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기초자료
발간물
KIEP 기초자료
인도 바이오경제(Bioeconomy) 육성 전략과 시사점
- 저자 김민희
- 번호25-01
- 작성일2025-02-28
▶ 바이오기술의 개발 및 도입이 차세대 산업 혁명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최근 인도의 바이오경제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
- 인도 바이오경제의 규모는 2014년 100억 달러에서 2023년 1,510억 달러로 15배가량 성장했으며, 이는 바이오 제약(726억 달러), 바이오 산업(538억 달러), 바이오 농업(124억 달러), 바이오 서비스(121억 달러)로 구성
- 특히 바이오 제약은 인도 국내 경제뿐만 아니라 전 세계 의약품 제조 산업 및 시장에서도 주요 부문을 차지하고 있음.
- 2023년 주별 바이오경제 규모는 마하라슈트라(405억 달러, 전체의 27%), 카르나타카(310억 달러, 20%), 텔랑가나(180억 달러, 12%) 순임.
▶ 2024년 8월 인도 내각에서 바이오경제 생태계 구축 및 바이오기술 도입 활성화를 목표로 한 「2024 BioE3 정책」의 입안이 승인됨.
- 인도는 이전부터 바이오기술의 개발 및 도입을 장려하고 관련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을 지속 시행하였으며, 바이오 인큐베이션 센터 및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운영함.
- BioE3 정책에서는 산업 부문별 고성능 바이오기술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제조 및 상용화를 위한 생태계를 강화하여 글로벌 바이오경제 허브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를 제시함.
- △바이오 기반의 화학 및 효소, △기능성 식품 및 스마트 단백질, △정밀 생물치료제, △기후 회복력 있는 농업, △탄소 포집 및 활용, △미래형 해양 및 우주 연구 등 여섯 개의 주요 부문을 선정함.
- 대내적으로는 민간투자를 적극 장려하며 민관협력(PPP)을 모색하고, 대외적으로는 국제협력을 통해 공급망 전 단계에서 참여를 확대할 것임.
▶ 바이오기술이 식량 및 에너지 안보 확보, 기후변화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 확대 적용되며 인도의 바이오경제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인도 바이오경제 규모는 2030년에 3,300억 달러로 두 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바이오 제조업의 활성화는 바이오기술에 기반한 농산품 및 연료의 생산 및 도입 확대를 통해 인도 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식량 및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2070년까지 탄소중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최근 인도정부가 바이오기술 및 공급망 협력, 규범 수립 등을 위한 국제사회의 논의에 적극 참여 중인 가운데, 한국은 인도와 양자 및 소·다자 간 협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인도는 주요국을 중심으로 한 GBA, BIO-5, GIB 등 바이오 관련 소·다자 간 국제협력 논의에 참여 중임.
- 한국과 인도는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잠재적인 협력 파트너로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됨에 따라 양자 및 소·다자 간 협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인도 바이오경제의 규모는 2014년 100억 달러에서 2023년 1,510억 달러로 15배가량 성장했으며, 이는 바이오 제약(726억 달러), 바이오 산업(538억 달러), 바이오 농업(124억 달러), 바이오 서비스(121억 달러)로 구성
- 특히 바이오 제약은 인도 국내 경제뿐만 아니라 전 세계 의약품 제조 산업 및 시장에서도 주요 부문을 차지하고 있음.
- 2023년 주별 바이오경제 규모는 마하라슈트라(405억 달러, 전체의 27%), 카르나타카(310억 달러, 20%), 텔랑가나(180억 달러, 12%) 순임.
▶ 2024년 8월 인도 내각에서 바이오경제 생태계 구축 및 바이오기술 도입 활성화를 목표로 한 「2024 BioE3 정책」의 입안이 승인됨.
- 인도는 이전부터 바이오기술의 개발 및 도입을 장려하고 관련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을 지속 시행하였으며, 바이오 인큐베이션 센터 및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운영함.
- BioE3 정책에서는 산업 부문별 고성능 바이오기술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제조 및 상용화를 위한 생태계를 강화하여 글로벌 바이오경제 허브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를 제시함.
- △바이오 기반의 화학 및 효소, △기능성 식품 및 스마트 단백질, △정밀 생물치료제, △기후 회복력 있는 농업, △탄소 포집 및 활용, △미래형 해양 및 우주 연구 등 여섯 개의 주요 부문을 선정함.
- 대내적으로는 민간투자를 적극 장려하며 민관협력(PPP)을 모색하고, 대외적으로는 국제협력을 통해 공급망 전 단계에서 참여를 확대할 것임.
▶ 바이오기술이 식량 및 에너지 안보 확보, 기후변화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 확대 적용되며 인도의 바이오경제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인도 바이오경제 규모는 2030년에 3,300억 달러로 두 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바이오 제조업의 활성화는 바이오기술에 기반한 농산품 및 연료의 생산 및 도입 확대를 통해 인도 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식량 및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2070년까지 탄소중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최근 인도정부가 바이오기술 및 공급망 협력, 규범 수립 등을 위한 국제사회의 논의에 적극 참여 중인 가운데, 한국은 인도와 양자 및 소·다자 간 협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인도는 주요국을 중심으로 한 GBA, BIO-5, GIB 등 바이오 관련 소·다자 간 국제협력 논의에 참여 중임.
- 한국과 인도는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잠재적인 협력 파트너로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됨에 따라 양자 및 소·다자 간 협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첨부파일
-
KIEP 기초자료 25-01_인도 바이오(Bioeconomy) 육성 전략과 시사점.pdf (870.2KB / 다운로드 586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