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오늘의 세계경제
김현수
-
한미 디지털 통상 현안과 정책 시사점
▶ 미국의 디지털 통상 압박 수준이 과거 어느 때보다 높아졌고 앞으로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바, 2025 NTE 보고서를 바탕으로 관련 논의와 쟁점을 살펴보고 대응 방향을 점검할 시점임. - 본고의 작성 목적은 NTE 보고서에 산발적으로 적시..
이규엽 외 작성일 2025.04.17 조회수 1,116
-
2024 미국 대선: 미국 통상정책의 경제적 영향 분석
▶ 본고에서는 미국의 차기 정부에서 시행될 가능성이 높은 관세정책 및 공급망 재편정책을 중심으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대중국 관세정책의 한국 수출에 대한 영향] 트럼프 행정부에서 시행된 대중..
김종덕 외 작성일 2024.10.31 조회수 18,013
-
다보스 2023: 글로벌 무역과 투자 회복을 위한 과제
▶ 다보스 2023은 ‘분절화된 세계에서의 협력(Cooperation in a Fragmented World)’을 주제로 회복력 있고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아가는 방안에 대해 화두를 던짐. - 2023년 세계 무역성장률을 3.4%에서 1.0%로 하향 조정(WTO)하였고, 2022년 2..
김종덕 외 작성일 2023.02.03 조회수 8,894
-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 한미 FTA는 우리나라가 거대 선진경제권과 맺은 첫 FTA로 이후 여러 FTA를 추진할 때 기초가 되는 무역협정의 기본 틀로서 기능하였으며, 아울러 다수의 국내 제도를 국제적인 표준에 맞춰 개선하는 계기를 제공하였음. - 한미 FTA는 체결 당시..
구경현 외 작성일 2022.03.11 조회수 17,462
미국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의 국제적 확산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가 중국에서 발생한 이후 아시아를 거쳐 EU와 미국으로 확산되는 추세 ▶ [거시경제적 영향: 시나리오 분석] COVID-19 확산 정도에 따라 한국의 실질GDP가 0.51~1.02% 감소할 것으로 추정 - 세계(∆0.57~∆1.1..
이규엽 외 작성일 2020.03.13 조회수 31,846
-
미·일 무역협정(USJTA)의 경제적 영향
▶ 미국과 일본은 2019년 4월 협상을 시작하여 8월 25일 농산품, 자동차, 디지털 분야 등 상품분야에 대해 합의를 도출하였으며, 9월 말 UN 총회에서 서명할 예정▶ 농산품의 경우 일본이 과거에 체결한 협정 범위 내에서 관세 양허 수준이 결정되었..
김현수 외 작성일 2019.09.25 조회수 8,976
-
미 중간선거 결과와 트럼프 행정부 통상정책의 변화 가능성
▶ 2018년 11월 6일 치러진 미국의 중간선거 결과 예상대로 상원은 공화당이, 하원은 민주당이 다수당이 되어 2015년 이후 다시 의회분할(Divided Congress)이 이루어짐. - 상원은 공화당이 53석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어 기존 다수당의 위치..
서진교 외 작성일 2018.11.08 조회수 6,264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