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연구컨소시엄
APEC 연구 시리즈
전체 2,891건 현재페이지 156/290
-
Outward Processing Scheme under FTAs: “Domine, Quo Vadis?”
최근 체결된 몇몇 자유무역협정(FTAs)은 그것의 본 원칙에서 벗어나는 역외가공제도를 포함시키고 있다. 본래 FTA 영향권 내에서 수입출국 물품의 제조과정이 방해받지 않는다는 조건이 지켜질 때, 당사국의 상품은 다른 당사국의 특혜를 누릴 수 있..
Norio Komuro 발간일 2009.04.30
무역정책, 자유무역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Overview of the Outward Processing Scheme
1. FTA Rules of Origin
2. Rationale of the Outward Processing Scheme
III. Outward Processing Schemes under Europe's FTAs
1. EFTA's Initiative
2. Evolution of EFTA's Scheme
3. EEA Scheme
4. EC-Concluded Pan-European and Pan-Euro-MED FTAs
5. EC's FTAs with Non-European Countries
6. Common Features of Outward Processing Schemes under Europe's FTAs
IV. Outward Processing Schemes under Israel's FTAs
1. Israel-EC FTA
2. Israel-US FTA with the U.S. Unilateral Cumulation Regime
3. Israel-Canada FTA
4. FTAs between Israel and South American Countries
V. Outward Processing Schemes under Singapore's FTAs
1. Singapore-Pacific FTAs
2. Singapore-Asian Countries FTAs
3. Singapore-EFTA FTA
4. Singapore-U.S. FTA
5. Singapore-Jordan FTA
6. Trans-Pacific FTA
7. Singapore-Latin America FTAs
VI. Outward Processing Schemes under South Korea's FTAs
1. South Korea-EFTA FTA
2. South Korea-ASEAN 10 FTA
3. South Korea-U.S. FTA
VII. Assessment of Outward Processing Schemes
1. Definition of the Outward Processing Scheme
2. Benefits and Shortcomings of the Outward Processing Scheme
3. Legal Assessment of the Outward Processing Scheme
VIII.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국문요약최근 체결된 몇몇 자유무역협정(FTAs)은 그것의 본 원칙에서 벗어나는 역외가공제도를 포함시키고 있다. 본래 FTA 영향권 내에서 수입출국 물품의 제조과정이 방해받지 않는다는 조건이 지켜질 때, 당사국의 상품은 다른 당사국의 특혜를 누릴 수 있다. 이러한 FTA 본래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는 이례적인 예가 바로 역외가공사업이다. 이 특별제도 내에서, 당사국의 제조업자는 역외가공제를 통해 물품을 비당사국으로 보낼 수 있으며, 가공된 물품을 마감 작업의 목적으로 재수입할 수 있다. 최종 생산물은 FTA가 부과한 조건에 합당하는 한, 수입국이 제공하는 FTA 특혜를 누릴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 체결된 자유무역협정 (FTAs) 체제하에서 다양한 역외가공 사업 계획안을 살펴보고, 특히 이스라엘, EU, EFTA, 싱가포르 그리고 한국의 협정들을 인접국과(제3국의 내용과 원료규정) 비교하고자 한다. 더불어, 경제·정치적 그리고 법률적 측면의 고찰을 제공한다. 최종적으로 이 논문을 통해 계획안과 동반되는 문제의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
Determinants of Staging Categories for the Tariff Elimination in the FTA Negotia..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국가들은 1990년대 말에 들어서 비로소 FTA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세계적인 FTA 조류에 다소 늦게 합류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빗모형을 이용하여 동아시아국가들의 FTA 협상에서 관세철폐 단계별 카테고리의 결정요인을..
최낙균 발간일 2009.04.10
경제통합, 자유무역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Model Specification and Data
III. Empirical Results
IV. Summary and Policy Implications
Reference국문요약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국가들은 1990년대 말에 들어서 비로소 FTA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세계적인 FTA 조류에 다소 늦게 합류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빗모형을 이용하여 동아시아국가들의 FTA 협상에서 관세철폐 단계별 카테고리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상품분야의 FTA 협상에 있어서는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관세철폐의 품목범위 및 예외품목 리스트를 설정하는 것이 성공적인 협상타결을 위한 핵심이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동아시아국가들이 협상 전의 예상과 일치되게 단계별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데 성공적이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
Development Cooperation for Social Safety Nets in East and Southeast Asia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은 현재 이중적 충격을 겪고 있다. 하나는 세계화의 충격이고, 다른 하나는 인구변환의 충격이다. 세계화의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적 조치가 취해졌고, 그 중에서도 사회안전망의 강화가 눈에 띄었다. 그러나..
이계우 발간일 2009.03.30
경제개발,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Double Shocks in the Region
II. Globalization and Social Safety Nets
1. Glob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2. Globalization and Inequality
3. Social Safety Nets
III. Demographic Trans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1. Global Ageing Trend
2. Implications
IV. Demographic Transition in East and Southeast Asia
1. Transition
2. Domains of Development Cooperation
V. Social Safety Nets against the Demographic Transition
1. Coverage
2. Benefit Adequacy
3. Alternative Safety Nets
4. Financial Sustainability
VI. Financial Products and Labor Market Policies against the Demographic Transition
1. Complements to Social Safety Nets
2. Financial Market Products
3. Labor Market Policies
VII.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References국문요약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은 현재 이중적 충격을 겪고 있다. 하나는 세계화의 충격이고, 다른 하나는 인구변환의 충격이다. 세계화의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적 조치가 취해졌고, 그 중에서도 사회안전망의 강화가 눈에 띄었다. 그러나 인구변환과정의 충격과 심각성에 관해서는 별로 논의가 없었고, 또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과 사회안전망에 관해서는 진지한 토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더욱이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로 시작된 금융위기가 전세계적인 실물경제위기로 전환되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은 이러한 충격이 가져올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사회안전망 제도를 구축하는 데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본 논문은 동남아 지역의 이러한 이중적, 삼중적 충격, 특히 인구변환이라는 충격의 성격과 규모를 다루고, 대응정책을 모색하며, 그 대응정책의 하나로 사회안전망을 제도화하는 데서 당면할 과제와 문제점을 짚어보려고 한다. 본 논문은 일련의 권고안을 제시하면서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에서의 국제개발협력의 역할에 관해 특기한다. -
미국 서비스산업의 성장요인 분석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 한국경제는 경제의 서비스화를 통한 지속적인 경제성장 지속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2000년 이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는 추세를 보이면서 서비스업 성장을 통한 양질의 고용 창출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관심..
이준규 외 발간일 2008.12.31
경제발전, 산업구조원문보기목차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과 구조
2. 기존 문헌 고찰 및 차별성제2장 미국 서비스산업 규제개혁 정책
1. 서비스 규제개혁 정책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
가. 1980년대의 규제개혁 정책
나. 1990년대의 규제개혁 정책
2. 서비스 산업별 규제개혁 정책의 추이
가. 금융서비스
나. 통신서비스제3장 미국 서비스산업과 제조업
1. 서비스산업과 제조업의 관계
2. 서비스산업과 제조업의 산업연관 분석
가.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상호연관
나. 제조업 부문별 서비스 중간투입
제4장 미국 서비스산업과 경제성장
1. 서비스산업과 경제성장
가. 서비스업과 제조업 2부문 모형
나. 서비스산업과 경제성장과의 관계
다. 서비스무역과 경제성장
라. 서비스투자와 경제성장
마. 서비스고용과 경제성장
2. 서비스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가. 성장회계 모형
나. 서비스산업과 성장요인
다. 서비스산업의 성장요인 실증분석제5장 맺음말
1. 연구결과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 한국경제는 경제의 서비스화를 통한 지속적인 경제성장 지속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2000년 이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는 추세를 보이면서 서비스업 성장을 통한 양질의 고용 창출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고의 연구 목적은 서비스산업 관련 규제완화 정책연구를 배경으로 미국 서비스산업의 성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서비스산업 성장에 주는 시사점을 파악해 보는 데 있다.
제2장에서는 서비스산업 정책의 변화, 특히 규제완화 정책에 초점을 두고 기술하였다. 미국은 1970년대 중반부터 서비스 산업에 대한 규제개혁을 단행하였고, 주요 서비스산업 분야, 특히 경제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금융, 통신, 운송 등의 영역에서 규제완화를 적극적으로 실시하였다. 1980년대 미국경제는 규제완화의 시대라고 할 수 있고, 1990년대는 이를 바탕으로 한 규제완화의 지속 추진 및 심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투자 은행의 시작도 1999년 글라스-스티걸법(Glass-Steagall) 폐지가 중요한 계기가 되었고, 이러한 규제개혁은 1980년대 레이건 행정부의 개혁이 지속된 결과이다.
제3장에서는 서비스산업과 제조업의 관계를 다룬 선행 연구들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 미국 서비스산업과 제조업의 관계를 각종 통계자료와 산업연관표를 통해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두 산업 간 관계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생산 및 고용에서도 각기 다른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각종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미국의 서비스산업이 GDP 성장에 어느 정도 기여하였으며, 각 서비스 부문별로 어떻게 성장(또는 감소)하였는지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제조업 부문별 서비스 중간투입, 제조업 부문별 총생산 및 고용 추이를 살펴보았다. 제조업 부문별 총생산과 고용의 관계를 살펴보면 의류ㆍ가죽 관련 제조업의 경우 총생산과 고용이 크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석유ㆍ석탄 관련 제조업과 화학 관련 제조업의 경우 총생산이 빠르게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의 고용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노동집약적인 제조업이 다른 부문으로부터의 아웃소싱을 통해 점차 자본집약적인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해외변수, 기술변화가 불변이라고 가정하면 서비스 산업으로부터의 아웃소싱(또는 중간투입)이 제조업의 고용을 더욱 악화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기계류 관련 제조업의 경우 총생산, 서비스 중간투입, 고용 모두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항공ㆍ우주ㆍ선박 관련 제조업의 경우에도 고용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컴퓨터ㆍ전자제품, 전기설비ㆍ장치, 자동차 및 부품 같은 고부가가치 제조업의 경우 전문가 서비스의 투입계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Antras(2003)와 Helpman(2003)이 주장한 바와 같이 중간투입을 한 국가 내에서 구입할 경우 높은 생산성의 기업들은 인소싱(insource)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이해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미국 서비스산업과 경제성장의 관계를 전체적으로 조명하면서, 특히 미국 서비스산업의 성장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미국 서비스산업 성장요인 분석을 위해 종속변수로 서비스업 성장률을, 독립변수로 서비스업 자본성장률, 서비스업 노동성장률, 인플레이션, 규제완화, 금융발전지수와 연구개발을 사용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서비스산업별 유통서비스, 생산자서비스, 개인서비스, 사회서비스를 종속변수로 하고, 각 산업별 노동, 자본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서비스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서비스업 노동성장률과 자본성장률 모두 양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서비스산업의 노동성장률 계수가 서비스업의 자본성장률 계수보다 훨씬 높게 나와 노동에 인적자본이 포함되었다는 추론을 할 수 있었다.
규제완화는 전 시기와 확실하게 구분되는 레이건 행정부 기간을 더미변수로 이용하여 세 가지로 분류해 실증분석을 한 결과, 규제완화 계수는 양이며, 유의한 값이 도출되었다. 이는 기존의 많은 실증분석 결과처럼 규제수준을 완화하면 장기적으로 더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것이라는 주장과 일맥상통하는 결과이다.
제5장은 결론으로, 이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제시하는 한편, 실증분석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경제의 서비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나이지리아의 주요 산업: 원유·가스,통신,건설,전력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나이지리아는 국민소득이 500달러에도 미치지 못하는 저개발국이지만 막대한 석유자원과 인구 1억 5천만의 시장 잠재력을 지닌 아프리카 경제대국이다. 나이지리아는 OPEC회원국이자 세계 10..
박영호 외 발간일 2008.12.30
산업구조원문보기목차I, 나이지리아 경제의 특징과 산업구조 1. 나이지리아 경제 동향 가. 국내 경제 나. 대외 경제 2. 산업구조 및 주요 산업별 현황 가. 산업구조 나. 농수산업 다. 원유·가스 산업 라. 제조업 마. 건설 산업 바. 통신 산업 3. 주요 산업정책 가. 「국가경제개발전략」 나. 민영화 정책 다. 외국인 투자유치 정책 라. 통상정책 II. 원유· 가스 산업 1. 산업 개황 2. 원유·가스 산업 관련 정책 가. 국산화 정책 나. 원유·가스 관련 정부 조직 개편 다. 개발 투자 확대 3. 최근 원유· 가스 산업 동향 가. 생산동향 나. 니제르 델타 지역의 생산 차질 다. 수출현황 4. 외국인 투자 동향 가. 외국인 직접 투자 동향 나. 투자전망 다. 주요 외국인 투자기업 5. 원유·가스 부문 성장 잠재력 및 전망 가. 나이지리아 원유생산 확대 전망 나. 해상유전개발 증대 전망 III. 통신 산업 1. 산업개황 2. 통신 관련 정책 가. 국영통신사 민영화 나. 통신시장 자유화 정책 다. 통신 요금 자유화 3. 최근 산업 동향 가. 유선통신 나. 이동통신 다. 무선통신기기 수입 시장 라. 나이지리아 통신시장의 확장 4. 외국인 투자 동향 가. 투자 동향 나. 주요 외국인 투자 기업 5. 통신시장 전망 IV. 건설 산업 1. 개황 및 특징 2. 건설산업정책 가. 국산화 정책 나. 인프라 시설 개선 정책 다. 주요 제도 3. 부문별 동향 가. 원유·가스 플랜트 나. 인프라 다. 건설 기자재 4. 외국 기업 진출 현황 5. 건설시장 환경 및 전망 V. 전력 산업 1. 전력산업 개요 2. 전력산업 정책 가. 전력 확충 계획 나. 전력산업 구조개편 다. 민간투자 촉진 정책 3. 전력산업 부문별 동향 가. 발전 나. 송·배전 다. 전력 기자재 4. 전력산업 외국인 투자 동향 5. 전력산업 전망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투자계획 다. 아프리카 통합 전력망 구축 IV. 나이지리아 진출 전략 1. 나이지리아 진출환경 분석 가. 투자환경 나. 수출환경 2. 업종별 진출전략 가. 원유·가스 나. 통신산업 다. 건설 산업 라. 전력 산업 <참고문헌> <부록> 해당업종 기업체 리스트국문요약*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나이지리아는 국민소득이 500달러에도 미치지 못하는 저개발국이지만 막대한 석유자원과 인구 1억 5천만의 시장 잠재력을 지닌 아프리카 경제대국이다. 나이지리아는 OPEC회원국이자 세계 10대 석유수출국으로서 국제 에너지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현재 나이지리아의 원유 매장량은 360억 배럴로 밝혀지고 있는데, 이는 아프리카 전체 석유 매장량의 1/3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
칠레의 주요 산업: 농업,수산업,광업,IT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한국과 칠레는 2004년 4월 FTA 발효를 계기로 경제협력 관계를 촉진해 왔다. 시장개방으로 양자간 교역은 크게 신장되었고,2000년대 들어 주춤하던 한국 기업들의 대(對)칠레 투자진출도 증가..
김진오 발간일 2008.12.30
산업구조원문보기목차머리말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칠레의 산업구조와 산업육성정책 1. 칠레 경제개관 2. 산업구조의 특징 3. 주요 산업정책 가. 산업정책 나. 산업정책과 대외개방 다. 투자환경과 외국인직접투자 현황 라. 산업발전 과제 Ⅲ. 농업 1. 산업 개황 2. 농업 정책 가. 농업정책의 역사적 발전 과정 나. 1990년 이후 농업정책 동향 다. 농지개혁 라. 농업무역정책 마. 주요 국내 농업정책 3. 산업 내 세부 부문별 동향 가. 생산 나. 내수판매 다. 수출입 4. 외국인투자 동향 5. 농업의 경쟁력 및 전망 Ⅳ. 수산업 1. 산업 개황 2. 수산업 정책 가. 정책 및 관련 법규 나. 투자유치 정책 3. 산업 내 세부 부문별 동향 가. 생산 나. 수출입 4. 외국인투자 동향 5. 수산업의 경쟁력 및 전망 가. 수산업의 경쟁력 및 전망 나. 주요 선도기업 Ⅴ. 광업 1. 산업 개황 2. 광업 정책 가. 자원개발 관련 법규 나. 투자유치 정책 3. 산업 내 세부 부문별 동향 및 현황 가. 생산 나. 광물자원 매장 지역/광산 분포 현황 다. 수출입 현황 4. 외국인투자 동향 5. 광업의 경쟁력 및 전망 가. 광업의 경쟁력 및 전망 나. 주요 선도기업 Ⅵ. IT 산업 1. 산업 개황 2. IT 산업 정책 가. 칠레디지털개발전략의 주요 프로그램 나. 칠레디지털개발전략의 기술정책 다. 최근 IT 산업 관련 정부지원 프로그램 추진 현황 3. 산업 내 세부 부문별 동향 가. 컴퓨터 및 IT 서비스 나. 통신 다. 인터넷 라. 전자상거래 4. 외국인투자 동향 5. IT 산업의 경쟁력 및 전망 가. IT 산업의 경쟁력 및 전망 나. 주요 선도기업 Ⅶ. 한국-칠레 산업협력 및 진출방안 1. 한국-칠레 산업협력 방향 가. 한국-칠레 경제협력 현황과 특징 나. 한국-칠레 산업협력 가능성 및 전망 2. 한국-칠레 산업별 협력 현황 및 진출전략 가. 농업 나. 수산업 다. 광업 라. IT 산업 참고문헌국문요약*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한국과 칠레는 2004년 4월 FTA 발효를 계기로 경제협력 관계를 촉진해 왔다. 시장개방으로 양자간 교역은 크게 신장되었고,2000년대 들어 주춤하던 한국 기업들의 대(對)칠레 투자진출도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FTA 체결 이후 고조된 양국간의 전반적인 협력관계는 정상회담을 포함한 각종 민⋅관⋅학 대화채널을 바탕으로 IT, 광업, 에너지 등 새로운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비록 광업, 수산업, 임업 등에서 일부 민간기업의 투자 진출이 산업협력의 일환으로 명맥을 유지해 왔다고 평가할 수 있지만, FTA 발효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도 한국과 칠레 간의 산업협력은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의 주요 경쟁국인 일본과 중국이 칠레와 FTA를 체결하면서 시장 선점의 효과가 다소 약화되고 있는 점도 FTA 고도화, 산업간 협력 제고 등 양국간 관계강화를 위한 새로운 방안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생략) -
헝가리의 주요 산업: 자동차,IT,금융,제약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헝가리는 서유럽과 동유럽, 북부유럽과 남부유럽의 중앙에 위치해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발칸 및 CIS 시장의 진출 거점이 될 수 있다. 또한 헝가리는 사회주의 계..
이철원 발간일 2008.12.30
산업구조원문보기목차머리말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헝가리 경제동향 및 산업구조 1. 경제동향 2. 산업구조 3. 주요 산업정책 가. 중기 전략적 국가발전계획 나. 투자유치정책 Ⅲ. 자동차 산업 1. 산업 개황 가. 개황 나. 유럽 자동차 시장에서 헝가리의 입지 2. 자동차 산업 관련 정책 가. 완성차 및 부품산업에 대한 투자인센티브 강화 나. Pannon 자동차 클러스터 단지 조성과 정부 참여 다. 자동차 산업의 R&D 인프라 강화 3. 산업 세부 부문별 동향 가. 생산동향 나. 판매동향 다. 수출입 동향 4. 자동차 산업의 외국인투자 현황 가. 외국인 투자 개요 나. 최근 외국인 투자 동향 5. 자동차 산업 및 주요 기업의 성장 잠재력 가. 자동차 산업의 성장 잠재력 및 전망 나. 주요 선도기업의 사업현황 및 미래 전략 Ⅳ. IT 산업 1. 산업 개황 가. 중․동구 IT 산업 나. 헝가리 IT 산업 2. IT 산업 관련 정책 가. IT산업 육성 나. 전자정부 구축 다. 통신시장 자유화 및 민영화 3. IT 산업 세부부문별 동향 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나. 통신서비스 다. IT서비스 4. IT 산업 전망 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나. 서비스 Ⅴ. 금융 산업 1. 산업 개황 가. 금융 산업의 구조 나. 외국 금융기관의 진출 2. 금융 산업 관련 정책 가. 금융체제 개혁 나. 건정성 규제, 은행감독체계 강화 및 은행민영화 3. 금융 산업 세부부문별 동향 가. 은행 산업 나. 보험 산업 4. 금융 산업 전망 가. 은행 산업 나. 보험 산업 Ⅵ. 제약 산업 1. 산업개황 및 입지 가. 산업개황 및 특성 나. 유럽 의약품 시장에서 헝가리의 위치 2. 제약 산업 관련 정책 가. 시장관리 기구와 제도 변화 나. 주요 관련 정책 3. 세부 부문별 동향 가. 시장동향 및 구조 변화 나. 생산동향 다. 수출입 현황 라. 의약품시장 구조 4. 제약 산업의 외국인투자 현황 가. 외국인투자 규모 및 주요 외국계 회사 나. 최근 외국인 투자 동향 및 경향 5. 성장 잠재력 및 전망 가. 헝가리 제약 산업 SWOT 분석 나. 주요 선도기업 사업분석(SWOT) Ⅶ. 협력 방향 및 진출 전략 1. 한-헝가리 경제협력 기본 방향 가. 경제협력 잠재력 나. 경제협력 기본 방향 2. 주요 산업별 협력방향 및 진출전략 가. 자동차 산업 나. IT 산업 다. 금융 산업 라. 제약 산업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부록 3 부록 4 부록 5국문요약*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헝가리는 서유럽과 동유럽, 북부유럽과 남부유럽의 중앙에 위치해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발칸 및 CIS 시장의 진출 거점이 될 수 있다. 또한 헝가리는 사회주의 계획경제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을 위해 일찍부터 경제개혁을 추진, 중·동구(CEE: Central and Eastern Europe) 지역에서 가장 모범적인 체제전환국으로 평가받고 있다. -
UAE의 주요 산업: 건설,정보통신,관광,금융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세계 5위의 원유매장량(점유율 8.2%)을 보유한 에너지부국 UAE는 최근 중동지역의 물류 중심지에서 비즈니스 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 UAE의 2007년 GDP(명목) 규모는 1,926억 달러로 전년에 비..
박철형 발간일 2008.12.30
경제개발원문보기목차머리말
국문요약
I. UAE의 경제구조와 경제정책
1. 경제동향 및 전망
가. 경제동향
나. 경제 전망
2. 산업구조 및 주요 특징
가. 산업구조
나. 주요특징
3. 주요 산업정책
가. 국가발전전략 개관
나. 경제발전전략
다. 산업다각화 정책
라. 외국인투자 정책 및 조세제도
마. 통상 정책
바. 노동정책 및 노무제도Ⅱ. 건설업
1. 건설시장 현황
2. 주요 정책 및 제도
가. 정책 방향
나. 건설 및 부동산 관련 규정
다. 건설업 위기관리 대책
3. 지역 및 부문별 동향
가. 두바이
나. 아부다비
4. 선도기업의 사업현황
5. 외국인투자 동향 및 성공사례
가. 외국인투자 동향
나. 투자 성공사례
6. 전망 및 평가Ⅲ. 정보통신업
1. 개황 및 특징
2. 정보통신 정책
3. 부문별 동향
가. 유선통신
나. 이동통신
다. 인터넷 및 IT시장
다. IT제품 수입시장 동향 및 경쟁구조
4. 외국인투자 및 해외진출 현황
가. IT부문 외국기업 진출현황 및 정부의 유치전략
나. UAE 통신기업의 해외진출 현황
5. 전망 및 평가
가. 통신시장
나. 인터넷 및 IT시장Ⅳ. 관광업
1. 산업 개황 및 특징
2. 관광산업 정책 가. 두바이 나. 아부다비
3. 세부업종 및 관련부문 동향
가. 호텔업
나. 레저산업
다. 문화산업
라. 소매업(소핑)
마. 항공 바. 대중교통
4. 선도기업의 사업현황
가. Tatweer
나. Emirates Group
5. 외국인투자 동향 및 성공사례
가. 외국인투자 동향
나. 투자 성공사례
6. 전망 및 평가
가. 전망 V. 금융업 1. 금융업 개황 및 특징
2. 부문별 주요 정책 및 제도
가. 중앙은행
나. 은행업
다. 이슬람금융
라. 외국인투자 규제 및 촉진 제도
3. 부문별 동향
가. 은행업
나. 이슬람금융
다. 자본시장
4. 외국인투자 및 해외진출 현황
가. 외국금융기관 현지진출 현황
나. UAE 은행의 해외진출 현황
5. 전망 및 평가VI. UAE 진출 전략
1. UAE의 진출환경 분석
가. 투자환경
나. 수출환경
2. 업종별 진출방향
가. 건설업
나. 정보통신산업
다. 관광업
라. 금융업참고문헌
부록: 건설업 현지 유관기관 및 업체 리스트
국문요약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세계 5위의 원유매장량(점유율 8.2%)을 보유한 에너지부국 UAE는 최근 중동지역의 물류 중심지에서 비즈니스 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 UAE의 2007년 GDP(명목) 규모는 1,926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7.4% 성장하였으며, 2008년에는 6~7%대의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2008년 하반기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세계경제 침체와 함께 국제유가가 급락하면서 2009년 UAE의 경제성장률은 3~4% 수준으로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생략) -
카자흐스탄의 주요 산업: 석유,IT,건축자재,의약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카자흐스탄은 2000년 이후 에너지산업 발전을 바탕으로 연평균 9~10%대의 고도성장을 거듭하였으나, 최근 국 제 유가가 정점대비 절반가격으로 하락함에 따라 2008년 경제성장률은 4%대를 기..
이철원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개발원문보기목차머리말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카자흐스탄의 경제동향 및 산업구조 1. 최근 경제 동향 및 전망 2. 산업구조 3. 주요 석유산업정책 가. 중기 산업혁신발전전략 나. 카자흐스탄 산업공단 추진 4. 투자환경 가. 외국인 투자유치정책 나. 외국인 투자 제도 다. 비즈니스 환경 평가 Ⅲ. 석유산업 1. 개황 2. 주요 육성정책 3. 주요 부문별 동향 가. 탐사 및 개발(Upstream) 나. 석유 정제 부문 (Downstream) 다. 석유 수출 4. 주요 외국기업의 진출 현황 및 전략 가. Chevron 나. Eni Kazakhstan 5. 성장잠재력 및 전망 Ⅳ. IT 산업 1. 개황 가. IT산업 개요 나. 통신 인프라 2. 주요 IT산업정책 가. 전자정부(e-government) 구축 나. 정보화 격차 해소 사업 다. 알라타우 IT 시티 건설 4. 주요 부문별 동향 가. 하드웨어 나. 유선통신 다. 이동통신 라. 인터넷․브로드밴드 5 주요 외국기업의 진출 현황 및 전략 가. Kar-Tel(VimpelCom) 나. Altel 다. Microsoft 6. 성장 잠재력 및 전망 Ⅴ. 건축자재 산업 1. 개황 가. 건축자재산업의 개요 나. 건축자재 수요동향 2. 건축자재 산업 관련 정책 가. 건축자재산업 정책동향 나. 건축산업 위기에 대한 정부대책 3. 주요 부문별 동향 가. 품목별 시장동향 나. 건축자재 유통구조 다. 건축자재 가격동향 4. 외국기업의 진출 현황 5. 성장잠재력 및 전망 가. 건축자재 산업 성장 요소 나. 카자흐스탄 건축자재 경쟁력 다. 카자흐스탄 건축자재 선도 기업 및 마케팅 전략 Ⅵ. 의약산업 1. 개황 가. 의약산업 개요 나. 카자흐스탄 의약산업 최근 동향 다. 카자흐스탄 의약품 소비동향 2. 주요 의약산업 정책 가. 의약산업 국가정책 나. 의약 산업 관련법 3. 주요 부문별 동향 가. 카자흐스탄 제약 산업 동향 나. 의약품 유통구조 및 가격동향 다. 의약품 수출입 동향 4. 성장잠재력 및 전망 Ⅶ. 협력 방향 및 진출 전략 1.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기본 방향 가. 전략적 중요성 나. 시장의 중요성 다. 경제협력 기본 방향 2. 주요 산업별 협력방향 및 진출전략 가. 석유 산업 나. IT 산업 다. 건축자재 산업 라. 의약 산업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부록 3 부록 4국문요약*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카자흐스탄은 2000년 이후 에너지산업 발전을 바탕으로 연평균 9~10%대의 고도성장을 거듭하였으나, 최근 국 제 유가가 정점대비 절반가격으로 하락함에 따라 2008년 경제성장률은 4%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듯 산업 구조가 석유·가스 등 에너지부문에 편중돼 있어 카자흐스탄 경제구조가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카자흐스탄 정부는 산업혁신 발전전략, 경제특구 설립추진, 외국인투자 촉진정책 등을 통해 기존의 에너지 수출에 편중된 산업 구조를 다각화시키고 장기적으로 고부가 가치 산업경제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경제성장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필리핀의 주요 산업: 자동차,바이오연료,TV방송,프랜차이즈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필리핀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교역상대국으로 지난 2007년 6월 한·ASEAN FTA가 발효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필리핀 경제는 9천만에 가까운 인구와 다양하고 풍부한 천연자원..
정재완 발간일 2008.12.30
산업구조원문보기목차머리말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필리핀의 경제동향 및 산업구조 1. 필리핀 경제의 특징 2. 최근 필리핀 경제 동향 가. 국내부문 나. 해외부문 3. 필리핀의 산업구조 가. 산업구조 개관과 최근 동향 나. 주요 산업 4. 필리핀 정부의 주요 경제·산업정책 Ⅲ. 자동차 산업 1. 자동차 산업 및 시장의 특징 2. 최근 필리핀 정부의 자동차 정책 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 정책 나. FTA와 자동차산업 3. 부문별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 동향 가. 자동차 생산 동향 나. 자동차 판매 동향 다. 자동차 수출입 동향 라. 자동차부품산업 동향 4. 외국인투자 현황과 일본의 동남아 자동차 분업체계 가. 외국인투자 현황 나. 일본의 동남아 자동차 생산네트워크와 필리핀 자동차 산업 5.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과 전망 가. 필리핀 자동차 산업에 대한 경쟁력과 SWOT 분석 나. 자동차 산업의 비전과 중장기 전망 다.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한 과제 Ⅳ. 바이오연료 산업 1. 필리핀 바이오연료 산업 개요 2. 필리핀 정부의 주요 정책 가. 바이오연료 관련 법규 나. 바이오연료 프로그램 추진 구조 3. 필리핀 바이오연료 산업 현황 가. 필리핀의 에너지공급 구조 나. 바이오연료 생산 현황 및 계획 다. 시장 상황 라. 바이오연료 산업의 경제 기여도 4. 바이오연료 개발 프로젝트 추진 현황 가. 주요 개발 프로젝트 추진 현황 나. 외국계 기업의 프로젝트 진출 5. 필리핀 바이오연료 산업 전망 Ⅴ. 필리핀의 TV 방송 산업 1. TV 방송 산업의 개요 및 특징 2. 필리핀의 방송정책 가. 규제기구 나. 관련 법률 다. 세부 규제내용 3. 방송부문별 동향 가. 공중파 TV(Free to Air TV) 나. 유선방송(Cable TV) 다. IP TV 라. 위성 TV 4. 필리핀의 방송 및 방송 프로그램 시장 개방 현황 가. 외국인투자 동향 나. 방송 프로그램 수출입 동향 5. 필리핀 방송 산업의 성장 전망 가. TV 방송 산업의 경쟁력 나. 방송 산업 성장 전망 Ⅵ. 프랜차이즈 산업 1.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개요 2. 필리핀 정부의 주요 정책 가. 프랜차이즈 산업관련 법규 및 규제사항 나. 정부의 지원정책 3.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현황 가. 산업구조 및 특징 나. 프랜차이즈 산업의 경제 기여도 다. 프랜차이즈 산업의 발전 방향 4. 외국계 프랜차이즈 진출 현황 가. 외국계 진출 현황 나. 외국계 프랜차이즈의 진출 분야 다. 성공사례 및 요인 5.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전망 Ⅶ. 우리기업의 필리핀 진출 방향 1. 자동차 산업 2. 바이오연료 산업 3. TV 방송 산업 4. 프랜차이즈 산업 참고자료 부록 1. 바이오연료 생산관련 기관 및 기업체 부록 2. 바이오연료 사업의 선두주자 “Chemrez"의 사업 현황 부록 3. 프랜차이즈 산업 주요 유관기관 및 기업체 부록 4. 주요 프랜차이즈 기업의 사업 현황국문요약*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필리핀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교역상대국으로 지난 2007년 6월 한·ASEAN FTA가 발효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필리핀 경제는 9천만에 가까운 인구와 다양하고 풍부한 천연자원 등으로 인해 다원화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농림수산업의 GDP 비중이 여전히 10%를 상회할 만큼 높은 편이며, 지하경제 규모가 크다. 한편, 필리핀은 1인당 GDP 1천 달러대의 빈국이지만 수도권인 메트로마닐라 지역의 구매력은 상당히 높으며, 해외거주 필리핀인이 보내오는 송금이 GNP의 7%대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 또한 필리핀 시장의 특징이다. 필리핀은 1990년대 후반 동아시아 경제위기와 엘니뇨현상으로 심각한 경기침체를 경험했으나, 2000년대 들어 예전의 성장세를 거의 회복했으며, 2007년은 지난 31년 내 최고인 7.3%의 실질GDP성장률을 기록하였다.(생략)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