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Analyses APEC Study Series
발간물
Working Papers
Kodirjon Maxamadaminovich Umarkulov
-
A Study on the Dynamics of Foreign Trade and the Issues of Regional Economic Int..
중앙아시아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어 오늘날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전 세계의 정치·경제적 이해관계가 만나는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지역 내 주요 이슈들을 해..
Kodirjon Maxamadaminovich Umarkulov 발간일 2018.11.12
경제통합목차닫기Executive Summary
1. Introduction
2.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Processes of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in CA
3. Dynamics of Foreign Trade of CA Countries
3-1. General Foreign Trade
3-2. Mutual Trade
4. The Role of CA Countries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5. Conclusion
Appendix
References국문요약닫기중앙아시아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어 오늘날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전 세계의 정치·경제적 이해관계가 만나는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지역 내 주요 이슈들을 해결하고 정치·경제적 이해관계의 충돌에 대응할 수 있는 강력한 메커니즘 구축을 위한 공동의 개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내부 역량 강화와 자원 활용의 효율성 증대, 사회·경제 기반시설의 현대화, 시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공동의 경제개발 행로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이는 중앙아시아 지역경제 통합의 진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중앙아시아 각국은 역내 경제통합을 통해 경제적 약점을 상호 보완하고, 높은 수준의 역내 교역 활성화와 산업 발전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앙아시아의 경제통합을 저해하는 장애요인도 있다. 특히 취약한 사회 기반 시설, 세계시장과의 지리·경제적 괴리, 행정 장벽, 불안정한 정치여건이 중앙아시아 역내 교역을 방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일반 무역 및 국경 간 무역의 문제점과 역내 경제통합의 기회에 대해 중점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핵심용어: 중앙아시아, 역내 교역, 경제통합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