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최신연구자료

금융위기 전개 과정 및 요인 분석: 복잡계와 머신러닝 방법론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금융위기 전개 과정 및 요인 분석: 복잡계와 머신러닝 방법론을 중심으로

최근 세계적으로 금융위기의 그림자가 아른거리고 있다. 주식, 채권, 디지털자산, 부동산 등 거의 모든 자산가격이 급락하고, 일부 취약한 신흥국은 외환위기에 빠졌다. 민간에 대한 신용공급도 둔화되고 기업의 부도도 늘어나고 있다. 이번에는 다를 것인가? 아니면 금융위기의 겉모습만 다를 뿐 이번에도 금융위기를 피하기는 어려울 것인가? 이는 세계적으로나 국내적으로 초미의 관심사다. 그래서 본 연구는 과거 사례를 통해 그리고 새로운 방법론을 통해 이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과거 금융위기 전후 네트워크 패턴 변화, 금융위기를 예측하는 요인, 금융위기가 새로운 금융위기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최근 상황을 진단하며 향후 잠재적 리스크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정영식, 오갑진, 한원태, 백예인, 강은정, 김유리
러-우 전쟁 이후 우리나라의 대중동 원유 수입 비중 변화와 시사점
세계경제 포커스 러-우 전쟁 이후 우리나라의 대중동 원유 수입 비중 변화와 시사점

▶ 최근 미주, 아시아 등지로 다변화되었던 우리나라의 원유도입선이 2022년 다시 중동지역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2023년 1/4분기에도 같은 추세가 지속됨. - 우리나라의 대중동 원유 수입 비중은 2016년 85.9%에서 2021년 59.8%로 5년간 약 26.1%p 감소하였으나, 러-우 전쟁 여파로 2022년 한 해 동안 전년대비 7.6%p 증가하며 67.4%를 기록함. - 2023년 1/4분기에도 70.2%를 기록하며 대중동 의존도 심화 추세가 지속됨.

유광호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최근 들어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은 ‘미국과 뜻을 같이하는 자유주의 국가’와 ‘러시아, 중국 등 권위주의 국가’로 블록화되고 있다. 예전부터 아세안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국제무대에서 입지를 강화해왔다. 그런 의미에서 아세안은 진영화된 세계에 한국이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파트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질서의 변화에 맞춰 공급망, 디지털 무역, 기후변화 대응, 보건 및 개발협력 분야별로 아세안의 정책을 고찰하고 한국의 대아세안 협력 방향을 모색한다.

곽성일, 조승진, 정재완, 이재호, 신민금, 박나연, 김소은
파키스탄의 복합위기와 시사점
세계경제 포커스 파키스탄의 복합위기와 시사점

▶ 파키스탄 내 경제 및 정치 상황이 악화되면서 디폴트 가능성이 다시 제기됨. - 지난 2년간 달러화 대비 파키스탄 루피화 환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여, 2022년 4월 디폴트를 겪은 스리랑카의 환율 상승 폭을 넘어서고 있음. - 주요 신용평가사들은 파키스탄을 ‘매우 높은 위험’ 국가로 분류하는 가운데, 경제 및 정치 불안이 심화되자 신용등급의 추가 하향 조정 가능성을 시사함.

김경훈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세계 최대 탄소배출국이면서 개도국의 배출감축 의무에 회의적이던 중국이 2020년 국제무대에서 ‘2030년 탄소배출 정점, 206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이후, 중국의 ‘탄소중립 시계’가 빨라지고 있다. 한국, 미국, 일본보다 앞선 ‘개도국 중국의 탄소중립 달성’ 선언에 대해, EU가 일으킨 탄소중립의 불씨를 키워낸 ‘역사적 사건’이라는 호평과 외교적 구호로 치부하는 의구심이 공존하였다.

정지현, 성한경, 김홍원, 이한나, 김주혜, 박혜지

KIEP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