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세계경제
발간물
오늘의 세계경제
세계경제 동향 및 전망 총괄 (2007년 1분기 )
- 저자 이인구
- 번호2007-028
- 작성일2007-06-18
▣ 미국경제는 2007년 1 분기 경제성장률이 1.3%(전기대비 연율)를 기록함으로써 경기 저점을 통과한 것으로 평가되며 2분기 이후부터는 성장세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됨
- 1분기 일본경제는 수출 및 개인소비 등의 호조세에 힘입어 전기대비 0.6% 성장함으로써 9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시현함. 또한 중국경제는 금리와 지급준비율 인상, 투자 억제, 부동산시장 안정화조치 등 거시경제 안정화조치에도 불구하고 11.1%의 높은 성장률을 달성함. 한편 1분기 EU경제는 전기대비 0.6% 성장함으로써 2001년 이후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 2007년 외환시장은 달러화가 주요국 화폐에 대해서 약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엔화에 대해서는 강세를 보이고 있음. 일본이 하반기에 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의 환율 변동폭 확대 및 추가 긴축정책의 영향으로 이들 통화의 평가절상 움직임이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 세계 주요국의 주가가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경제의 성장 전망, 중국의 추가 긴축정책,일본의 금리인상에 따른 엔케리 트레이드 둔화 여부 등이 향후 국제금융시장의 움직임을 결정할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 아울러 2007 년 통상환경을 살펴보면, DDA 의 경우 낙관적 전망과 비관적 전망이 함께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6 월 중순부터 한 달 간이 DDA 연내 종결을 가늠할 수 있는 최대의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됨. FTA의 경우 현재에도 다수가 협상이 진행 중이거나 공동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2007년에도 활발한 FTA추진 현상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
- 1분기 일본경제는 수출 및 개인소비 등의 호조세에 힘입어 전기대비 0.6% 성장함으로써 9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시현함. 또한 중국경제는 금리와 지급준비율 인상, 투자 억제, 부동산시장 안정화조치 등 거시경제 안정화조치에도 불구하고 11.1%의 높은 성장률을 달성함. 한편 1분기 EU경제는 전기대비 0.6% 성장함으로써 2001년 이후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 2007년 외환시장은 달러화가 주요국 화폐에 대해서 약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엔화에 대해서는 강세를 보이고 있음. 일본이 하반기에 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의 환율 변동폭 확대 및 추가 긴축정책의 영향으로 이들 통화의 평가절상 움직임이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 세계 주요국의 주가가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경제의 성장 전망, 중국의 추가 긴축정책,일본의 금리인상에 따른 엔케리 트레이드 둔화 여부 등이 향후 국제금융시장의 움직임을 결정할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 아울러 2007 년 통상환경을 살펴보면, DDA 의 경우 낙관적 전망과 비관적 전망이 함께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6 월 중순부터 한 달 간이 DDA 연내 종결을 가늠할 수 있는 최대의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됨. FTA의 경우 현재에도 다수가 협상이 진행 중이거나 공동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2007년에도 활발한 FTA추진 현상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
첨부파일
-
제07-28호_세계경제전망_총괄.pdf (312.45KB / 다운로드 364회)다운로드
-
제07-28호_일본경제전망.pdf (436.39KB / 다운로드 816회)다운로드
-
제07-28호_중국경제전망.pdf (442.06KB / 다운로드 449회)다운로드
-
제07-28호_미국경제전망.pdf (412.92KB / 다운로드 850회)다운로드
-
제07-28호_EU경제전망.pdf (355.25KB / 다운로드 370회)다운로드
-
제07-28호_통상환경전망.pdf (369.78KB / 다운로드 337회)다운로드
-
제07-28호_국제금융전망.pdf (389.61KB / 다운로드 911회)다운로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