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박두복
-
중국경제연보 2003
중국의 개혁개방은 떵샤오핑(鄧小平)의 등장이래 중국 공산당의 주도 아래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정치 및 정부의 정책 기조가 경제 각 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국유기업의 사유화 문제 등 가일층의 개혁의 심도와 속도는 국내 정치 ..
지만수 외 발간일 2003.04.20
목차개 관 (지만수)닫기
제1부 최근 정치 동향
1장 국내 정치 (황병무)
2장 대외 관계 (박두복)
제2부 국내 경제
3장 거시경제동향 (김은경)
4장 경제정책의 기조 변화 (왕윤종)
5장 금융체제 및 금융개혁 (양두용)
6장 예산 조세제도 운용 및 개혁 (한상국)
7장 기업 개혁 (이 근)
8장 노동시장과 실업 문제 (김시중)
제3부 대외 경제와 개방
9장 대외무역와 외국인직접투자 (남상렬/이성봉)
10장 무역수지와 환율 (강삼모)
11장 통상정책 및 대외경제협력 (정인교)
12장 WTO 가입과 법제도 변화 (박노형)
제4부 산업 동향
13장 산업정책 및 산업구조 현황 (박승록)
14장 IT산업 (지만수)
15장 섬유 및 가전산업 (박월라, 최의현)
16장 조선 및 철강산업 (오동윤)
17장 승용차산업(조현준)
18장 유통산업 (조현준)
19장 에너지 수급 동향 및 전망 (이장규)
제5부 권역 경제
20장 권역별 경제현황 및 전망 (정영록)
21장 장감삼각주 지역의 경제성장 동향 (오동윤, 임홍수)
22장 주강삼각주 지역의 경제성장 동향 (중국학자)
23장 중관촌 지역의 경제성장 동향 (지만수)
제6부 한중 교류
24장 한중 경제교류 추세와 특징 (오동윤)
25장 한중 산업협력 현황과 전망 (신태용)
26장 한류와 대중 문화산업 진출 (임홍수)
<부록> 중국경제통계 ( 정다송씨 )국문요약중국의 개혁개방은 떵샤오핑(鄧小平)의 등장이래 중국 공산당의 주도 아래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정치 및 정부의 정책 기조가 경제 각 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국유기업의 사유화 문제 등 가일층의 개혁의 심도와 속도는 국내 정치 역관계와 정치적 변수들에 의해 결정된다. 최근 구성된 이른바 4세대 지도부는 구성인원의 연령이나 경력을 고려할 때 "안정 기조위의 점진적 개혁, 발전"을 추구할 것이다. 즉 덩샤오핑과 장쩌민(江澤民)의 개혁개방 노선을 충실히 답습하면서 이른바 "3개 대표" 사상으로 요약되는 새로운 변화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략)닫기 -
목차對蘇經濟協力에 관한 基本戰略 模索 / 李昌在닫기
I. 序論
II. 蘇聯 政治ㆍ經濟改革과 韓蘇經協
1. 蘇聯의 政治改革
2. 蘇聯經濟의 現況과 經濟改革
3. 蘇聯의 改革과 對外經濟協力
III. 西方諸國의 對蘇經濟協力
1. 西獨의 對蘇經濟協力
2. 프랑스의 對蘇經濟協力
3. 日本의 對蘇經濟協力
IV. 韓蘇經濟交流 現況과 問題點
1. 韓蘇經濟交流의 背景
2. 韓難經濟交流 現況
3. 韓蘇經濟協力의 問題點
V. 對蘇經濟協力 基本戰略
1. 對蘇經濟協力 基本原則
2. 段階的 推進戰略
3. 制度整備
4. 對蘇進出戰略
VI. 結論
韓ㆍ中 經濟交流 現況과 우리의 進出戰略 / 朴斗福 ; 盧熙穆
I. 政治環境의 變化
1. 江澤民 體制의 性格과 安定度 評價
2. 鄧小平 以後의 中國政治
II. 中國經濟環境과 그 展望
1. 經濟改革ㆍ開放의 背景과 內容
2. 經濟成長
3. 貿易
4. 外國人直接投資
5. 改革ㆍ開放政策의 展望
III. 中國의 對韓半島政策 : 그 基調와 展望
1. 中國의 對韓半島 認識과 利益槪念의 變化
2. 中國 獨立自主外交路線과 對韓半島 政策의 「二分化」
3. 中ㆍ蘇 關係發展과 中國의 對韓政策
4. 中國의 對韓政策의 制約性과 政經分雌
IV. 中國 現代化에 있어서 韓國의 位置
V. 韓ㆍ中 經濟交流 現況과 問題点
1. 民間經濟協定 締結
2. 現況
VI. 韓ㆍ中 經濟交流 增進方案
1. 基本方向
2. 推進方案
〈附錄〉
I. 韓ㆍ中 經濟交流 有望分野
1. 交易有望品目
2. 投資進出 有望分野
II. 對中 進出事例 및 示唆點
1. 進出事例 分析
2. 示唆點
東歐의 經濟改革과 經濟協力의 方向 / 鄭甲泳
I. 序論
II. 東歐經濟의 構造
1. 東歐經濟의 現況과 國際比較
2. 東歐經濟의 成長
3. 産業構造
III. 東歐의 政治改革
1. 東歐政治改革의 特徵
2. 國家別 政治改革
(1) 헝가리의 變身
(2) 폴란드의 政治改草
(3) 東獨의 開放과 改革
(4) 유고슬라비아의 政治動向과 民族問題
(5) 루마니아와 알바니아
IV. 東歐의 經濟改革 政策
1. 經濟改革政策의 特徵
2. 國別 主要 經濟改革
(1) 헝가리의 經濟改革
(2) 폴란드의 經濟改革
(3) 유고슬라비아의 經濟政策
(4) 동독과 불가리아의 經濟改革
3. 經濟改革의 展望
V. 東歐의 對外去來와 進出環境
1. 對外去來의 特徵
2. 東歐의 交易構造
3. 改革主導國의 對外去來
4. 進出環境의 評價
VI. 韓ㆍ東歐 經濟協力의 政策方向
1. 基本背景 : 東歐의 改革과 世界經濟
2. 基本 目標와 戰略
(1) 世界經濟秩序의 再編에 對應
(2) 社會主義圈에 대한 交易基盤 擴充
(3) 中歐圈의 形成에 대한 事前對備
(4) EC 進出을 위한 橋頭堡確保
(5) 政治ㆍ經濟的 利益의 調和
(6) 世界 政治ㆍ經濟圈에서 韓國의 役割과 地位提高
3. 經濟協力의 擴大
(1) 基本方向
(2) 貿易과 投資의 擴大
(3) 經濟改革과 開發事業의 積極 參與
(4) 國際間 콘소시움의 형성
(5) 시범적 事業(pilot project)의 선정
(6) 국내 産業構造의 高度化에 연계
(7) 對外 經濟協力基金의 效率的 活用
(8) 中央調整機構의 運用
(9) 국제기구의 동구지원 개발산업에 대한 참여
4. 交流 基盤의 擴充
(1) 基本方向
(2) 硏究專門人力의 確保
(3) 制度的 制約要因의 除去
(4) 情報의 원활한 供給擴大
(5) 非政治ㆍ經濟 交流의 活性化
〈參考文獻〉국문요약 닫기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