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KIEP 기초자료
김미림
-
라오스의 경제 현황 및 한·라오스 경제협력 방향
▶ 라오스는 신남방정책의 핵심 협력대상인 아세안의 일원이나 한국과 라오스의 경제협력은 여타 아시아 국가와 비교 시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새로운 협력방향 모색이 필요- 2018년 한국의 대(對)라오스 교역은 한국의 對베트남 교역의 0...
김미림 작성일 2019.08.30 조회수 7,864
-
싱가포르의 성장전략 추진 현황과 시사점
▶ 한국은 싱가포르의 강점인 금융·보험 서비스업, 고부가가치 제조업, ICT 산업을 중심으로 최근 약화된 한·싱가포르 간 경제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최근 양국 교역이 감소하고 한국의 對싱가포르 투자 정체, 싱가포르 건설 수주 감소 등..
김미림 작성일 2018.10.23 조회수 6,349
-
미얀마 수찌 정부의 경제개혁 2년 평가와 전망
▶ 수찌 정부는 그동안 부분적으로 투자환경 개선과 금융․자본시장 개혁을 추진해온 가운데 2018년 들어 ‘지속가능개발계획(MSDP)’과 ‘11대 개혁의제’를 발표함. 이는 미얀마 정부의 본격적인 경제 개혁․개방 추진을 시사하고 있어 미얀마의 경..
정재완 외 작성일 2018.07.26 조회수 5,101
-
캄보디아의 수출다변화 추진정책과 과제
▶ 캄보디아는 노동집약적 의류·신발제품 수출을 주요 동력으로 견실한 경제성장을 달성하였으나 최근 임금상승, 특혜관세 종료 가능성, 특정 수출시장 집중에 따른 대내외적 리스크 심화로 인해 수출다변화 과제가 대두됨. - 캄보디아는 20..
오윤아 외 작성일 2017.12.26 조회수 3,6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