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주용식 공편저
-
Regionalism in Northeast Asi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동북아시아는 지역주의라는 새로운 질서의 도래를 맞고 있다. 중국의 급격한 경제성장에 따른 역내 경제 교류의 증가와 함께 지리적 근접성과 문화적 유사성이라는 조건은 역내 국가들의 사회적 교류를 더욱 긴밀하게 만들고 있다. 최근의 이러한 경..
안형도 외 발간일 2005.11.25
경제개발, 경제통합목차Overview닫기
Hyungdo Ahn and Yong Shik Choo
I. Energy and Region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Kent E. Calder
II. Toward an Integrated Energy Cooperation System for Northeast Asia
Yongduk Pak
III. Economic Regionalism in East Asia
Edward J. Lincoln
IV. East Asian Regionalism: Characteristics and Prospects
Chang Jae Lee
V. Thinking Outside the Box About the U.S.-ROK Alliance
Joel S. Wit
VI. The Emerging New Order in Northeast Asia and the Security Landscape on the
Korean Peninsula
Hyug Baeg Im
Biographies of Participants국문요약동북아시아는 지역주의라는 새로운 질서의 도래를 맞고 있다. 중국의 급격한 경제성장에 따른 역내 경제 교류의 증가와 함께 지리적 근접성과 문화적 유사성이라는 조건은 역내 국가들의 사회적 교류를 더욱 긴밀하게 만들고 있다. 최근의 이러한 경향은 역내의 안보체제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비정치적 비군사적 교류의 증가가 종국적으로 협력적인 집단안보 체제를 구축하게 되리라는 시각이 있지만, 새로 등장할 질서가 반드시 자유주의적인 것이라고 낙관할 수만은 없다. 동북아의 역사적인 지정학적 망령으로 인해 국가 간에는 여전히 상호불신이 만연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내 협력이 가져오는 효과를 넘어서는 것이다. 협력적인 안보질서의 구축은 현재 당면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는지에 달려있으며 북한핵문제는 그 시험대가 될 것이다. (생략)닫기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