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APEC 연구컨소시엄

전체 2,891건 현재페이지 240/290

  • Impact of Trade Liberalization under Alternative Scenarios
    Impact of Trade Liberalization under Alternative Scenarios

    - 본 연구는 5가지 무역자유화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무역자유화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음. o 5가지 시나리오는 APEC 회원국 서로만을 위해 무역을 자유화하는 배타적 무역자유화, 즉 APEC 자유무역지대를 조성하는 경우, APEC 회원국들이 취하는..

    정인교 발간일 1997.12.15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Contents

    I. Introduction

    II. Design of Simulation

    III. The Model, Data, and Parameters

    IV. Protection Rates

    V. Economic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in APEC
    1. Real Income
    2. Wage, Rental Rates, and the Terms of Trade
    3. Trade Patterns
    4. Industry Structure

    VI.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I : The Structure of a CGE Model

    Appendix II : Simulation Results with Alternative Parameters

    Appendix III : Concordance of Model Sectors to ISIC Sectors

    국문 요약
    국문요약
    - 본 연구는 5가지 무역자유화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무역자유화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음.

    o 5가지 시나리오는 APEC 회원국 서로만을 위해 무역을 자유화하는 배타적 무역자유화, 즉 APEC 자유무역지대를 조성하는 경우, APEC 회원국들이 취하는 자유화조치를 아무런 조건없이 역외국들도 누릴 수 있게 해주는 일방적 무역자유화, APEC 무역자유화의 혜택을 APEC 무역자유화에 상응하는 무역자유화 조치를 실행하는 국가에게만 부여하는 조건부 무역자유화(비APEC 지역인 유럽이 참여하는 경우와 제3세계가 참여하는 경우의 2가지임), 마지막으로 전세계 무역자유화임.


    - 먼저 교역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면, 배타적 무역자유화하에서 APEC 전체 경제는 약 20%의 수출신장(금액으로는 3,543억달러)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나, 역외국도 APEC 무역자유화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하는 일방적 무역자유화의 경우에는 배타적 무역자유화보다 더 높은 22%의 수출증가(금액으로는 3,911억달러)가 예상됨.

    o 동아시아 개도국들은 배타적 무역자유화와 일방적 무역자유화 하에서 각각 538억달러와 555억달러의 수출신장이 기대됨.

    o 이와 같이 역외국들도 APEC 무역자유화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허용하는 개방적 지역주의하에서의 수출신장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은 배타적 자유화의 경우 역외국의 무역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APEC 회원국의 무역도 위축되기 때문임.


    - 한편 일방적 무역자유화와 상호적 무역자유화를 비교하여 볼 때 상호적 무역자유화에서 더 큰 무역증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o 이는 조건부 무역자유화에서는 역외국이 역내국의 무역자유화와 동등한 수준의 무역자유화 조치를 취함으로써 APEC 역내국의 기업들이 이들 역외국 시장에 진출하여 수출을 늘릴 수 있게 되기 때문임.


    - 자유화의 범위가 클수록 APEC 지역은 더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o APEC 회원국은 APEC의 배타적 무역자유화로 639억달러의 실질 GDP 증가를 예상할 수 있으나, 유럽연합이 APEC의 무역자유화에 동참하는 상호적 무역자유화하에서는 APEC만의 배타적 무역자유화하에서 보다 더 높은 787억달러의 소득증가를, 범세계적 무역자유화의 경우에는 816억달러의 소득증가가 예상됨.

    o 동아시아 개도국들은 4가지 무역자유화 시나라오 하에서 135억∼147억달러의 소득증가가 예상됨.


    - 결론적으로 범세계적 교역자유화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APEC의 상호적 무역자유화를 통하여 소득 및 교역증가를 꾀하는 것이 차선책이라 할 수 있으나 APEC의 조건부자유화에 유럽이 실제로 이에 상응하는 무역자유화 조치를 취할지는 확실치 아니함.
  • 韓國企業의 對中投資實態 및 經營成果 分析
    韓國企業의 對中投資實態 및 經營成果 分析

    韓國企業의 對中投資는 양국 수교 이후 지난 5년여동안 급증하여 1996년말 현재 許可基準으로 우리나라 全體 해외직접투자건수의 41%, 투자금액의 19.4%를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양적으로 팽창한 韓國企業의 對中投資는 몇가지 특징을 나타내는바,..

    박상수 발간일 1997.12.15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서언

    I. 序論
    1. 調査目的 및 方法
    2. 報告書의 構成

    Ⅱ. 韓國企業의 對中投資 現況과 特徵
    1. 對中投資 推移
    2. 對中投資의 特徵
    3. 對中投資의 패턴
    4. 主要國의 對中投資 特徵

    Ⅲ. 韓國企業의 經營實態: 設問調査結果 分析
    1. 進出動機 分析
    2. 分野別 經營實態 調査結果

    Ⅳ. 對中投資의 問題點
    1. 投資環境에서 나타나는 問題點
    2. 投資行態에서 나타나는 問題點

    Ⅴ. 結語 : 主要 示唆點 및 向後課題
    1. 主要 示唆點
    2. 向後課題
    국문요약
    韓國企業의 對中投資는 양국 수교 이후 지난 5년여동안 급증하여 1996년말 현재 許可基準으로 우리나라 全體 해외직접투자건수의 41%, 투자금액의 19.4%를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양적으로 팽창한 韓國企業의 對中投資는 몇가지 특징을 나타내는바, 첫째 投資業種이 勞動集約的 部門에 집중되어 있으며, 둘째 投資地域에 있어 渤海灣과 東北 3省에 편중되어 있고, 셋째 企業形態에 있어 合資보다는 單獨投資를 선호한다는 점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상과 같은 現象이 韓國企業의 對中投資에 있어 어떤 문제점들을 유발하고 있는지 그 實態를 파악하고 現地 經營活動結果에 대한 평가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현지진출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地域別, 年度別, 投資持分別, 投資規模別 經營成果를 분석하였다. 對中直接投資의 內實化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時點에서 이같은 분석은 韓國企業이 中國에서 성공적인 경영활동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보고서가 中國과의 경제협력정책을 입안하는 政策當局뿐만 아니라 對中投資를 희망하는 企業들에게도 參考가 되기를 바라며, 특히 今後 예상되는 中國의 外國人直接投資 環境變化에 대응하여 우리 기업들이 현지에서 보다 效率的인 經營活動을 수행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APEC’s Eco-Tech: Prospects and Issues
    APEC’s Eco-Tech: Prospects and Issues

    본 보고서는 APEC 경제기술협력에 대한 연구의 현재 위치를 평가하고, 경제기술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제기술협력사업을 검토하면서 APEC에서 현재 기술협력 프로그램이 업무중복, 경제기술협력 회원국의 수동적..

    노재봉 외 발간일 1997.12.15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Ⅰ. Introduction
    1. The Evolution of Eco-Tech in APEC
    2. The Unbalanced Pillars of APEC
    3. Purpose of the Paper

    Ⅱ. The Current Status of Eco-Tech
    1. An Overview of APEC's Eco-Tech
    2. The Characteristics of Eco-Tech

    Ⅲ. Challenges to Eco-Tech
    1. Duplication of Work: Intra- and Extra-APEC
    2. Passive Attitude of Governments toward Eco-Tech
    3. Limitation of Project Designs
    4. Growing Number of Fora

    Ⅳ. Conclusion: How to Strengthen Eco-Tech

    References

    Annex: Description of Eco-Tech Projects
    국문요약
    본 보고서는 APEC 경제기술협력에 대한 연구의 현재 위치를 평가하고, 경제기술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제기술협력사업을 검토하면서 APEC에서 현재 기술협력 프로그램이 업무중복, 경제기술협력 회원국의 수동적인 입장, 사업계획의 한계와 같은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제기술협력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 APEC은 더욱 구체적이고 결과 지향적인 사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진회원국으로부터 대대적인 지원과 지도가 사업개발과정에서 중요하다.
  • Challenges for APEC in 1997 : A Canadian Viewpoint
    Challenges for APEC in 1997 : A Canadian Viewpoint

    97년도 APEC 고위실무회의(SOM) 의장인 캐나다의 Leonard J. Edwards 차관보는 지난 4월 2일 개최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주최 전문가초청세미나(Leading Experts Seminar)에서 APEC의 무역ㆍ투자자유화 및 원활화와 경제ㆍ기술협력과 관련된 ..

    Leonard J. Edwards 발간일 1997.12.12

    기술협력,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Contents

    APEC and the Trading System

    APEC's Trade Agenda for 1997 and Beyond

    Trade Facilitation : Reducing the Cost of Doing Business

    Eye on Vancouver : Trade and Investment Results

    Other Priorities for 1997 : The Role of Business

    Economic and Technical Cooperation

    Making the Links : TILF and ECOTECH

    Conclusion

    국문 요약
    국문요약
    97년도 APEC 고위실무회의(SOM) 의장인 캐나다의 Leonard J. Edwards 차관보는 지난 4월 2일 개최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주최 전문가초청세미나(Leading Experts Seminar)에서 APEC의 무역ㆍ투자자유화 및 원활화와 경제ㆍ기술협력과 관련된 캐나다 정부의 견해를 밝혔는바,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개방적 지역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APEC은 최혜국대우 원칙에 입각하여 자유화를 추진하고 있다. 오사카회의에서 APEC국가들이 제시한 조기자유화조치(downpayments)와 작년에 채택한 마닐라실행계획은 범세계적 자유화의 달성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리라 본다. 또한 정보기술협정(ITA)에 대한 지지와 부문별 조기자유화도 WTO체제강화에 일조를 할 것이다.

    APEC의 개별실행계획은 회원국간의 협의를 통해 향후 지속적으로 개선ㆍ이행되어야 하며 부문별 조기자유화의 대상부문도 조속히 결정되어야 한다. 이는 민간부문의 對APEC 신뢰도를 높이는 방편이 되리라 판단된다. 한편 투자제도에 관한 정확한 설명, 지적재산권 보장, 정부조달절차의 투명성 확보 등을 통해 기업운영의 비용을 절감시켜주는 제반조치를 취해야 한다. 통관절차와 표준 및 적합 부문에서의 회원국간 협력도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민간부문의 참여 확대를 위한 좋은 유인책이 될 것이다.

    APEC의 경제ㆍ기술협력은 자유화와 균형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통신,교통, 발전설비 등과 관련된 인프라개발을 위한 협력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환경친화적 경제성장도 APEC이 추진해야 할 주요한 협력분야이다.

    APEC의 성과를 계량화하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하지만 민간부문과의 대화를 통해 APEC의 실질적 이익을 점검하며 자유화의 경제ㆍ기술협력을 동시에 추구해 나감으로써 APEC의 잠재력을 극대화해야 할 것이다.
  • 21세기 한·중경제의 비젼과 동반자관계의 모색
    21세기 한·중경제의 비젼과 동반자관계의 모색

    최근 韓國의 對外經濟는 커다란 變化를 겪고 있다. 우선 전통적인 美國과의 經濟協力이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있을 뿐 아니라 양국간 貿易收支면에서도 우리의 적자폭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반면에 中國과의 經濟協力은 修交 이후 연30% 이상의 교역..

    정영록 발간일 1997.12.12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序 言

    Ⅰ. 要約 및 展望
    1. 要約
    2. 評價와 展望

    Ⅱ. 21세기 東北亞 經濟의 전망과 韓-中關係
    1. 21세기 韓國經濟와 韓-中關係
    2. 21세기 中國經濟와 中-韓關係
    3. 討論

    Ⅲ. 中國의 經濟發展과 外國企業의 役割
    1. 외국기업의 中國進出 기회와 外國人 直接投資 정책방향
    2. 揚子江經濟地帶의 開發現況과 展望
    3. 討論

    Ⅳ. 綜合討論: 韓-中 經濟協力 擴大方案 摸索

    Ⅴ. 參考資料
    1. 開會辭
    2. 祝辭
    3. 午餐演說
    국문요약
    최근 韓國의 對外經濟는 커다란 變化를 겪고 있다. 우선 전통적인 美國과의 經濟協力이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있을 뿐 아니라 양국간 貿易收支면에서도 우리의 적자폭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반면에 中國과의 經濟協力은 修交 이후 연30% 이상의 교역증가율이 상징해 주듯 刮目할 만한 伸長勢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脈絡에서 21세기 시작을 눈앞에 둔 우리로서는 韓國과 中國의 21세기 경제발전의 비젼을 조명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양국간 경제협력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무척 중요한 실정이다.
  • Social Policy Dilemmas under Decentralization and Federalism : The Case of Brazi..
    Social Policy Dilemmas under Decentralization and Federalism : The Case of Brazi..

    ■ 브라질은 1984년 軍部統治를 청산하고 1988년 헌법제정 등을 통해 과감한 民主化를 추진해 왔음.▪ 브라질은 權威主義 통치의 잔재를 일소키 위해 시민권 확대,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 정부주도의 경제성장 탈피 등을 주요내용으로 한 신헌법을 ..

    Lawrence S. Graham 발간일 1997.12.10

    정치경제
    원문보기
    목차
    Contents

    Introduction

    How Mobilization Outside the State Has Reshaped Brazilian Government

    Brazil's Institutional Setting

    Why Institutional Reforms Have Remained Incomplete

    Grassroots Mobilization and Democratization

    The Significance of State and Local Autonomy in Brazil

    The Limits on Brazil's New Democracy

    The Administration of Fernando Henrique Cardoso : An Interim Appraisal

    국문 요약
    국문요약
    ■ 브라질은 1984년 軍部統治를 청산하고 1988년 헌법제정 등을 통해 과감한 民主化를 추진해 왔음.
    ▪ 브라질은 權威主義 통치의 잔재를 일소키 위해 시민권 확대,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 정부주도의 경제성장 탈피 등을 주요내용으로 한 신헌법을 제정하였음.
    ▪ 특히 1988년 憲法에 명시된 지방정부의 자율성 확대는 新社會運動이나 市民團體組織의 활성화에도 크게 이바지하여 풀뿌리 民主主義(grassroots democracy)의 발전에 기여함.

    ■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라질은 1985년 이후 10년간 政治ㆍ經濟的 불안정으로 民主主義 공고화에는 실패함.
    ▪ 브라질은 하이퍼인플레 등에 따른 경제적 위기, 大統領의 강력한 지도력 부재, 大統領의 彈劾 등으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제도적 무질서로 정치ㆍ경제적 위기를 겪음.

    ■ 이러한 가운데서 1995년 집권한 카르도주 정부는 30년만에 처음으로 과감한 政治ㆍ經濟改革 추진을 야속하여 權威主義體制 붕괴 이후의 制度的 위기, 국가기구개혁의 실패, 정치적 후견주의의 부활 등 브라질 정치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
    ▪ 카르도주 정부는 민간주도 경제성장의 일환으로 그동안 성역시되어왔던 國營石油會社(Petrodras)의 독점해체 추진, 國營鐵鋼會社(CVRD)의 민영화 단행, 석유화학부문의 매각을 적극 추진함. 이와같은 정부의 개혁의지는 업계에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감을 심어줌.
    ▪ 특히 인플레억제책의 일환으로 실시된 헤알플랜(Real Plan)은 성공적인 결과로 대다수 국민의 지지를 받고 있어 정부가 구조개혁을 적극 추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줌.

    ■ 현재 카르도주 정부는 행정개혁, 세제개혁, 사회보장개혁 등 각종 개혁입법 추진과 재정적자, 국영은행 부채, 무역적자 해결 등의 산적한 정책과제를 안고 있음.
    ▪ 브라질 政治ㆍ經濟改革의 필수적인 과제인 3대 개혁입법은 현재 많은 이해집단의 반대로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또한 날로 악화일로에 있는 財政赤字, 貿易赤字속에서 정부가 현재수준의 인플레나 통화를 유지할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높음.

    ■ 카르도주 政府의 政治ㆍ經濟改革이 브라질의 통치방식과 제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지 여부를 평가하기에는 아직 이르나 지금까지의 개혁성과는 긍정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음.
  • 한국경제의 구조조정과제
    한국경제의 구조조정과제

    조윤제 발간일 1997.12.05

    경제개혁
    원문보기
    목차
    목차

    I. 머리말

    II. 우리 經濟의 實際 모습

    III. 우리 經濟의 實際 모습에 비추어본 問題點

    IV. 構造調整을 위한 政策課題

    V. 맺음말
    국문요약
  • APEC 마닐라 실행계획(MAPA) 의 분석과 평가 : 개별실행계획(IAPs)을 중심으로
    APEC 마닐라 실행계획(MAPA) 의 분석과 평가 : 개별실행계획(IAPs)을 중심으로

    1996년 11월 필리핀 수빅에서 열린 제4차 APEC정상회의에서는 보고르선언을 실천하기 위한 행동지침인 오사카행동지침(Osaka Action Agenda, OAA)에 따라 각 회원국이 작성한 마닐라실행계획(Manila Action Plan for APEC, MAPA)을 채택하였고 1997..

    김상겸 외 발간일 1997.12.03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目次

    I. 마닐라實行計劃(MAPA)의 주요내용
    1. MAPA의 의의 및 특징
    2. MAPA의 주요 내용

    II. 분야별 요약 및 평가
    1. 관세
    2. 비관세
    3. 서비스
    4. 투자
    5. 표준 및 적합
    6. 지적재산권
    7. 경쟁정책
    8. 정부조달
    9. 원산지 규정
    10. 분쟁조정서비스
    11. UR이행

    III. 전반적 평가
    1. 관세
    2. 비관세
    3. 서비스
    4. 투자
    5. 표준 및 적합
    6. 지적재산권
    7. 경쟁정책
    8. 정부조달
    9. 원산지규정
    10. 분쟁조정서비스
    11. UR이행
    국문요약
    1996년 11월 필리핀 수빅에서 열린 제4차 APEC정상회의에서는 보고르선언을 실천하기 위한 행동지침인 오사카행동지침(Osaka Action Agenda, OAA)에 따라 각 회원국이 작성한 마닐라실행계획(Manila Action Plan for APEC, MAPA)을 채택하였고 1997년 1월부터는 본 실행계획에 따라 자유화 조치를 실천하게 되었다. 마닐라실행계획은 개별실행계획(Individual Action Plans, IAPs)과 공동실행계획(Collective Action Plans, CAPs)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개별실행계획은 무역 및 투자자유화와 원활화 14개 분야에 걸친 각 회원국의 일방적이고 자발적인 자유화조치이며, 공동실행계획은 무역 및 투자의 원활화, 기업활동의 원활화를 위한 회원국간의 공동조치를 천명한 것이다.
    본 연구는 무역․투자자유화와 원활화 14개 분야(관세, 비관세, 서비스, 투자, 표준 및 적합, 통관절차, 지적재산권, 경쟁정책, 정부조달, 규제완화, 원산지규정, 분쟁조정, 기업인 이동, UR이행)에 대한 각 회원국의 개별실행계획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수행하고 있는바, 그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역 및 투자자유화와 관련하여서는 UR 양허 이상으로 관세를 인하하고, 새로운 보호무역조치의 동결을 재확인하고 있으며, 비관세조치의 감축 및 철폐의지를 분명히 함으로써 상품시장에의 접근을 확대하였다. 또한 개방투자체제의 확립을 위하여 최혜국대우, 내국민대우의 점진적 보장, 투명성 확보 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과 비구속적 투자원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서비스시장에의 접근 확대를 위하여 WTO의 서비스무역협정(GATS) 이상의 자유화계획을 제시하였고 자본 및 통신시장의 개방에 있어서는 전진적인 조치들이 제시되었다. 둘째, 기업활동의 경비절감을 위하여 불필요한 행정절차와 무역 관련 기술장벽의 철폐 또는 완화를 통한 비용축소를 모색하고 있다. 즉, 통관제도의 간소화, 국제표준과의 적합성제고, 출입국절차의 간소화, WTO의 원산지규정 조화작업에 적극참여 등을 통하여 역내 기업들에게 비용을 극소화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조성을 추구하고 있다.
    마닐라실행계획은 APEC 회원국들이 APEC의 양대 목표인 무역 및 투자자유화와 원활화와 경제 및 기술협력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는 측면이 있는 반면, 각 회원국들의 개별실행계획간의 형평성 문제, WTO의 양허안보다 개선된 측면이 크게 없다는 점 등을 지적받고 있다.
  • 브라질 편람 1997(증보판)
    브라질 편람 1997(증보판)

    정선우 발간일 1997.12.01

    경제발전
    원문보기
    목차
    目次

    I. 一般槪況
    1. 位置 및 面積
    가. 位置
    나. 面積
    2. 地形
    가. 地形的 特徵
    나. 河川
    다. 地域區分과 自然條件
    3. 氣候 및 天然資源
    가. 氣候特性
    나. 主要都市 氣溫 및 降水量
    다. 植物分布
    4. 人口
    가. 人口現況
    나. 地域別 人口分布
    5. 人種
    6. 브라질의 主要 都市
    가. 상파울루(Sao Pauil ; 브라질 최대의 공업도시, 1,634만 명)
    나. 리우데자네이루(Rio de Janeiro ; 港口都市, 1,015만 명)
    다. 브라질리아(Brasilia ; 首都, 174만 명)
    라. 살바도르(Salvador ; 항구도시, 273만 명)
    마. 산투스(Santos ; 항구도시, 428만 명)
    바. 其他

    II. 歷史
    1. 槪要
    2. 原住民時代
    가. 原住民의 經濟活動(1500년경)
    나. 原住民들의 構成 및 特徵
    3. 포르투갈의 植民統治時代
    가. 15世紀末 포르투갈의 狀況
    나. 포르투갈의 브라질 征服
    다. 初期의 植民地 政策
    라. 總督府의 設置
    마. 植民地의 敎會와 敎育
    바. 植民地 時代의 奴隸貿易
    4. 브라질의 獨立(1822년)
    가. 포르투갈 王室의 遷都
    나. 獨立宣言과 동 페드루(Dom Pedro)의 攝政政治
    5. 브라질 帝國(1822~1888년)
    가. 동 페드루 1세(Dom Pedro I )의 統治(1822~1831년)
    나. 시스플라티나地域 紛爭
    다. 섭정기(攝政期)
    라. 동 페드루 2세의 統治期(1840~1889년)
    마. 파라과이 戰爭(1865~1870년)
    바. 奴隸制度의 廢止
    사. 아프리카 文化의 影響
    아. 帝國의 終末
    6. 第1共和國(1889~1930년)
    가. 共和政의 宣布(1889년)
    나. 第1共和國 政府
    다. 國土擴張과 領土紛爭
    7. 바르가스 政府와 新國家(1930~1945년)
    8. 第2共和國(1946~1964년)
    9. 軍部統治와 民主化
    가. 軍部統治
    나. 民選政府 出帆
    다. 콜로르 行政府(1990~1992년)
    라. 프랑코 行政府(1992~1994년)
    마. 까르도주 行政府(1995년 1월~)

    III. 政治
    1. 政治體制
    가. 統治構造
    나. 憲法
    2. 國家組織
    가. 立法府
    나. 行政府
    다. 司法府
    라. 政黨 및 壓力團體
    3. 行政區域
    4. 最近 政治動向
    가. 콜로르 行政府(1990~1992년)
    나. 프랑코 行政府(1992~1994년)
    다. 까르도주 行政府(1995년 1월~)

    IV. 外交 및 軍事
    1. 外交
    가. 브라질의 外交政策
    나. 對外關係
    다. 國際機構 加入現況
    2. 國防
    가. 目標 및 組織
    나. 軍事力 現況

    V. 社會ㆍ文化
    1. 生活樣式과 慣習
    가. 生活樣式과 慣習
    나. 祝祭 및 公休日
    다. 人間開發指數(HDI)
    라. 其他
    2. 藝術
    가. 文學
    나. 美術
    다. 音樂
    3. 醫療
    4. 敎育
    가. 敎育制度
    나. 敎育現況
    다. 文盲率
    5. 所得分布
    6. 言論 및 大衆媒體
    가. 라디오
    나. 텔레비전
    다. 기타 매스미디어

    VI. 國內經濟
    1. 槪況
    가. 브라질 經濟의 特徵
    나. 最近 主要 經濟指標
    2. 1980年代까지의 經濟發展 過程
    가. 植民地時代의 사탕수수 産業
    나. 獨立以後브라질經濟의 特徵(19세기 후반~1930년)
    다. 輸入代替 産業化(1930년대~1964년 軍政 以前)
    라. 軍事政權下의 經濟政策(1964~1985년)
    마. 사르네이 文民政府의 經濟安定化政策(1985~1989年)
    3. 1990年 以後 브라질의 經濟改革措置
    가. 콜로르 行政府의 經濟改革 : 콜로르플랜
    나. 프랑코 行政府의 經濟改革 : 까르도주 經濟安定化政策과 레알플랜
    다. 까르도주 行政府의 經濟改革 : 國家開發計劃
    라. 까르도주 行政府의 主要 改革作業
    4. 部門別 經濟現況
    가. 國內總生産(GDP)
    나. 物價
    다. 金利
    라. 換率
    마. 國際收支
    바. 外債 및 外換保有高
    사. 雇傭 및 賃金
    5. 地域別 經濟槪況
    가. 槪要
    6. 公共財政 및 金融
    가. 財政
    나. 金融
    다. 金融部門 構造調整 프로그램(PROER ; Program of Incentives to the Restructuring and Strengthening of the National Financial System)
    7. 民營化
    가. 民營化의 目標
    나. 까르도주 政府의 民營化政策
    다. 民營化 節次 및 支佛手段
    라. 民營化 現況

    VII. 産業
    1. 槪況
    2. 産業構造
    가. 1980年代 以前의 産業構造
    나. 1980年代 以後의 産業構造
    3. 最近 브라질 産業政策의 方向
    가. 콜로르 政府의 新産業政策(1990년)
    나. 까르도주 政府의 國家開發計劃(1995년)
    4. 農業
    가. 生産現況
    나. 農産物 交易現況
    5. 林業
    6. 水産業
    7. 鑛業
    가. 槪要
    나. 主要 鑛物 生産現況
    다. 主要 鑛業會社
    라. 政府의 鑛業支援現況
    마. 브라질의 基本 開發政策
    바. 外國人鑛業投資 制限 廢止
    사. 鑛業投資 關聯 行政機構
    아. 鑛業部門 投資進出時 障碍 要因
    8. 에너지 産業
    가. 原油 및 天然가스
    나. 石炭産業
    다. 代替에너지 産業
    라. 電力産業
    9. 製造業
    가. 槪況
    나. 自動車 産業
    다. 타이어 産業
    라. 電氣ㆍ電子機器 産業
    마. 農機械 生産
    바. 鐵鋼産業
    사. 纖維産業
    아. 시멘트 工業
    10. 情報ㆍ通信産業
    가. 情報産業
    나. 通信産業
    11 . 運送産業
    가. 道路運送
    나. 鐵道運送
    다. 港空運送
    라. 海運産業
    12. 觀光業
    13. 宇宙産業

    VIII. 對外經濟
    1. 貿易
    가. 輸出入 動向
    나. 輸出入構造
    2. 輸出入政策 및 制度
    가. 輸出入政策의 變化
    나. 輸出管理
    다. 輸入管理
    다. 通關制度
    라. 關稅制度
    마. 反덤핑關稅 및 相計關稅制度
    바. 知的財産權(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사. 外換管理制度
    3. 南美南部共同市場(MERCOSUR)
    가. 中南美經濟統合의 過程 및 現況
    나. 南美南部共同市場(Mercosur)
    4. 外國人投資
    가. 外國入投資誘致政策
    나. 外國人投資 優待
    다. 外國人投資 規制
    라. 外國人投資 環境
    마. 外國人投資 現況
    5. 마나우스 自由貿易地帶(Free-Trade Zone)
    가. 槪況
    나. 位置 및 氣候條件
    다. 인프라 施設
    라. 入住上의 인센티브
    마. 入住上의 限界點

    IX. 韓國과의 關係
    1. 韓ㆍ브라질 交流現況
    가. 兩國間 協定ㆍ條約締結 現況
    나. 韓ㆍ브라질 經濟ㆍ文化協力
    다. 外交關係
    2. 移民關係
    가. 移民 略史 및 僑民 現況
    3. 韓ㆍ브라질 交易 現況
    가. 貿易收支
    나. 品目別 輸出入動向
    4. 韓國의 對브라질 投資現況
    5. 經濟協力 展望
    가. 兩國間 懸案事項
    나. 兩國間 經濟協力 方向
    6. 對北韓 關係
    가. 基本政策
    나. 兩國間 關係 年報
    다. 親北韓團體

    參考文獻

    附錄
    국문요약
  • 파나마 편람 1997
    파나마 편람 1997

    김진오 발간일 1997.12.01

    경제발전
    원문보기
    목차
    目次

    I. 一般槪況
    1. 位置 및 面積
    2. 地形
    3. 河川
    4. 氣候
    5. 人口
    가. 現況
    나. 人口移動
    6. 種族 및 宗敎
    가. 種族
    나. 宗敎
    7. 國慶日 및 公休日
    8. 國旗ㆍ紋章ㆍ國歌
    가. 國旗 및 紋章
    나. 國歌

    II. 歷史
    1. 槪況
    2. 原住民 時代( ~ 1501年)
    3. 스페인 征服과 定着
    4. 植民統治와 社會
    가. 植民地 統治機構
    나. 植民地 經濟
    다. 植民地 社會
    5. 스페인으로부터의 獨立
    6. 그란 콜롬비아(Gran Colombia) 時代(1821 ~1903年)
    7. 콜롬비아로부터의 獨立
    8. 共和國 時代(1904年~현재)

    III. 政治 및 對外關係
    1. 政治體制
    가. 政治體制의 特徵
    나. 憲法
    2. 國家組織
    가. 行政府
    나. 立法府
    다. 司法府
    라. 主要 政治勢力
    3. 最近 政治動向
    4. 對外關係
    가. 外交關係 現況
    나. 主要國 및 地域과의 關係
    다. 最近 國際協定 締結 및 發效 現況
    5. 安保

    IV. 社會와 文化
    1. 社會構造
    가. 家族 및 親族
    나. 農村社會
    다. 都市社會
    라. 엘리트
    마. 中流階層(middle class)
    바. 下位階層
    2. 生活樣式과 慣習
    3. 社會福祉
    가. 社會保障制度
    나. 保健
    다. 醫療施設
    라. 勞動環境
    4. 敎育
    가. 現政府 敎育政策
    나. 敎育 現況
    다. 正規敎育
    라. 非正規敎育
    5. 大衆媒體
    가. 新聞
    나. TV 및 라디오

    V. 國內經濟
    1. 파나마 經濟의 特徵
    가. 輸入代替産業化
    나. 二重的 經濟發展政策
    다 經濟의 國家統制
    라. 國際競爭力 喪失
    2. 現政府의 經濟政策
    가. 統合發展을 위한 公共政策 프로그램(第1次 經濟改革)
    나. 經濟效率性을 통한 社會發展, 1997~99年(第2次 經濟改革)
    3. 最近 經濟動向
    가. 國內總生産과 投資
    나. 雇傭, 賃金 및 生産性
    다. 物價
    라. 通貨
    마. 外換保有高
    바. 財政
    사. 金融 및 金利
    4. 民營化
    가. 民營化 관련법, 주무기관 및 方案
    나. 最近 部門別 民營化 現況
    5. 租稅制度
    가. 租稅行政
    나. 所得稅
    다. 기타 租稅

    VI. 産業
    1. 槪況
    2. 農林水産業
    가. 農林水産業政策
    나. 農業
    다. 水産業
    라. 林業
    3. 工業
    가. 鑛業
    나. 製造業
    4. 觀光産業
    가. 現況
    나. 觀光開發 促進法
    다. 觀光資源
    5. 交通 및 運送
    가. 道路
    나. 鐵道
    다. 航空
    라. 海運
    마. 석유파이프라인
    6. 通信産業
    7. 金融産業
    가. 金融機關 및 營業 現況
    나. 金融監督機構
    다. 銀行의 資本 및 準備金
    라. 證券市場
    마. 리스金融
    바. 保險業
    8. 파나마運河
    가. 歷史
    나. 現況
    다. 파나마運河 協定
    라. 파나마運河 開發計劃
    9. 꼴론자유무역지대(CFZ)
    가. 現況
    나. CFZ 進出方法
    다. 販賣營業

    VII. 對外經濟
    1. 貿易政策 및 制度
    가. 貿易政策
    나. 關稅制度
    다. 輸入管理
    라. 輸出管理
    마. 通關制度
    2. 貿易 現況
    가. 輸出
    나. 輸入
    다. CFZ 中繼貿易 現況
    3. 國際收支
    가. 槪況
    나. 經常收支
    다. 資本收支
    4. 外債

    VIII. 外國人投資
    1. 外國人直接投資 現況
    가. 部門別 外國人直接投資
    나. 國家別 外國人直接投資
    2. 外國人投資 環境
    가. 外國人投資 關聯法規 및 主務機關
    나. 外國人投資 類型 및 節次
    다. 外國人投資 誘致制度
    라. 外國人投資 規制

    IX. 韓ㆍ파나마 關係
    1. 파나마의 對韓國 政策
    2. 政治, 外交的 交流
    가. 外交年表
    나. 主要 人士 및 使節團 交流
    다. 僑民 및 有關機關
    3. 經濟協力
    가. 經濟協力
    나. 交易 推移
    다. 韓國의 對파나마 投資進出 現況

    參考文獻
    국문요약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