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KIEP 기초자료
유광호
-
사우디아라비아 경제다각화 정책과 한국의 기회
▶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구조 다각화를 위한 움직임이 가속화되면서 경제협력 수요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음.- 사우디 비전 2030의 목표 시점으로 내세운 2030년이 다가올 뿐 아니라 최근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재정 수입 확대로 ..
유광호 외 작성일 2023.10.27 조회수 8,703
-
한·북아프리카 3개국 경제협력 현황과 시사점
▶ 12월 16~22일에 걸쳐 이낙연 국무총리가 공식 방문하는 알제리, 튀니지, 모로코는 석유, 천연가스, 인광석 등 풍부한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동, 유럽, 아프리카를 잇는 지리적 요충지임. - 알제리는 한반도의 약 10배에 달하는 국토..
정재욱 외 작성일 2018.12.17 조회수 4,344
-
미국의 경제제재(sanctions program) 완화 사례 분석
▶ 미국의 대북제재는 법률, 대통령 행정명령,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등에 근거하여 중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미국은 북한을 특정한 대북제재강화법(2016년 2월)과 북한, 러시아, 이란에 대한 제재를 하나로 통합한 ‘제재를통한미국의적대..
김종혁 외 작성일 2018.10.24 조회수 7,171
-
미국의 이란 핵합의(JCPOA) 탈퇴 이후 한·이란 경협 관계 전망 및 시사점
▶ 국제사회의 대이란 제재 완화(2016. 1)와 함께 빠른 속도로 회복된 한국과 이란 간 경제협력은 2018년 5월 미국의 JCPOA 탈퇴로 다시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짐. - 미국이 JCPOA 탈퇴를 선언하고 제재 복원 유예기간(wind-down period)을 설..
이권형 외 작성일 2018.07.12 조회수 5,418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