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KIEP 기초자료
정민철
-
미・일 무역협정(USJTA) 발효와 한·일 대미수출 경쟁력 비교
▶ 미·일 상품협정이 2020년 1월 1일부로 발효됨에 따라 미국시장 내 한·일 상품간에 경쟁력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교역 및 관세율 자료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통해 경쟁력 변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함. - 상품협정에 의하면 일본은 농축산..
김혁황 외 작성일 2020.05.11 조회수 14,880
-
한국의 비관세조치 현황: UNCTAD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의 비관세조치에 대한 자료가 UNCTAD TRAINS 웹사이트(https://trains.unctad.org/)를 통해 2019년 정식 등록 및 공개됨. - UNCTAD 비관세조치 데이터베이스는 세계 각국의 법령에 기초한 비관세조치들을 구체적인 분류 및 일원화된 수..
김종덕 외 작성일 2020.01.13 조회수 17,516
-
한・중 FTA 발효 이후 한・중 무역의 변화와 시사점
▶ 한·중 FTA는 2015년 12월 20일 발효되어 현재 이행 5년 차 스케줄을 이행 중에 있으며, 한·중 경제적 유대관계 강화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양국관계의 실질적·상징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한·중 FTA 상품양허를 통해 협정 발효일..
배찬권 외 작성일 2019.12.10 조회수 10,904
-
미 자동차 232조 조사의 향후 전망 및 대응방안
▶ 미국 상무부는 철강 및 알루미늄에 이어 지난 5월 23일 수입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 1962년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하여 국가안보상의 이유로 수입제한조치를 취하기 위한 조사를 개시함. - 이번 조사를 개시한 배경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오수현 외 작성일 2018.07.24 조회수 6,172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