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연구브리핑

발간물

주요 연구보고서의 연구 목적과 내용, 정책 시사점을 정리한 20면 내외의 요약 리포트입니다.

목록으로

동아시아의 가치사슬구조와 역내국간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


■ 우리나라는 그동안 미국, EU, 아세안 등과 FTA를 마무리한 데 이어, 2012년 5월 한ㆍ중 FTA 협상을 개시
- 한ㆍ중ㆍ일 3국간 FTA 협상도 2012년 12월에 시작되었으며, 동아시아 주요국간 FTA도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음.
- 한ㆍ중ㆍ일 3국은 이미 아세안과 FTA를 체결한 바 있는데, 한ㆍ중ㆍ일+아세안과 더불어 인도, 뉴질랜드, 호주 등은 RCEP(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협상을 2012년에 착수
 
■ 최근 동아시아 국가 상호간에는 무역 및 투자가 활발하며 제도적 통합도 많이 이루어져 있음.
- 또한 중간재교역 및 외국인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글로벌 가치사슬이 심화되는 질적인 변화가 두드러짐. 특히 글로벌화가 급진전되면서 기업의 생산과 판매 등 생산과정이 자회사 및 협력회사에 분할되는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가 강화되고 있음.
- 동아시아 국가들은 국제무역 및 투자에서 부가가치가 생성되는 글로벌 가치사슬에 빠른 속도로 편입되고 있음. 우리나라로서는 동아시아의 글로벌 가치사슬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역내국간 FTA를 통해 무역ㆍ투자 등 상호의존성을 강화하고 제도적 통합을 가속화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가치사슬구조를 분석하고 CGE 분석기법을 통해 부가가치기준 원산지규정에 따른 동아시아 FTA 협상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 FTA 협상 추진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첨부파일

이전 다음 목록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