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Igbinoba Emmanuel

  • Empirical Assessment of Trade Engagements: Africa, China and the Maritime Belt a..

      최근 개발경제 문헌은 개발도상국간의 무역과 해외 투자가 선진국·개발도상국 간의 무역과 투자보다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개발도상국의 투자자가 선진국의 투자자보다 현지 시장..

    Igbinoba Emmanuel 발간일 2017.12.19

    경제개발, 무역구조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1. Introduction
    1.1 China-Africa Relations


    2. Methodology and Data
    2.1 Methodology
    2.2 Data


    3. Findings and Results
    3.1 Scenarios for the MBRI in Africa


    4. Summary and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닫기
    국문요약

      최근 개발경제 문헌은 개발도상국간의 무역과 해외 투자가 선진국·개발도상국 간의 무역과 투자보다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개발도상국의 투자자가 선진국의 투자자보다 현지 시장과 사업 관행에 더 익숙하여 생산성 파급 효과를 증대시키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Aykut and Goldstein 2007). Amighini and Sanfilippo(2014)는 개발도상국간 무역과 투자가 농산물 가공, 플라스틱, 섬유 및 가죽 생산과 같은 경공업 분야에서 제품 다양화를 촉진한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일대일로 이니셔티브(BRI: The Belt and Road Initiative)는 2013년을 기점으로 중국과 연결된 지역간의 무역로를 개척하고 경제적인 기회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본 연구는 해양 실크로드(Maritime Silk Road)에 따른 중국과 아프리카 국가간의 무역 관계를 평가하고, 아프리카 경제에 내재된 무역 잠재력과 이득을 추정한다. 이를 위해 계량적 기법을 적용하여 중·아프리카 실크로드 국가간의 무역 관계와 정도를 분석하고 추정한다. 또한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과 아프리카 국가간 무역 이득을 강화하고 향상할 수 있는 채널을 모색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아프리카 국가간 무역 관계가 중국에 유리하지만 무역 패턴과 구조는 보완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중·아프리카 국가간 무역이 아프리카의 경제구조 전환에 중요한 아프리카 제품의 다각화와 질적 개선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용어: 해양 실크로드, 일대일로, 아프리카, 무역 보완, 무역 경쟁력 

    닫기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