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김윤경
-
ASEAN 주요국의 산업·교역구조 분석
동남아 국가들은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기존의 수입대체전략에서 탈피하여 수출주도형 공업화 정책을 추진해 왔고, 투자 및 무역자유화와 함께 대외지향적 성장전략이 본격화되면서 산업 및 무역구조에 있어서 큰 변화를 겪어 왔다. 특히 1985년 플..
권율 외 발간일 2002.12.30
무역구조, 산업구조목차제1장 서론닫기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제2장 ASEAN 주요국의 발전전략과 구조전환
1. 경제발전의 패턴과 특징
2. 동남아각국의 산업발전과 공업화정책
제3장 ASEAN 주요국의 투입산출분석
1. 생산 및 교역구조
2. 전후방연쇄효과
3. 스카이라인분석
제4장 ASEAN 산업발전의 진로와 전망
1. 생산집적효과와 국제분업체제
2. 역내산업협력과 무역자유화
3. 역내 경제통합현황과 추진과제
제5장 한·ASEAN 산업협력현황과 과제
1. 산업협력의 주요특징
2. 한·ASEAN 투자 및 무역구조
3. 한·ASEAN 산업협력의 과제
제6장 결 론
참고문헌국문요약동남아 국가들은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기존의 수입대체전략에서 탈피하여 수출주도형 공업화 정책을 추진해 왔고, 투자 및 무역자유화와 함께 대외지향적 성장전략이 본격화되면서 산업 및 무역구조에 있어서 큰 변화를 겪어 왔다. 특히 1985년 플라자합의 이후 본격화된 일본의 해외투자진출을 계기로 직접투자주도형 수출공업화가 본격화되면서 제조업 생산기반이 크게 확대되고, 대외교역에 있어서도 농산품 및 천연자원 중심에서 공업제품 수출이 증대되면서 교역구조가 고도화되었다. (생략)닫기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