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자료
Danny Leipziger and Carl Dahlman
-
How to Position South Korea in a Dramatically Changing World
오늘날 격변하는 세계 속 불확실성에 직면한 한국은 어떠한 위치를 선점해야 할지 전략적으로 고민해야할 것이다. 이에 본 보고서는 미중 통상갈등, 빠른 속도의 기술혁신과 상용화로 인한 과제와 기회, 중국의 고속 발전 등 한국이 직면하고 있는 ..
Danny Leipziger and Carl Dahlman 발간일 2019.05.25
무역구조, 산업정책목차닫기Executive Summary
Contributors
Introduction
Part One. The Changing Constellation of Risks and Opportunities
Section A. Three Key Trends
Trend 1. Protectionism and Trade War
Trend 2. Rapid Development and Spread of DisruptiveTechnologies
Trend 3. The Rapid Rise of ChinaSection B. Main Challenges for Korea
Dealing with the Increasing Fric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Dealing with the Challenge of a Stronger and More Dominant China
Dealing with Disruptive Technology
Conclusion
Part Two. Possible Korean Policy Responses
Section C. Repositioning Korea on Trade
Reducing Dependence on Trade and Finding New Trade Partners
Exports to the World
Developing New Products and Services for Export
Navigating a New Korea-China Relationship on Trade and Technology: Where to Compete, Where to Concede, and Where to Cooperate
Where to Compete and Where to Concede
Where to Cooperate
Future Prospects
Compete
Cooperate
ConcedeSection D.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Flexibility and Resilience of the Korean Economy
Benchmarking Korea o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Flexibility
Benchmarking Korea on Innovation
Conclusion
Appendix
References국문요약닫기오늘날 격변하는 세계 속 불확실성에 직면한 한국은 어떠한 위치를 선점해야 할지 전략적으로 고민해야할 것이다. 이에 본 보고서는 미중 통상갈등, 빠른 속도의 기술혁신과 상용화로 인한 과제와 기회, 중국의 고속 발전 등 한국이 직면하고 있는 3가지 경제적/전략지정학적 도전 과제와 이에 따른 대응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 도전과제는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미중 통상 갈등은 글로벌 경제를 이끌고 있는 미국과 신흥 강자로 부상한 중국 간의 기술 패권 경쟁으로 대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의 최대 교역 국가인 중국과 미국 간의 경쟁은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보고서의 첫번째 부분은 전반적인 배경 설명과 도전 과제들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두번째 부분은 한국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들에 대응하기 위한 경쟁력 및 유연성 증진을 위해 대내외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전략들에 대해 논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