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KIEP 북경사무소 브리핑
목록으로
중국 스마트제조 장비산업의 발전 현황 및 평가
- 저자 북경사무소
- 발간일2024-12-11
▣ 전 세계적으로 제조업의 첨단화 및 디지털화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최대 제조국인 중국도 최근 몇 년간 스마트제조 관련 정책을 발표하며 다방면의 고도 발전 촉진
- 환경 보호 및 지속 가능한 산업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탄소배출량은 낮추고 에너지 효율성 및 생산성은 높이는 스마트제조 기술 및 장비의 중요성이 증대됨.
- 중국 내 스마트제조 발전 전략은 2015년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으며, 제조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중요 과제로 부상
- 중국 스마트제조 관련 주요 정책에는 《중국 제조 2025》, 《스마트제조 발전계획》,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 《고급 스마트 재(再)제조 실행계획》, 《인터넷+선진 제조업 통합발전 의견》 등이 있음.
▣ 스마트제조 장비 시장규모 상위 분야는 스마트 컨트롤러, CNC 공작기계, 스마트 검사기계, 스마트 센서, 스마트 물류장비, 산업용 드론, 산업용 로봇, 3D 프린팅 장비 순으로 집계됨.
- 연평균 증가율이 높은 분야는 산업용 드론(약 55%), 3D 프린팅 장비(29%), 스마트 물류장비(25%), 스마트 검사장비(17%), 산업용 로봇(16%), 스마트 센서(16%), 스마트 컨트롤러(12%), 스마트 공작기계(4%) 순
▣ 중국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금융지원 등을 통해 스마트제조 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며, 각 지역별로 중점 개발 분야 및 세부 목표 제시
- 스마트제조기업 융자지원 건수가 많은 상위 지역은 장쑤성(800건), 광둥성(761건), 상하이(740건), 베이징(670건), 저장성(417건) 순
- 쓰촨성은 2025년까지 소재 기업의 CNC 공작기계 생산 부가가치 약 50억 위안 초과 목표, 산둥성은 2025년까지 매년 20개 이상의 스마트제조기업을 육성하고 100개 이상의 스마트 공장을 구축할 계획
▣ 스마트제조 발전은 중국의 경제 재편 및 노동력 감소 문제 등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 기여를 하며, 첨단제품의 대외 무역 촉진에도 영향을 미침.
- 스마트제조 장비를 이용하여 생산한 중국산 고부가가치 첨단 제품의 수출경쟁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산 제품에 대한 글로벌 인지도 및 선호도 또한 높아지는 양상
첨부파일
-
(241211) 중국 스마트 제조장비산업의 발전 현황 및 평가.pdf (1.09MB / 다운로드 823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