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연구브리핑

발간물

주요 연구보고서의 연구 목적과 내용, 정책 시사점을 정리한 20면 내외의 요약 리포트입니다.

목록으로

아프리카 소비시장 특성 분석과 산업단지를 통한 진출방안

■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아프리카는 ‘지구상의 마지막 성장 엔진’이라는 식의 수식어가 붙으면서 새롭게 조명되기 시작함.
- 그동안 아프리카를 ‘희망 없는 대륙’으로 단정했던 영국의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는 최근 그 태도를 반대로 바꿔 ‘희망찬 아프리카’라고 평가하기 시작함.

 

■ 아프리카는 그동안 자원개발시장으로서 가치가 크게 부각되어 왔으나, 10억 명 이상의 인구 규모,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과 도시화, 중산층(소비계층) 형성 등이 결부되면서 새로운 소비시장으로 변모하고 있음.
- 아프리카 대도시는 서구 스타일의 대형 쇼핑몰과 백화점들이 속속 들어서면서 젊은 층 소비자들로 넘쳐나고 있어 선진국을 연상하게 하고 있음.
- 아프리카 도시에서는 세탁기와 냉장고, 에어컨 등 가전제품부터 단백질이 풍부한 가공식품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비제품들이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음.
- 오는 2025년경에는 아프리카(사하라이남) 가구의 2/3 정도가 재량적 소득(discretionary income)을 갖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아프리카가 소비시장으로 빠르게 변모함에 따라 우리나라 관련 정부부처와 업계는 이 지역을 새로운 틈새수출시장으로 인식하고 수출확대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지리적 거리, 열악한 물적ㆍ제도적 인프라 등으로 인해 가시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음.

 

■ 아프리카 소비시장의 효과적인 진출을 위해서는 상품 전시회, 구매사절단 방문 등과 같은 전통적인 마케팅 전략에서 벗어나 산업단지 진출을 통해 현지 생산체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산업단지를 통해 한국기업이 집단적으로 진출하여 생산체제를 갖추게 되면 현지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음.
- 아프리카 소비시장은 구매력 수준, 소비성향, 소비자 기호, 소비문화 등 여러 면에서 일반 개도국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러한 점을 제품 특성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현지생산이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


■ 산업단지를 통한 직접 진출로 기대되는 또 다른 효과로는 역내 경제통합체 활용을 들 수 있음.
- 아프리카 경제통합체들은 자유무역지대(FTA), 관세동맹 등을 형성하고 있으며, 역외국으로부터 상품수입에 대해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산업단지를 통한 진출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높은 시장진입 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음.
- 또한 아프리카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으로부터 무역특혜를 받고 있는바, 산업단지를 통한 선진국 시장 진출을 도모할 수 있음.

 

■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했는데, 아프리카 소비시장 현황과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산업단지를 통한 전략적 진출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음. 

첨부파일

이전 다음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