무역, 투자 구조 형성을 위한 한-베트남 공동연구 (공저), 2016
- 한국과 베트남간 경제협력 확대 방안 수립을 위한 공동연구 (공저), 2016
- 중장기 통상협력전략 점검 및 대응방안 수립 연구 (공저), 2016
- 수출확대를 위한 국가별 경제협력 방안 수립(미얀마) (공저), 2016
- 기업 해외진출 지원정책 개선방안 (공저), 2016
[주요 논문]
- 기업 정책자금 지원 효과 연구: 지방 8개 도를 중심으로(공저), 사회과학연구 45권 1호, pp.41-58, 2019.4
- 지방재정구조의 정치적 결정요인: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협력 및 갈등 구조(공저), 한국지방재정논집 21권 3호, pp.213-246, 2016.12
- “과점시장에서 기업의 정보공유와 검증제도의 역할” (공저), 산업조직연구 제22집 제3호, pp.89-122, 2014.9
[주요 기고문]
- 『키워드 2021』 (공저), 이데일리, 2020
- 『키워드 100』 (공저), 이데일리, 2019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335
주력분야 동남아 경제(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2019 University of Sussex,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IDS), MA in Globalisaion, Business and Development
2013 한동대학교 경영경제학부 경영학 학사
2022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원
『신남방정책과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인태전략 간 연계협력 방안: 대아세안 협력을 중심으로』 (공저, 2022)

직급 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45
주력분야 동남아·대양주 경제(싱가포르/브루나이/대양주)
- 고려대학교 국제학 석사 (2024)
-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 학사, 국제통상 학사 (2022)
인도남아시아팀
김경훈 | 직급 | 팀장 | 분야 | 개발도상국 산업화, 인프라, 국가자본주의, 자원민족주의 | 연락처 | 044-414-1263 | 메일 보내기 |
---|---|---|---|---|---|---|---|
노윤재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노동경제학, 개발경제학 | 연락처 | 044-414-1143 | 메일 보내기 |
김도연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경제, 인도 정치 | 연락처 | 044-414-1257 | 메일 보내기 |
윤지현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경제, 개발협력 | 연락처 | 044-414-1327 | 메일 보내기 |
강반디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정치·외교, 과학정책 | 연락처 | 044-414-1076 | 메일 보내기 |
김민희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경제, 국제통상, 개발경제 | 연락처 | 044-414-1522 | 메일 보내기 |
남유진 | 직급 | 연구원 | 분야 | 인도·남아시아 지역, 도시정책, 스마트시티 | 연락처 | 044-414-1330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263
주력분야 개발도상국 산업화, 인프라, 국가자본주의, 자원민족주의
2020년
· King's College London, 개발정치경제학 박사
2009년
· LSE, 개발정치경제학 석사
2005년
· University of Bristol, 경제학·경영학 학사
2022년-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2센터
· (2024년-) 인도남아시아팀 팀장
2009-2015년
·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연구실
[학술 논문]
· 2023. After authoritarian technocracy: The space for industrial policy-making in democratic developing countries. Third World Quarterly, 44(9): 1938-1959. <공저>
· 2023. Analysing Indonesia’s infrastructure deficits from a developmentalist perspective. Competition & Change, 27(1): 115-142.
· 2023. Towards sustainable and resilient ASEAN-Korea economic integration 2.0. Asia and the Global Economy, 3(2).
· 2022. Locating new ‘state capitalism’ in advanced economie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government ownership in economic entities. Contemporary Politics, 28(3): 285–305.
· 2022. Key features of Indonesia's state capitalism under Jokowi. Journal of ASEAN Studies, 10(2): 207–226.
· 2021. Bringing state-owned entities back into the industrial policy debate: The case of Indonesia. Structural Change and Economic Dynamics, 59, 496–509. <공저>
· 2021. Indonesia’s restrained state capitalism: Development and policy challenges.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51(3), 149–446.
· 2020. The state as a patient capitalist: Growth and transformation of Indonesia’s development financiers. The Pacific Review, 33(3–4), 635–668.
· 2019. Using partially state-owned enterprises for development in Indonesia. Asia Pacific Business Review, 25(3), 317–337.
· 2018. Matchmaking: Establishment of state‐owned holding companies in Indonesia. Asia & the Pacific Policy Studies, 5(2), 313–330.
[저서]
· 2016. 2020 유럽의 미래: EU의 글로벌 기업 규제와 디지털 성장전략 해부.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공저>
· 2012. 넥스트차이나: 언제까지 중국만 쳐다보고 있을 것인가.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공저>
[저서 - 챕터]
· 2024.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ROK-India development partnership. "India-ROK partners of strategic trust in the Indo-Pacific". New Delhi: Indian Council of World Affairs.
· 2022. The developer’s dilemma: A survey of structural transformation and inequality dynamics. "The developer’s dilemma: Structural transformation, inequality dynamics, and inclusive growt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공저>
· 2022. Structural transformation and inclusive growth: Kuznets’ ‘developer’s dilemma’ in Indonesia. "The developer’s dilemma: Structural transformation, inequality dynamics, and inclusive growt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공저>
· 2019. Is structural transformation-led economic growth immiserising or inclusive? The case of Indonesia. "Immiserizing Growth: When Growth Fails the Poo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공저>
· 2017. 폴란드의 국제개발협력. "EU와 국제개발협력". 서울: 박영사.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143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노동경제학, 개발경제학
-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경제학 박사 (2020)
- 연세대학교 경제학 석사 (2014)
- 서강대학교 프랑스문화 학사, 경제학 학사 (2012)
- 부연구위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 현재
[Publications]
- “On the Efficiency of Racetrack Betting Market: A New Test for the Favorite-Longshot Bias,” with Jinook Jeong and Jeeyoung Kim, Applied Economics, (2019): 5817-5828.
[KIEP 발간물]
연구보고서
-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2023
- “주요국의 산업별 디지털 전환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공저), 연구보고서, 2023
-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2023
-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연구책임, 공저), 연구보고서, 2022
- “동아프리카 그린에너지 협력방안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2022
-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2022
- “중국인의 삶의 질 분석: 전면적 소강사회에 대한 객관적 고찰” (공저), 연구보고서, 2021
연구자료
-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연구책임, 공저), 연구자료, 2022
- ”코로나19의 인도 사회·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연구책임, 공저), 연구자료, 2021
현안자료
- 한·방글라데시 수교 50주년: 개발협력 성과와 과제, 오늘의 세계경제, 2023
- Demographic Dividend and Economic Growth: Exploring the Case of India, World Economic Brief, 2023
- Population Dynamics in India: Navigating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Demographic Transition , KIEP Opinions, 2023
- Recent Marriage and Labor Supply Pattern of Young Chinese Women, World Economic Brief, 2022
- India’s Second COVID-19 Wave: a Hit to the Country’s Economic Recovery, KIEP Opinions, 2021
- 인도의 코로나19 재확산 현황 및 전망, 세계경제 포커스, 2021
- 인도와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외교 동향과 시사점, 세계경제 포커스, 2021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57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경제, 인도 정치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인도·아세안 학과 박사 과정 중(재학)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인도·아세안 학과 석사 졸업
(학위 논문: 인도 중소기업 정책 특성에 관한 연구)
[KIEP 발간물]
- "2024 인도 총선 의의와 시사점",KIEP, 세계경제포커스 24-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4
- "인도의 그린수소 개발 관련 국제협력 현황 및 시사점", KIEP, 세계경제포커스 24-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3
-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KIEP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12
- "인도 농산물 수출 제한 배경 및 영향", KIEP, 세계경제포커스 23-3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9
- "인도 주가지수 상승의 주요 배경 및 시사점", KIEP. KIEP 기초자료 23-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5
- "2022년 네팔 총선 결과와 집권당의 과제", KIEP, 세계경제포커스 22-3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12
-"인도 농산물 수출 증가의 대내외 요인과 시사점", KIEP, KIEP 기초자료, 22-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10.
- "인도 5개주 주의회 선거 결과와 의의"(공저), KIEP 세계경제포커스 22-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3.
-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공저), KIEP, 세계경제포커스 22-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2.
-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 분석과 정책 시사점"(공저), KIEP 연구보고서 20-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2
- "신남방지역 디지털경제 협력방안"(공저), KIEP 세계지역전략연구보고서 19-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2
- “인도 모디 2기 정부 출범의 의의와 경제정책 방향” (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19-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6.
- “2019 인도 총선 주요 이슈와 전망”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19-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4.
- “벵골만기술경제협력체(BIMSTEC) 발전 현황과 신남방정책에 대한 시사점” (공저), KIEP 기초자료 18-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한·인도, 한·싱가포르 정상회담 성과와 신남방정책의 과제” (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18-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8.
- "2023년 세계경제 전망"(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2-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11
- "2022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공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2-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05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327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경제, 개발협력
- 연세대학교 경제학 박사 수료
- 이화여자대학교 개발협력학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 학사
- 중앙아 주요국의 경제발전 전략과 경협 확대방안 2016.12
- 중앙아시아 개발과제와 한·중앙아 신협력 방향 2017.12
- 한ㆍ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산업협력 증진방안 2017.12
- 한국의 대인도 수출경쟁력과 애로요인 분석 2018.12
- 인도 산업클러스터 경쟁력 분석과 시사점: 마하라슈트라 주를 중심으로 2019.12
- 한국의 아세안 투자 특성과 시사점: 해외 자회사 활동과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분석 2019.12
- 신남방지역의 가치사슬 분석과 교역 확대 및 고도화 방안 2019.12
- 인도 한류 분석과 문화협력 확대방안: 음악 및 영상 콘텐츠를 중심으로, 2020.12
- 신남방지역 온라인 플랫폼 시장 분석과 시사점, 2020.12
-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
[KIEP 발간물 - 현안자료]
- "방글라데시 반정부 시위의 경과와 전망"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24-32, 2024.8.
- "인도 원료의약품(API) 자급화 정책 동향과 시사점", KIEP 기초자료 24-08, 2024.7.
- "2024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4-07, 2024.5.
- "2024년 인도 총선 의의와 시서점"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24-14, 2024.4.
-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공저), 정책연구브리핑 22-19, 2022.7.
- “Digital Platform Markets of ASEAN and India: Implications for Cooperation with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 21-33. 2021.6.
- "신남방지역 온라인 플랫폼 시장 분석과 시사점" (공저), 정책연구브리핑 20-10, 2021.6.
- "2021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28, 2020.11.
- "Korea's Investment in ASEAN: An Analysis Linking Foreign Subsidiary Activities and Parent Data"(공저). World Economy Brief 20-20. 2020.7.
- "Current GVC Structure and Strategies to Upgrade Korea's Production Network in ASEAN and India"(공저). World Economy Brief 20-13. 2020.5.
- "코로나19 위기 속 주요국의 외국인투자 심사 강화와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15, 2020.5.
- "2020년 세계경제전망(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20-14, 2020.5.
- "신남방지역의 가치사슬 분석과 교역 확대 및 고도화 방안" (공저), 정책연구브리핑 20-15, 2020.4.
- "잠무·카슈미르 특별자치권 박탈의 주요 내용과 전망"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19-26, 2019.8.
- "2019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09, 2019.5.
- "2019 인도 총선 주요 이슈와 전망"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19-09, 2019.4.
- "And Analyisis on the Competitiveness and Difficulties in Korea's Export to India"(공저). World Economy Brief 19-04. 2019.3.
- "한국의 대인도 수출경쟁력과 애로요인 분석" (공저), 정책연구브리핑 18-15, 2019.3.
- "인도의 외국인직접투자 증가와 신남방정책에 대한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9-03, 2019.2.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주요 신흥국의 외환시장 동향과 시사점"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18-02, 2018.10.
- “India’s Modinomics and Korea’s New Southern Policy”(공저). World Economy Brief 18-25. 2018.9.
- "신남방시대, 인도 모디노믹스 성과와 한·인도 협력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25, 2018.7.
- "2018년 세계경제 전망 (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22, 2018.6.
-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of Major Central Asian Countr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공저). World Economy Brief 17-25. 2017.12.
- "2018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30, 2017.11.
- "2017년 세계경제전망 (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12, 2017.4.
- "중앙아 주요국의 경제발전 전략과 경협 확대방안" (공저), 정책연구브리핑 16-19, 2017.1.
- “The Russian Economic Crisis and Falling Remittances in Central Asia.” World Economic Brief 16-28. 2016.11.
- “러시아 경기침체가 중앙아시아 해외송금유입에 미치는 영향”, 오늘의 세계경제 16-24, 2016.7.
- “투르크메니스탄 천연가스 수출의 대외적 변수와 해결 과제”, 오늘의 세계경제 16-08, 2016.3.
- “수교 25주년, 한·몽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09, 2015.3.
[기타]
- 「코로나19와 인도 경제 전망」(공저), 남아시아 이슈페이퍼 4-4, 인도연구소, 2020.12. pp.4-13.
- 『주변국 국경안보: 사례와 검증』(공저), 연구총서 17-22-02, 통일연구원, 2017.12.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76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정치·외교, 과학정책
-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 서울대학교 정치학 석사
-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수료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EMERiCs·CSF·AIF 운영)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인도남아시아팀
[주요 발간물]
"인도의 우주 산업 육성 현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경제포커스, 2025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
"2024 인도 총선 의의와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경제포커스, 2024
"글로벌 기업과 주요국의 디지털 화폐 발행 현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미래변화 대응을 위한 전문가 네트워크 및 포럼 운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과학기술기반 사회혁신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한·중 ICT 벤처·스타트업 및 공동연구 협력방향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17
"창조경제 글로벌 정책동향 분석 및 기본전략 수립",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17
"한국·싱가포르의 미국과의 FTA 체결요인분석: 동아시아 국가의 신중상주의적 정책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0.2 (2014): 301-27.
"동아시아 지역중심 FTA의 한계와 한미 FTA로의 통상정책 전환 :노무현 행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8.1 (2012): 129-58.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522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경제, 국제통상, 개발경제
- 개발정치경제학 석사, SOAS, 런던대학교 (2020)
- 글로벌통상학(부전공: 국제개발협력) 학사, 숭실대학교 (2018)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2센터 인도남아시아팀 (2024.12~)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델리사무소 (2022.12~2024.11)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신남방경제실 인도남아시아팀 (2021.2~2022.11)
- 미얀마 쿠데타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 동향과 시사점,
- 인도의 코로나19 재확산 현황 및 전망,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對인도 정책 전망과 시사점,
-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군에 대한 인접국의 대응 및 전망,
-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
-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
-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
- 한·방글라데시 수교 50주년: 개발협력 성과와 과제,
- 인도의 그린수소 개발 관련 국제협력 현황 및 시사점,
-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도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시사점,
- 인도 바이오경제(Bioeconomy) 육성 전략과 시사점,
2024년 KIEP 델리브리핑 Vol. 1 No. 3 (2024.11)
2024년 KIEP 델리브리핑 Vol. 1 No. 2 (2024.9)
2024년 KIEP 델리브리핑 Vol. 1 No. 1 (2024.7)

직급 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330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지역, 도시정책, 스마트시티
- KDI 국제정책대학원 개발정책학 석사
-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 학사
- 2022.04~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인도·남아시아팀
- 2021.04~2021.12 : 한국 조세재정연구원(KIPF) 정부투자분석센터 인프라사업조사팀
[KIEP 현안자료]
- 인도 항만 인프라 개발전략 ‘사가르말라(Sagarmala)’의 성과 및 시사점, 2025.02
- 인도 스마트시티 미션(Smart Cities Mission)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2023.08
- 2024년 인도 총선 의의와 시사점 2024.04 (공저)
- 한·인도 수교 50주년: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2023.12 (공저)
- 사우디아라비아 경제다각화 정책과 한국의 기회 2023.10 (공저)
- 인도 모디 총리의 방미(訪美) 성과와 시사점, 2023.07 (공저)
- 최저개발국(LDCs) 현황과 지역별 협력 방안: GNI, HAI, EVI 지수를 중심으로, 2023.05 (공저)
- 2022년 네팔 총선 결과와 집권당의 과제, 2022.12 (공저)
- 파키스탄 경제 불안 현황과 전망, 2022.08 (공저)
- 파키스탄 정권 교체의 배경과 시사점, 2022.05 (공저)
[KIEP 보고서]
-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 (공저)
-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 (공저)
-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3.07 (공저)
아프리카중동·중남미팀
홍성우 | 직급 | 팀장 | 분야 | 아프리카∙중동∙중남미 경제 | 연락처 | 044-414-1150 | 메일 보내기 |
---|---|---|---|---|---|---|---|
이권형 | 직급 | 선임연구위원 | 분야 | 중동지역 경제, 산업정책, 금융·에너지산업 | 연락처 | 044-414-1073 | 메일 보내기 |
강문수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아프리카∙중동, 개발경제학, 농업경제학 | 연락처 | 044-414-1204 | 메일 보내기 |
한선이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개발경제학, 아프리카 | 연락처 | 044-414-1345 | 메일 보내기 |
김성환 | 직급 | 부연구위원 | 분야 | 중남미 지역 경제 | 연락처 | 044-414-1123 | 메일 보내기 |
김진오 | 직급 | 선임연구원 | 분야 | 중남미 경제, 국제관계 | 연락처 | 044-414-1085 | 메일 보내기 |
박미숙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남미 경제 | 연락처 | 044-414-1105 | 메일 보내기 |
김예진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아프리카 지역연구, 개발협력 | 연락처 | 044-414-1116 | 메일 보내기 |
유광호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GCC, OPEC, 이집트 | 연락처 | 044-414-1165 | 메일 보내기 |
이지은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중동 경제 | 연락처 | 044-414-1096 | 메일 보내기 |
이다운 | 직급 | 연구원 | 분야 |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세계지역전략연구, 방문학자 프로그램 | 연락처 | 044-414-1378 | 메일 보내기 |
황인정 | 직급 | 연구원 | 분야 | 아프리카 경제 | 연락처 | 044-414-1553 | 메일 보내기 |
손은아 | 직급 | 연구원 | 분야 | 중남미경제 | 연락처 | 044-414-1323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150
주력분야 아프리카∙중동∙중남미 경제
- 2019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경제학 박사
- 2009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 석사
- 2007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 학사
- 2024. 1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아프리카중동·중남미팀 팀장
- 2024. 1 ~ 현재: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연구이사
- 2019. 7 ~ 2023. 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미주팀 부연구위원
- 2021. 9 ~ 2023. 5: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대외협력이사
- 2009. 4 ~ 2012. 5: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 주임연구원
[KIEP 발간물: 연구보고서]
-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 (발간예정).
- "중남미 국가의 서비스 시장 개방이 GVC 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23-16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 "멕시코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공저), 중장기통상전략연구 23-03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 "The Effects of Robotiza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공저), Working paper 22-04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3.
-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22-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
- "중남미 내 포퓰리즘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공저), 세계지역전략연구 22-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
- "중남미 국가의 소득 및 소비 불평등과 정책적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21-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 "중미 국가의 기후변화 적응 주요과제와 협력방안" (공저), 세계지역전략연구 21-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 "주요국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분석 및 정책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21-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 "MERCOSUR와 태평양동맹의 향후 전개방향 및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20-3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 "미·중 경쟁이 중남미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공저), 세계지역전략연구 20-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 "Defined Contribution Funded Social Security and Labor Supply: Focus on Mexican Social Security Reform in 1997" Working paper 20-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 "Mexico as the Primary Beneficiary of IRA: Exploring Its Challenges", KIEP Opinions, 2023.
- "Relative Poverty and Consumption Inequality behind Massive Protests in Chile", KIEP Opinions, 2021.
- "The Pacific Alliance and South Korea as an Associate Member of the Alliance", KIEP Opinions, 2019.
- "A Review of Changes in the Global Value Chain of Latin America", KIEP World Economy Brief, 2023.
- "Income and Consumption Inequality in Latin American Countries", KIEP World Economy Brief, 2022.
- "The Effects of US-China Rivalry on Latin America and Their Implications", KIEP World Economy Brief, 2021.
[연구용역보고서]
-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비한 대중남미 경제안보 외교 방안 연구", 외교부, 2022. (공저)
- "멕시코 FTA 정책 동향 및 우리의 대응 전략", 산업통상자원부, 2021. (공저)
-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따른 한·미·중남미 간 3자 협력 가능성 분석", 외교부, 2021. (공저)
- "Post-코로나 대외경제정책방향 수립", 기획재정부, 2020. (공저)
- "국가별 사회서비스일자리 재정지출 현황 비교·분석 및 시사점 연구", 국회예산정책처, 2020. (공저)
- "메르코수르 4개국별 서비스 시장진출 유력분야 및 관련 서비스장벽 분석", 산업통상자원부, 2020. (공저)
직급 선임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073
주력분야 중동지역 경제, 산업정책, 금융·에너지산업
[KIEP 발간물]
- “중동 3개국 순방 정상외교 성과와 향후 과제”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22-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1.
- “에너지전환시대 중동 산유국의 석유산업 다각화 전략과 한국의 협력방안: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중심으로”(공저),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2021.12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동 정책과 중동 주요국의 대응 방향” (공저), KIEP 세계경제 포커스 21-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3.
- “저유가시기 GCC 주요국의 경제정책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20-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12.
- “중동 주요국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한·중동 협력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8-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2.
- “미국의 이란 핵합의(JCPOA) 탈퇴 이후 한·이란 경협 관계 전망 및 시사점” (공저), KIEP 기초자료 18-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7.
- “중동 산유국의 경제다각화와 협력 시사점: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중심으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3.
- “이란의 정치·경제 동향과 산업협력 확대방안: 석유화학 및 자동차 부문을 중심으로” (공저), 전략지역심층연구 17-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중동지역의 전력산업 정책과 국내기업 진출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7-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9.
- “카타르를 둘러싼 외교갈등 장기화와 경제적 영향”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9.
- “국제유가 하락과 한·중동 협력방안: GCC 산유국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6-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GCC 국가들의 물류허브 구축전략과 한국의 협력방안: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5-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이스라엘의 기술창업 지원정책과 한·이스라엘 협력 확대방안”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5-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중동 4개국과의 정상외교 성과와 향후 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4.
- “중동지역 산업 및 금융 환경의 변화와 한ㆍ중동 금융협력 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4-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마그레브 지역의 ICT 산업 동향 및 시사점: 모로코ㆍ튀니지를 중심으로”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4-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The Health Care Sect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he GCC: Challenges and Policy Proposals Thinking the Better Macro Policy Mix”, KIEP opinions 35, KIEP, 2014.6.
- “MENA 지역의 보건의료산업 동향 및 국내 산업과의 연계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3-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카타르의 주요 산업_천연가스, 인프라건설”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Diversific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with Middle East Countries and the Creative Economy”, KIEP opinions 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8.
- “이슬람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구조와 위험요인”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2-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셰일가스의 부상과 러시아의 대응”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3-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2.
- “이란의 정치·권력구조와 주요 정파별 경제정책”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2-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주요국의 셰일 가스 개발 동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6.
- “시리아 유혈사태의 장기화: 배경 및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6.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204
주력분야 아프리카∙중동, 개발경제학, 농업경제학
- Kansas State University 농업경제학 박사
-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
- 한동대학교 건설공학, 도시환경공학 학사
- 2020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 2009 ~ 2016: 가나안세계지도자교육원 기획평가팀장
- 에너지 안보 위협에 따른 중동의 부상과 시사점,
-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
-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
-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
- 대북제재의 게임이론적 접근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1.12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아프리카·중동 식량안보 리스크와 전망,
- 중남미와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경제협력: 특성 및 파급효과 비교, 2021.12
- 아프리카 코로나19 백신 공급 현황과 시사점,
- 토지제도 특성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를 중심으로, 2021.05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對)아프리카 주요 정책과 시사점,
- 아프리카 디지털 산업의 성장과 한국과의 협력 과제,
- 동아프리카 그린에너지 협력방안 연구, 2023.06
- 기후변화에 따른 아프리카·중동의 식량 안보 위기와 한국의 협력방안, 2022.12

직급 부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345
주력분야 개발경제학, 아프리카
제네바 국제개발대학원 개발경제학 박사
제네바 국제개발대학원 국제경제학 석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협력 석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 학사
2021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2024 ~ 현재 한-아프리카 경제협력위원회 한국위원
LG CNS 금융사업부 사업개발
Mobile Money Cameroon 프로젝트 총괄

직급 선임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85
주력분야 중남미 경제, 국제관계
- 2002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학 박사 과정 수료
- 1995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학 석사
- 1991 부산외국어대학교 서반아어 학사
- 1996.4 ~ 현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재직
- “남미 주요국의 신산업정책과 한국의 산업협력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5-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멕시코 경제환경 변화와 한·멕시코 경제협력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4-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중남미 다국적기업을 황용한 대중남미 경제협력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3-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에콰도르의 주요 산업_플랜트 건설, 자동차”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안데스 자원부국과의 경제협력 확대 방안: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볼리비아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2-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중남미의 개발수요와 한국의 분야별 ODA 추진방안” (공저), ODA지역연구 12-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2013년 세계경제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0.
- “유럽 재정위기가 신흥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8.
- “NAFTA 체결 이후 멕시코 경제의 변화와 정책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12-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9.
- “남미공동시장(MERCOSUR) 20년 평가와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1-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브라질 경제의 부상과 한·브라질 산업협력 확대 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1-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중남미 건설ㆍ플랜트 시장의 특성 분석과 한국의 진출 방안 ” (공저), 연구보고서 10-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한 중미 경제협력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0-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중·코스타리카 FTA 타결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0-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5.
- “한국기업의 대중남미 투자진출 성과와 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09-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 “기후변화협상의 국제적 동향과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09-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8.
- “칠레의 주요 산업: 농업,수산업,광업,IT” (공저), 단행본 08-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미주개발은행(IDB)을 활용한 대중남미 경제협력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08-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 “한국의 주요국별ㆍ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중남미” (공저), 연구자료 07-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 “멕시코의 주요 산업“,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89-322-005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1.
- “남미공동시장(MERCOSUR)의 FTA 협상 사례와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06-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 “NAFTA 이후 멕시코 경제의 변화와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06-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7.
- “NAFTA 이행 이후 멕시코 주요 지역경제의 변화”, 오늘의 세계경제 06-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6.
- “중미자유무역협정(CAFTA)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05-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8.
-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10년에 대한 영향평가와 우리나라 FTA정책에의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04-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11.
- “對중남미 경제협력 중장기 전략“ (공저), 연구자료 0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11.
- “한ㆍ멕시코 경제협력 정책과제” (공저), 연구자료 0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10.
- “FTA의 득과 실” (공저), 연구자료 04-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6.
- “베네수엘라의 최근 국내정치 불안 배경과 향후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3.
- “미주자유무역지대(FTAA)의 협상동향과 경제적 효과분석” (공저), 연구보고서 03-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12.
- “멕시코의 공적자금 관리실태와 시사점”, Policy Analysis 01-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12.
- “NAFTA의 경제적 효과분석: 출범전 전망과 실행효과 비교를 중심으로” (공저), Policy Analysis 00-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12.
- “개혁추진 외국사례와 시사점” (공저), Working paper 99-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2.
- “韓國의 海外直接投資 現況과 成果 (深層報告)” (공저), 연구보고서 97-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8.3.
- “파나마 편람 1997“, (센)편람 97-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7.12.
- “베네수엘라 편람 1996”, (센)편람 96-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6.12.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05
주력분야 중남미 경제
- 2021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 2009 서울대학교 중남미 지역학 석사
- 2001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 학사
- 2009.11 ~ 현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미주팀 연구원
- 2001.1 ~ 2006.08 : 현대중공업
[KIEP 발간물]
- “브라질 대통령 탄핵 이후 경제정책 전망 및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9.
-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 결과와 경제정책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 16-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
- “남미 주요국의 신산업정책과 한국의 산업협력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5-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한국의 대중남미 수출부진요인 분석과 과제” (공저), 연구보고서 15-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멕시코 경제환경 변화와 한·멕시코 경제협력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4-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아르헨티나 채무 디폴트 사태의 경제적 영향과 향후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4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8.
- “아르헨티나 국가채무 디폴트 위기 발발 가능성 점검 및 향후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4-3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7.
- “남미공동시장(MERCOSUR) 자동차 산업의 성장 부진 배경과 전망”, 지역경제포커스 14-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6.
- “Analysis on Latin America’s Aid Demand and Suggestions for the Priority Sector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4-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
- “The Northeast Region of Brazil:Its Investment Environment and Ways to Expand Korea’s Participat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에콰도르의 주요 산업_플랜트 건설, 자동차”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중남미 다국적기업을 황용한 대중남미 경제협력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3-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How to Promote Economic Cooperation with Resource-Abundant Andean countries: Focus on Venezuela, Ecuador, and Bolivi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7.
- “브라질 북동부지역의 투자환경과 한국의 진출 확대방안”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2-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중남미의 개발수요와 한국의 분야별 ODA 추진방안” (공저), ODA지역연구 12-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안데스 자원부국과의 경제협력 확대 방안: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볼리비아를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2-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칠레 국가전력개발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3.
- “남미공동시장(MERCOSUR) 20년 평가와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1-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브라질 경제의 부상과 한·브라질 산업협력 확대 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1-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콜롬비아의 주요 산업: 광업, 교통인프라, IT” (공저),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11-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한·페루 FTA 발효의 의의와 주요 활용 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8.
- “페루 대통령 선거 결과와 향후 경제정책 전망”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1-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7.
- “중남미 건설ㆍ플랜트 시장의 특성 분석과 한국의 진출 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0-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아르헨티나의 주요 산업” (공저),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10-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한ㆍ중미 경제협력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0-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 “한·콜롬비아 FTA 협상 추진의 의의 및 대응방향”, 지역경제포커스 10-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4.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16
주력분야 아프리카 지역연구, 개발협력
- 고려대학교 개발협력학 석사
- 경희대학교 국제학 학사
2014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2012 ~ 2014: KDI 국제개발협력센터
[KIEP 발간물]
- 2024년 남아공 총선의 주요 쟁점과 전망 (KIEP 세계경제포커스, 2024.5.28)
- 디지털금융을 통한 아프리카 금융포용성 개선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3.12.30)
- 최근 아프리카 지역의 인플레이션 현황 및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 2023.1.18)
- 동아프리카 그린에너지 협력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3.6.8)
- 기후변화에 따른 아프리카중동의 식량 안보 위기와 한국의 협력방안 (연구보고서, 2022.12.30)
- 유럽의 에너지 안보 강화에 따른 대아프리카 협력 확대 가능성 및 시사점 (세계경제포커스, 2022.8.3)
- 인도의 대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연구자료, 2022.5.7)
-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연구보고서, 2021.12.30)
- 남아프리카공화국 개인정보보호법(POPIA)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KIEP 세계경제포커스, 2021.7.7)
- Approaches to Labor Demand Forecast in Developing Econom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s ODA (World Economy Brief, 2020.8.24)
- 한국의 르완다 농업분야 ODA 종합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2020.07.28)
-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 연구: 직업교육 ODA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2019.12.30)
-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협정의 발효 의미와 전망 (KIEP 세계경제포커스, 2019.5.30)
- An Analysis of Africa's Agricultural Value Chain and Lessons from Korea's Agricultural Development Policies (World Economy Brief, 2019.4.18)
- 미국 아프리카성장기회법(AGOA)의 교역 효과와 정책적 시사점 (연구자료, 2018.12.31)
- 아프리카 농업 가치사슬 분석과 한국의 농정경험을 활용한 정책제안 (연구보고서, 2018.12.28)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주요 신흥국의 외환시장 동향과 시사점 (KIEP 세계경제포커스, 2018.10.2)
- "Korea's Engagement Opportunities with the African Consumer Market through Industrial Zones" (World Economy Brief, 2018.3.26)
- 남아프리카공화국 라마포사 정부의 출범: 배경과 전망 (오늘의 세계경제, 2018.3.19)
- 케냐타 2기 정부의 출범 배경 및 향후 정책 과제 (KIEP 기초자료, 2018.2.13)
- 아프리카 소비시장 특성분석과 산업단지를 통한 진출 방안 (연구보고서, 2017.12.30.)
- "An Analysis of Urbanization in Africa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Future Demands for Urban Infrastructure" (World Economy Brief, 2017.5.18)
- 아프리카 도시화 특성분석과 인프라 협력방안 (연구보고서, 2016.12.30.)
- "Private Sector Development in Africa and Korea-Africa Development Cooperation" (World Economy Brief, 2016.2.2)
- 아프리카 민간부문개발(PSD) 현황 및 한국의 지원방안 (연구보고서, 2015.12.30)
- "Utilizing Appropriate Technology for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frica" (World Economy Brief, 2015.3.13)
- 적정기술 활용을 통한 대(對) 아프리카 개발협력 효율화 방안 (연구보고서, 2014.12.30)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65
주력분야 GCC, OPEC, 이집트
- 영국 워릭대학교 국제정치경제학 석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아프리카중동팀
- "OPEC+의 단계적 증산 결정 배경 및 시사점", 세계경제포커스 21-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4.
- "저유가 시기 GCC 주요국의 경제정책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20-1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12.
- "국제 에너지 시장 변화와 한·중동 협력 다각화 방향" (공저), 연구보고서 19-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5.
- "미국의 경제제재(sanctions program) 완화 사례 분석" (공저), 기초자료 18-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 12.
- "중동지역의 전력산업 정책과 국내기업 진출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7-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9.
- "국제유가 하락과 한·중동 협력방안: GCC 산유국을 중심으로" (공저), 연구보고서 16-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96
주력분야 중동 경제
직급 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378
주력분야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세계지역전략연구, 방문학자 프로그램
직급 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553
주력분야 아프리카 경제
직급 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323
주력분야 중남미경제
러시아유라시아팀
박정호 | 직급 | 팀장 | 분야 | 러시아·CIS 정치경제 | 연락처 | 044-414-1255 | 메일 보내기 |
---|---|---|---|---|---|---|---|
정민현 | 직급 | 연구위원 | 분야 | 경제성장론, 제도경제, 러시아·CIS | 연락처 | 044-414-1128 | 메일 보내기 |
정동연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CIS, 몽골, 코카서스 경제 | 연락처 | 044-414-1167 | 메일 보내기 |
민지영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러시아, CIS 지역 | 연락처 | 044-414-1095 | 메일 보내기 |
강부균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러시아, CIS 경제 | 연락처 | 044-414-1242 | 메일 보내기 |
김경민 | 직급 | 전문연구원 | 분야 | 러시아, CIS 정치경제 | 연락처 | 044-414-1507 | 메일 보내기 |
직급 팀장
전화번호 044-414-1255
주력분야 러시아·CIS 정치경제
[KIEP 발간물]
- “Social & Economic Policies of Putin's Fourth Term and Implications for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8-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7.
- “푸틴 집권 4기 사회·경제 정책 방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8-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5.
- “Recent Development of Russia – Japan Economic Relations and Implications for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8-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1.
- “한ㆍ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산업협력 증진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7-1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중앙아시아 개발과제와 한·중앙아 신협력 방향” (공저), 연구보고서 17-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of Major Central Asian Countr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WEB) 17-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12.
- “25 Years of Korea-Central Asia Diplomatic Relations: The Direction of Future Cooperation”, KIEP Opinions no.1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5.
- “러·일 경제관계 진전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7-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5.
- “중앙아 주요국의 경제발전 전략과 경협 확대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6-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2.
- “우크라이나 위기 발발 이후 러시아 경제상황 변화와 정책 시사점” (공저), 연구보고서 16-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9.
- “The Role of Korea-Central Asia Cooperation Forum for Eurasia Initiative”, KIEP Opinions no.8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3.
- “EEU 출범과 유라시아 국제관계 변화” (공저), 연구보고서 14-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직급 연구위원
전화번호 044-414-1128
주력분야 경제성장론, 제도경제, 러시아·CIS
-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경제학 박사
-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
- 성균관대학교 경제학 학사
- 2018.8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부연구위원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167
주력분야 CIS, 몽골, 코카서스 경제
- 2010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국제협력학 석사
-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
- 몽골 선거제도 개편과 2024 총선 전망,
- 중앙아 3개국 경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향,
- 중앙아시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앙아시아 협력 방안, 2022.12
-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
- 유라시아 역내 국제남북운송회랑(INSTC)의 개통 의미와 전망,
- 한·코카서스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미래협력 방향,
- 아제르바이잔 경제발전전략과 한국과의 신협력 과제,
- 러시아 IT 산업 발전과 한-러 협력: 러시아의 경제 구조 전환을 중심으로, 2020.12
- 중앙아시아 및 코카서스 지역의 코로나19 확산 동향과 경제적 영향,
- 몽골 축산물가공업 육성 동향과 한·몽 협력 과제,
- 한국의 신북방 경제협력 거버넌스 개선 방안 연구: 러시아를 중심으로, 2019.12
- 중·몽·러 경제회랑 추진 현황과 시사점: 몽골의 시각에서,
- 코카서스 3국 경제발전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주요 용역보고서]
- 한-몽골 EPA 서비스·투자 분야 연구용역, 2023, 산업통상자원부.
- 2021년 국제개발협력 평가 연구용역, 2021, 국무조정실.
- 한-조지아 FTA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 검토, 2021, 산업통상자원부.
- 한·몽 산업협력 확대와 공동협력 전략 수립, 2019, 산업통상자원부.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095
주력분야 러시아, CIS 지역
- 2024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 박사
- 2011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 석사
- 2007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학사
- 2011.9 ~ 현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P 발간물]
- “2016년 세계경제 전망 (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6.
- “Russia’s Economic Modernization Policy and Implications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6-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
- “한·러 경제협력의 평가와 중장기 비전” (공저), 단행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Оценка текущего российско-корейского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и перспективы развития на средне- и долгосрочный период” (공저), 단행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러시아의 ‘경제 현대화’ 정책과 한·러 협력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5-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2016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1.
- “Recent Development in the Russian Far East-Baikal Region and Its Implicat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5-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8.
- “2015년 세계경제 전망(제2차 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7.
- “2015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0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
- “러시아의 극동 · 바이칼 지역 개발과 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4-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2015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4-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1.
- “2014년 하반기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4-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7.
- “Toward Korea-Belarus Cooperation in the ICT Sector”, World Economy Brief 14-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6.
- “Russian Arctic Development Strategy and New Possibility for Korea-Russia Cooperat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4-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5.
- “'우크라이나 위기'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지역경제포커스 14-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4.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러시아의 주요산업_전력인프라, 의료서비스”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한·벨라루스 ICT산업 협력방안”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2014년 세계경제 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3-2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1.
- “러시아의 북극개발전략과 한·러 협력의 새로운 가능성”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0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2013년 하반기 세계경제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3-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7.
- “The Russian ODI and FDI Promotion Strategy of Kore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4.
- “조지아의 주요 산업: 교통 인프라, 정보통신 산업을 중심으로”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2-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2013년 세계경제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0.
- “최근 보호무역주의 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0.
- “블라디보스토크 APEC 정상회의 이후 한·러 협력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9.
- “유럽 재정위기가 신흥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8.
- “조지아 경제발전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8.
- “최근 러·중 경제협력 강화: 특징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7.
- “러시아 대선 이후 푸틴 정부의 경제정책 전망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3.
- “러시아의 WTO 가입: 경제적 효과와 우리의 대응방안”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3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 “2012년 세계경제전망”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1-3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242
주력분야 러시아, CIS 경제
- 2010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국제학 석사
- 2005 연세대학교 노어노문학 학사
[KIEP 발간물]
- “우크라이나 위기 발발 이후 러시아 경제상황 변화와 정책 시사점” (공저), 연구자료 16-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9.
- “러시아 경기침체가 중앙아시아 해외송금유입에 미치는 영향”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6-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7.
- “Russia’s Economic Modernization Policy and Implications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공저), World economy Brief 16-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1.
- “러시아의 ‘경제 현대화’ 정책과 한?러 협력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5-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12.
- “Recent Development in the Russian Far East-Baikal Region and Its Implicat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5-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8.
- “수교 25주년, 한·몽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5-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3.
- “러시아의 극동·바이칼 지역 개발과 한국의 대응방안” (공저), 연구보고서 14-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12.
- “최근 우크라이나 위기의 배경과 전망”, 지역경제포커스 14-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3.
- “한·러 비자면제협정 체결의 경제적 효과와 활용 방안” (공저), 연구자료 13-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러시아의 주요산업_전력인프라, 의료서비스”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3기 푸틴 정부의‘대외정책개념’과 정책적 시사점”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3-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12.
- “The Putin Administration's Far East Development Plans and the Future of Korea-Russia Cooperation”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6.
- “The Rise of Shale Gas and Russia’s Countermeasures” (공저), World Economy Brief 13-2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5.
- “셰일가스의 부상과 러시아의 대응”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3-0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2.
- “조지아의 주요 산업: 교통 인프라, 정보통신 산업을 중심으로” (공저), 전략지역 심층연구 12-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12.
- “블라디보스토크 APEC 정상회의 이후 한·러 협력과제”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9.
- “조지아 경제발전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2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8.
- “최근 러·중 경제협력 강화: 특징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7.
- “주요국의 셰일 가스 개발 동향과 시사점” (공저), 오늘의 세계경제 12-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6.
- “러시아 대선 이후 푸틴 정부의 경제정책 전망과 시사점” (공저), 지역경제포커스 12-0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3.
직급 전문연구원
전화번호 044-414-1507
주력분야 러시아, CIS 정치경제
델리사무소
조충제 | 직급 | 소장 | 분야 | 인도·남아시아 경제 | 연락처 | +91-11-4075-8085 | 메일 보내기 |
---|---|---|---|---|---|---|---|
박원빈 | 직급 | 연구원 | 분야 | 인도 지역개발, 산업경제, 노동경제 | 연락처 | +91-11-4075-8086 | 메일 보내기 |

직급 소장
전화번호 +91-11-4075-8085
주력분야 인도·남아시아 경제
- 04.09~08.02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경제학 박사
- 88.03~90.02 : 부산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
- 84.03~88.02 : 부산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 19.11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
- 17.09 ~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겸임교수
- 16.12 ~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임연구위원
- 18.04 ~19.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조정실장
- 15.12~16.12: 미국 Clarermont Graduate University 방문학자
- 10.03~15.12: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 09.05~15.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인도남아시아팀장
- 09.03~09.12: 미래기획위원회 인도부문 집필위원
- 08.03~13.02: 국정원 아태전문가 네트워크 간사
- 06.06~07.01: 대통령자문 국민경제자문회의 인도팀 자문
- 04.01~09.05: 롯데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00.02~03.12: 서울경제신문사 취재기자
- 99.11~00.01: 대우경제연구소 연구위원
- 98.06~99.11: 대우경제연구소 뉴델리사무소 연구위원
- 94.12~98.06: 대우경제연구소 연구위원
- 93.03~94.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원
[KIEP 발간물]
-인도의 도시화와 한·인도 협력방안 (연구보고서. 2017.12.27)
- 아시아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추진전략과 협력방안 (연구보고서. 2017.12.27)
- 인도 모디(Modi) 정부의 경제개발정책과 한ㆍ인도 협력방안 (연구보고서. 2015.12.30)
- 인도의 FTA 확대가 한·인도 교역에 미치는 영향 (연구보고서. 2014.12.30)
- 인도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한 · 인도 협력확대 방안 (연구보고서. 2014.12.30)
- 인도의 경제개혁 이후 노동시장의 변화와 시사점 (연구보고서. 2013.12.30)
- 한·인도 수교 40주년: 투자 부문 성과와 과제 (연구보고서. 2013.12.30)
-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rade and FDI: Implication for India and East Asian Countries (연구보고서. 2013.12.06)
- 남아시아의 개발수요와 한국의 분야별 ODA 추진방향 (연구보고서. 2013.01.15)
- 아시아 주요국의 대인도 경제협력현황과 시사점 (연구보고서. 2012.12.31)
- Korea-India Deepening Partnership for a 21st Century (연구보고서. 2012.07.31)
- 인도 주별 성장패턴 전망과 정책 시사점 (연구보고서. 2011.12.30)
- 인도진출 한국기업 경영실태 및 성과분석 (연구보고서. 2011.12.30)
- 한·인도 양국에서의 국가이미지 (연구보고서. 2011.12.30)
- 한‧인도 CEPA 이후 對남아시아 통상정책 (연구보고서. 2010.12.30)
- 인도의 권역별 특성과 활용 전략 (연구보고서. 2010.12.30)
- 인도경제의 서비스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JEAI, 2008.12.23)
- 주요 선진국의 대인도 경제협력 현황과 한인도 경협방향 (연구보고서. 1994.12.09)
- 인도 편람 (연구보고서. 1993.12.30)
[저서]
- Integrating South and East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공저. 2018)
- 인도 : 정치, 경제, 사회의 모든 것 (공저. 한스컨텐츠. 2012)
- 한국의 미래모습과 정책과제 (공저. 법문사. 2010)
- 글로벌 경제질서 재편과 G20 정상회의 (공저. 부글. 2010)
- 인도의 행정과 공공정책 (공저. 법문사. 2009)
- 한국의 신아시아 구상과 협력방안 (공저. 커뮤니티. 2009)
- 인도의 부상과 우리의 대응방안 (공저. 국민경제자문회의. 2007)
- 한국경제의 희망 BRICs (공저. 월간조선. 2005)
- 한인도 CEPA 공청회 (KIEP-무역협회. 2005)
- 위기의 벤처가 사는 길 (공저. 서울경제. 2002)
- 왜 벤처인가-세계의 선택 (공저. KTB네트워크. 2001)
[주요 논문]
- 인도 도시화와 경제성장 간의 상관관계 분석 (질서경제저널. 2017)
- 남아시아 역내 경제통합 평가와 전망 (인도사회연구. 2014)
- 인도 주별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인도 연구. 2012)
- 인도경제의 서비스화 요인 실증분석 (대외경제연구. 2008)
- 인도경제의 서비스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연구. 2008)
직급 연구원
전화번호 +91-11-4075-8086
주력분야 인도 지역개발, 산업경제, 노동경제
- Jawaharlal Nehru University 경제학 준박사·박사 (예정)
- 부산대학교 경제학 학·석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