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이진상

  • SME Technological Progress and Cooperation in Chinese Taipei: Implications to Se..

      대만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한국, 싱가포르, 홍콩과 더불어 아시아에서 가장 성공한 경제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대만은 정부의 효율적인 중소기업 정책과 기술발전에 힘입어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발전을 일굴 수 있었다. 한편 APEC..

    이진상 외 발간일 2017.12.10

    APEC,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s on SME Technologies

    Ⅲ. SME Technological Progress in Chinese Taipei
    3.1 Current Status of SMEs
    3.2 Government Policies on SMEs
    3.3 Promotion of SME Technologie
    3.4 Technology Cooperation with Developed Countries

    Ⅳ. Implications to Selected APEC Member Economies
    4.1 Implications to Viet Nam
    1) Current Status of SMEs
    2) Government Policies on SMEs
    3) Promotion of SME Technologies
    4) Technology Cooperation with Developed Countries

    4.2 Implications to Malaysia
    1) Current Status of SMEs
    2) Government Policies on SMEs
    3) Promotion of SME Technologies
    4) Technology Cooperation with Developed Countries

    4.3 Implications to Indonesia
    1) Current Status of SMEs
    2) Government Policies on SMEs
    3) Promotion of SME Technologies
    4) Technology Cooperation with Developed Countries

    4.4 Implications to the Philippines
    1) Current Status of SMEs
    2) Government Policies on SMEs
    3) Promotion of SME Technologies
    4) Technology Cooperation with Developed Countries

    Ⅴ. The Role of APEC on SME Technological Progress and Cooperation
    5.1 Needs for the Role of APEC
    5.2 APEC Activities for Government Policies on SMEs
    5.3 APEC Activities on Technology Promotion Policies
    5.4 APEC Activities on SME Technology Cooperation

    Ⅵ.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닫기
    국문요약

      대만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한국, 싱가포르, 홍콩과 더불어 아시아에서 가장 성공한 경제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대만은 정부의 효율적인 중소기업 정책과 기술발전에 힘입어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발전을 일굴 수 있었다. 한편 APEC 회원국 가운데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은 지하자원, 인구규모, 국토 면적 등 풍부한 생산요소를 보유하고 있지만, 경제성장이나 중소기업 기술발전 수준은 대만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낮다. 본 연구는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4개국의 중소기업 정책, 기술발전 수준, 선진국과의 기술협력 정도를 대만과 비교·분석한다. 이를 통해 APEC 차원에서 추진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기술협력 강화방안을 제안한다.

    핵심용어: 중소기업, 기술협력, 대만,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APEC 

    닫기
  • 동부아프리카 2개국(에티오피아, 케냐)의 사회경제개발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방안 연구

    아프리카 동북부 지역은 ‘아프리카의 뿔(The Horn of Africa)’이라 불리며, 세계에서 가장 열악한 사회경제개발 수준을 가진 국가들이 있다. 주변 국가들의 정치 불안정과 부진한 경제성장은 이 지역의 생활환경을 세계에서 가장 취약한 곳으로 만..

    이진상 외 발간일 2012.12.31

    경제개발, 경제발전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내용 


    제2장 사회경제개발 역량 
    1. 사회경제개발 과정분석 
    2. 사회경제개발 역량분석 


    제3장 사회경제개발을 위한 국가계획 분석 
    1. 사회경제개발 계획의 주요 내용 
    2. 사회경제개발 계획달성의 장애요인 
    3. 사회경제개발 계획 및 장애요인 비교 


    제4장 국가 사회경제개발 전략 
    1. 에티오피아의 사회경제개발 전략 
    2. 케냐의 사회경제개발 전략 


    제5장 우리나라의 개발협력 정책방안 
    1. 에티오피아에 대한 개발협력 정책방안 
    2. 케냐에 대한 개발협력 정책방안 
    3. 우리나라 개발협력의 SWOT 분석 


    제6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 결론 
    2. 정책 시사점 


    참고 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닫기
    국문요약

    아프리카 동북부 지역은 ‘아프리카의 뿔(The Horn of Africa)’이라 불리며, 세계에서 가장 열악한 사회경제개발 수준을 가진 국가들이 있다. 주변 국가들의 정치 불안정과 부진한 경제성장은 이 지역의 생활환경을 세계에서 가장 취약한 곳으로 만들었으며, 2011년 초부터 에티오피아 남부, 케냐 남부 및 소말리아 남부 지역에 거주하는 약 1,200만 명의 인구가 국제사회에 식량지원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지정학적으로 에티오피아와 케냐가 ‘아프리카의 뿔’ 주요국으로, 에티오피아에는 AU(African Union) 본부 및 아프리카 관련 국제기구 본부가 있고, 케냐에는 유엔환경계획(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 등 주요 국제기구가 있다. 이들 국가의 사회경제개발은 주변국의 정치 및 경제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아프리카의 뿔’에서, 에티오피아와 케냐는 국토(남한 면적의 5~10배)가 넓고 농사에 적합한 기후이나, 경제 기반이 취약하고 농업기술과 사회개발수준이 낙후하여 식량부족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들 동부 아프리카 두 나라의 토지 활용은 낮은 수준이며, 국민의 6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나, 농업부문이 국민총생산에 기여하는 비율은 불과 30%에도 이르지 못할 정도로, 생산성이 낮다. 이 지역은 세계에서 절대빈곤층이 가장 많이 분포한 지역이며, 수많은 국제기구, 원조단체 등이 지난 수십 년간 다양한 지원을 해오고 있음에도 유엔의 MDGs 목표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낮은 소득수준과 정치 불안정, 정부의 관리능력 부족 등으로 원조의 효과성이 다른 저개발국가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티오피아와 케냐 2개국은 사회개발 측면에서도 많은 장애요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자보건이 취약하고 유아사망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으며, 영양결핍과 미숙아 출산이 빈번하다. 비위생적인 식수공급으로 질병 발생률이 높으며, 높은 HIV/AIDS 감염률을 보이고 있고, 제도교육에 대한 열악한 재정투입으로 문맹률이 높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학교 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인구증가율은 높고 대부분 농업에 크게 의존하여 일자리 창출이 인구증가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이는 높은 실업률의 원인이며, 높은 청년실업률은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한편, 제조업과 서비스업 분야의 성장률이 낮아 늘어나는 노동력 흡수가 어렵다.


    이러한 경제 및 사회 개발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이들 2개국은 기본적으로 넓은 국토, 풍부한 강수량 등 농업개발을 위한 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교 교육을 강화하여 인적자원을 개발함으로써 노동집약적 산업을 육성하여 사회경제개발과 경제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와 케냐의 사회경제개발 현황조사, 사회경제개발 계획 및 사회경제개발 역량과 계획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원조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국제개발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닫기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