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전체 2,868건 현재페이지 205/287
-
Searching for a Better Regional Surveillance Mechanism in East Asia
동아시아 경제정책 감독체제의 강화동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역내 금융협력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금융의 국제화에 따른 각국 금융시장의 연계성이 증대되면서 금융 및 거시경제정책의 국제협력이 더욱 필요해졌다. 특히 역내 국가간 상호..
왕윤종 외 발간일 2002.02.21
경제협력, 통화정책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Conceptual Framework
1. The Rationale for Surveillance and Monitoring
2. Spectrum of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3.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s
4. Enforcement Mechanisms: Does Peer Pressure Work?
III. European Experiences
1. Surveillance Mechanisms in the European Payment Union
2. The Bretton Woods System and the Treaty of Rome
3. The Snake System: 1972-1978
4. European Monetary System (EMS): 1979-1992
5. Economic and Monetary Union (EMU): 1993- present
6. Lessons out of the European Experience
IV. IMF's Global Surveillance and Regional Initiatives
1. IMF Surveillance
2. Regional Initiatives
V. Future Challenges
1. Clear Specification of the Objectives
2. Construction of a Surveillance Mechanism
3. The Chiang Mai Initiative and the Surveillance Mechanism
4. Forming a Core Group for Integration
5. Preparing for a Long-Term Vision
6. Building Institutional Arrangements
References국문요약동아시아 경제정책 감독체제의 강화
동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역내 금융협력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금융의 국제화에 따른 각국 금융시장의 연계성이 증대되면서 금융 및 거시경제정책의 국제협력이 더욱 필요해졌다. 특히 역내 국가간 상호관련성의 증가로 인한 부정적 외부효과의 파급은 역내 금융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논리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생략) -
Macroeconomic Effects of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The Case of Korea
상당수의 신흥시장국가들이 자본자유화가 가져다주는 여러 가지 경제적 편익을 얻기 위해 자본이동을 제한하는 규제조치를 철폐하고 국내 금융시장의 자유화도 동시에 추진하여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자본자유화와 이..
왕윤종 외 발간일 2002.02.05
금융자유화, 금융정책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and Capital Flows in Korea
1. Liberalization in the 1980s
2. Liberalization in the 1990s Prior to the Crisis
3. IMF Program and Further Liberalization
4. Components of Capital Account
III. Empirical Analysis
1. Vector Auto-Regression Model
2 The Nature of Capital Flows
3 Effect on Macroeconomic Variables
4 Boom-bust Cycles
5 Foreign Exchange Market Intervention and Sterilization Policy
IV. Conclusion
References국문요약상당수의 신흥시장국가들이 자본자유화가 가져다주는 여러 가지 경제적 편익을 얻기 위해 자본이동을 제한하는 규제조치를 철폐하고 국내 금융시장의 자유화도 동시에 추진하여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자본자유화와 이에 따른 자본유입이 금융위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실 자본자유화 그 자체가 금융위기를 유발한다는 필연성은 논리적으로 쉽게 도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경험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생략) -
유라시아 경제공동체(EEC)의 출범과 CIS 경제통합의 전망
최근 CIS 회원국간 경제통합 논의에서 새로운 점이 있다면 그것은 舊공산권 지역에서도 경제통합의 실현이 가지는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최근 대륙별로 경제통합체가 활발하게 추진되면서 세계경제의 주요 동향으로서 떠오..
하유정 발간일 2001.12.30
경제통합,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제2장 CIS 역내경제관계의 발달
1. CIS 역내교역관계의 변화
2. CIS 경제통합의 추진
가. CIS 경제통합 추진의 배경
나. CIS 경제통합 추진 동향
제3장 EEC 출범과 교역관계의 변화
1. EEC의 출범
가. CIS 내 무역협정 동향
나. EEC의 출범과정과 특징
2. EEC의 대외교역관계
가. EEC의 지역별 교역구조
나. 품목별 교역관계의 변화
제4장 지역경제통합의 심화 및 확대 전망
1. EEC 역내자유무역의 확대
가. EEC 무역관계 전망
나. EEC의 역외무역정책 전망
2. EEC 및 CIS의 향후 전망
3. CIS 각국의 대외경제관계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최근 CIS 회원국간 경제통합 논의에서 새로운 점이 있다면 그것은 舊공산권 지역에서도 경제통합의 실현이 가지는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최근 대륙별로 경제통합체가 활발하게 추진되면서 세계경제의 주요 동향으로서 떠오르고 있어 지역별로 이에 때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1998년 금융위기의 충격으로부터 빠르게 회복하면서 얻은 자신감을 바탕으로 유라시아 경제공동체(Eurasian Economic Community, EEC)는 CIS에 존재하고 있는 여러 소규모 지역기구에 앞장서서 한 단계 높은 경제통합을 달성하고자 2001년 6월 공식 출범하였다.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로루시, 타지키스탄, 키르기즈스탄의 5개국 정상이 2000년 10월 카자흐스탄의 수도 아스타나에서 정상회의를 열고, 기존의 CIS 관세동맹체제를 바탕으로 EEC를 창설하기로 합의한데 따른 것이다. 따라서 본 지역리포트를 통해 관세동맹이 심화된 이후 EEC 5개국 역내교역관계 변화를 전망하고 EEC의 확대 여부가 CIS 광역경제통합에 대해 가지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역내교역구조에 미루어보았을 때 EEC 내 관세동맹이 강화될 경우 역내 5개국 교역관계는 다음과 같은 변화를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관세동맹의 심화 이후 기타 CIS국으로부터 수입은 값싼 역내 수입으로 전환할 것이다. 특히 평소 러시아産 상품에 대해 높은 수요를 가지고 있던 EEC 각 회원국은 러시아産 상품을 수입하는 과정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교역조건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관세동맹 밖에 존재하는 기타 CIS 7개국의 경우 EEC 역내상품과의 경쟁에서 불리해질 것이다. 즉 역내상품이 기타 CIS 상품을 대체하여 향후 EEC 역내시장에서 회원국의 점유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CIS 역외상품의 EEC 역내시장으로의 유입은 관세동맹 심화 이후에도 여전히 계속될 것이다. 구소련 해체이후 CIS 회원국의 교역상대는 역외시장을 향해 다변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수입에서는 역외상품이 역내에서 생산할 수 없는 고부가가치 상품을 공급·보완하는 관계에 있다.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EEC 역내무역증가에 의해 역내국의 소득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바, EEC내 경제통합이 심화될수록 관세동맹 내부 뿐 아니라 CIS 역외産 수입품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하여 무역창출효과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보고서는 또한 EEC의 확대 가능성 및 양상에 따라 CIS 내 경제통합의 발달 구조에 대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전개 방향을 가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첫째, EEC가 러시아와의 양자간 교역관계 뿐만 아니라 역내 다자간 교역관계의 고른 발달에 기여하고 EEC는 CIS 내 주요 경제권으로 발달하는 경우이다. 그 결과 기타 CIS 회원국이 EEC 가입을 희망하게 되어 EEC 확대가 진행되고, 5개국의 소규모 경제통합체이던 EEC로부터 CIS 광역경제통합을 실현하는 초석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둘째, EEC의 역내 교역구조가 러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수레바퀴의 살과 같은 구도, 즉 hub-and-spoke 형태의 현재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이다. 즉 관세동맹의 심화가 러시아와 역내 개별국의 양자간 관계 강화에만 기여하고 다자간 협력강화 측면에서는 기대에 못미치는 성과를 가져오는 경우이다. 이때 CIS 회원국들은 개별적으로 양자간 또는 다자간 관계를 수립하는 등 각자의 대안을 찾아 나설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CIS에서 복수의 경제권으로 나누어진 현재의 구도가 심화될 것이다. 현재 CIS의 일부 국가들은 러시아의 영향에서 벗어나 정치, 경제적으로 보다 독자적인 대외관계를 수립하고자 희망하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양자간 구도의 고착 가능성은 러시아 중심의 경제통합체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일부 CIS 회원국의 이탈을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CIS 각국이 외환위기로부터 빠른 회복을 기록함에 따라 CIS의 대외경제관계 또한 많은 변화를 겪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CIS 경제에 대한 비교적 낙관적인 전망이 우세한바, 한국은 변화하는 CIS 내 통상환경에 대한 꾸준한 최신정보수집을 필요로 하고 있다. CIS의 역내교역 강화는 소득창출로 이어지고 이제까지 꾸준히 역외국가 상품에 대한 품목별 수요상승이 진행되고 있는바, 향후 유망한 수출시장으로서 진출 가능성에 항상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
中國의 地域經濟協力 認識과 東北亞 經濟統合 可能性
냉전종식 후 세계경제는 세계화(globalization)와 지역경제통합(regional economic integration)이라는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은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역내 분업체계를 확대 심화시키면서 국제무대를 통해 지역협상력..
안석교 외 발간일 2001.12.30
경제통합,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Ⅰ. 서론
Ⅱ. 중국의 대외경제교류 발전과 지역경제협력 인식
1. 중국의 대외경제교류 발전과정
2. 중국의 지역경제협력에 대한 인식
Ⅲ. 중국의 지역경제교류협력 현황과 추세―중화경제권
1. 중화경제권의 형성과 중국의 인식
2. 중화경제권의 교류현황과 특징
3. 중화경제권의 발전전망
Ⅳ. 중국의 WTO 가입과 동북아지역경제 교류
1. 중국의 경제발전과 동북아 지역경제
2. 중국의 WTO가입이 동북아지역경제 협력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참고문헌국문요약냉전종식 후 세계경제는 세계화(globalization)와 지역경제통합(regional economic integration)이라는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은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역내 분업체계를 확대 심화시키면서 국제무대를 통해 지역협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 지역경제 통합을 주요 전략적 과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동북아지역의 경제협력은 지역경제 통합 수준에 훨씬 못 미치고 있을 뿐 아니라 경제협력의 장기적 목표나 경제통합의 가능성 혹은 어떠한 형태에 대해서도 아직 지역국가들간에 최소한의 합의에도 이르지 못한 상태에 있다. (생략) -
21세기 러시아의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러시아의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 전략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과 러시아가 공동으로 이 지역 개발에서 협력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업대상과 실천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생략)
한종만 외 발간일 2001.12.30
경제개발원문보기목차I. 연구의 목적과 내용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II.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의 추이
1. 제정러시아 시기
2. 소비에트 시기
3. 체제전환기(1990년대 옐친 시기)
III. 시베리아·극동지역의 사회경제적 조건과 개발 환경
1. 시베리아·극동의 지역적 특성
2. 시베리아·극동지역의 사회경제적 조건
3.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의 잠재력과 장애요인
IV. 푸틴 정부의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 전략
1. 러시아의 아·태지역정책과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
2. 시베리아·극동지역의 자원개발과 교통망 개선전략
V.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과 한·러 경제협력
1. 교역 및 투자
2. 자원개발
3. 운송협력: TSR-TKR의 연계
4. 기타
VI. 시베리아·극동지역의 중장기 발전 전망과 정책시사점
1. 시베리아·극동지역의 중장기 발전 전망
2. 정책시사점과 대응과제
참고문헌국문요약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러시아의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 전략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과 러시아가 공동으로 이 지역 개발에서 협력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업대상과 실천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생략) -
유럽연합(EU)의 중동유럽 확대: 라켄 유럽이사회까지 현황과 전망
1952년 6개국으로 출발한 유럽연합은 1989년 현실사회주의체제 붕괴시기까지 3차례에 걸쳐 12개 회원국가로, 나아가 1995년 오스트리아, 스웨덴, 핀란드 등이 가입함으로써 제4차 확대에 걸쳐 15개 회원국을 지니고 있다. 현실사회주의체제의 붕괴이..
이규영 발간일 2001.12.30
경제통합원문보기목차1. 서론 - 유럽연합의 통합과 확대
2. 유럽연합의 확대에 대한 이론적 고찰
2.1. 통합과 확대를 보는 눈
2.2. 유럽연합의 심화와 확대
2.3. 유럽연합 확대의 근거와 가입절차
3. 유럽연합의 확대와 중동유럽국가의 가입신청
3.1. 제1차 확대 : 영국, 아일랜드, 덴마크(1973년)
3.2. 제2/3차 확대 : 그리스(1981년), 스페인, 포르투갈(1986)
3.3. 제4차 확대 : 오스트리아, 스웨덴, 핀란드(1995)
3.4. 동중유럽 국가의 유럽연합 가입신청
4. 유럽연합의 중동유럽 확대와 가입지원
4.1. 중동유럽 확대 의의
4.2. 유럽연합의 중동유럽국가 가입지원전략 및 실제
5. 니스조약과 유럽연합의 확대
5.1. 각료이사회의 가중투표권 조정
5.2. 각료이사회의 가중다수결원칙 확대
5.3. 집행위원회 위원수의 수정
5.4. 유럽의회의 권능신장
6. 니스회담이후 가입협상의 전개와 전망
6.1. 2000년도 가입협상 진전
6.2. 가입'희망'에서 가입'목표'로
6.3. 2차 제도개혁과 '최적' 가입후보국 확정
7. 유럽연합 확대의 현재적 평가와 전망
7.1. 중동유럽 국가의 가입시기와 시나리오
7.2. EU확대와 회원국의 여론
7.3. 독일의 영향력 확대
7.4. 유럽인의 정체성과 지리적 경계문제
7.5. 유럽연합 확대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국문요약1952년 6개국으로 출발한 유럽연합은 1989년 현실사회주의체제 붕괴시기까지 3차례에 걸쳐 12개 회원국가로, 나아가 1995년 오스트리아, 스웨덴, 핀란드 등이 가입함으로써 제4차 확대에 걸쳐 15개 회원국을 지니고 있다. 현실사회주의체제의 붕괴이후 1994년∼1996년에 중동유럽 10개국이 유럽연합 회원국 가입을 신청하였다. 유럽연합은 구체적 확대계획을 전제하지 않았고, 포용(inclusion)과 배제(exclusion)원리가 분명했던 냉전시대에 시작되었기 때문에 중동유럽 국가의 수용 역시 전제하지 않았다. 그러나 서유럽의 거의 모든 국가들이 가입한 뒤, 향후 유럽연합의 확대는 중동유럽 국가의 가입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생략) -
프로스포츠와 競爭法
□ 국내에 도입된 지 20 여년을 맞이한 프로스포츠가 국민경제 및 일상 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프로스포츠 시장에 경쟁이슈가 계속 제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심결례나 판례가 거의 없는 실정임□ OECD 경쟁법정책위원회가 주관한 ..
김원준 발간일 2001.12.30
원문보기목차서언
요약
I. 서설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II. 스포츠산업과 프로스포츠 제도
1. 스포츠산업
1) 스포츠산업의 개념
2) 국내 스포츠산업의 현황
2. 프로 스포츠 제도
1) 국내 프로 스포츠 제도
2) 외국 프로 스포츠 제도
3) 한·미·일 프로야구제도
III. 프로스포츠와 경쟁법관련 OECD 논의
1. 논의의 배경과 의의
2. 프로스포츠와 경쟁법상 쟁점
3. 프로스포츠에 대한 OECD국의 경쟁법 적용
4. OECD논의에 대한 평가
IV. 프로스포츠에 대한 국내의 경쟁법 적용
1. 프로스포츠관련 경쟁법 체제
2. 스포츠관련 판례
3. 프로야구에 대한 공정거래법 적용
4. 프로야구에 대한 약관규제법 적용
5. 국내 경쟁법 적용사례에 대한 평가
V. 결론
참고문헌
부록 : CURT FLOOD ACT국문요약□ 국내에 도입된 지 20 여년을 맞이한 프로스포츠가 국민경제 및 일상 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프로스포츠 시장에 경쟁이슈가 계속 제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심결례나 판례가 거의 없는 실정임
□ OECD 경쟁법정책위원회가 주관한 1996년 10월 스포츠관련 경쟁이슈(Competition Issues Related to Sports)에 관한 회의결과를 통하여 경쟁법 집행의 국제화 흐름과 핵심쟁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생략) -
공정거래법상 금지청구와 손해배상청구
이 글은 독점금지법의 집행을 강화하는 차원에서의 사소제도의 개선방안을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의 공정거래법이 태동한지 벌써 이십여년을 넘고 있지만 아직까지 공정거래법의 집행은 제대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 중요한..
장승화 발간일 2001.12.30
원문보기목차I. 머리말
II. 독점금지법상 금지청구제도-- 비교법적 고찰
1. 미국
2. 유럽연합
3. 독일
4. 일본
III. 우리나라 독점금지법상 금지청구제도의 도입
1. 금지청구제도의 기본적 법적 구성
2. 금지청구제도의 입법목적
3. 소권자--원고 적격
4. 금지의 대상 행위
5. 구제의 범위 --금지명령의 내용
6. 기타 관련사항
IV. 우리 독점금지법상 손해배상제도의 개선
1. 원고적격
2. 입증부담의 경감
3. 시정조치 선확정제도
V.맺음말
<자료 1> 주요 OECD 가맹국의 민사적 구제제도에 관하여
<자료 2> 주요한 OECD 가맹국의 사적 금지제도의 개요(12개국)국문요약이 글은 독점금지법의 집행을 강화하는 차원에서의 사소제도의 개선방안을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의 공정거래법이 태동한지 벌써 이십여년을 넘고 있지만 아직까지 공정거래법의 집행은 제대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공정거래법의 집행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독점력이 너무 강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비교법적으로 볼 때 공정거래법에 관한 한 정부 독점당국 이외에도 사인과 법원이 중요한 법집행권한을 공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공정거래법 위반을 이유로 사인이 법원에 금지청구를 할 수 없는 것으로 이해된다. (생략) -
한국과 독일의 최근 세제개편에 대한 평가
본고에서는 독일의 2000년에 이루어진 세제개혁의 경험과 우리나라의 2001년의 세제개편 내용을 비교하여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생략)
김유찬 발간일 2001.12.30
원문보기목차I. 서론
II. 독일의 2000년의 세제개혁
1. 세제개혁의 추진과정 및 정책목표
2. 세제개혁의 주요 내용
Ⅲ. 우리나라의 2001년도의 세제 개편
1. 추진과정 및 정책목표
2. 세제개편의 주요 내용
3. 기타
IV. 국제비교: OECD 자료 등에 비추어본 독일과 한국의 세제개편에 대한 평가
1. 조세부담율
2. 주요국의 소득세율
3. 근로소득세
4. 주요국의 법인세율
5. 결손금 이월공제 제도 등 기업과세 관련 규정
6. OECD 국가들의 세원별세부담 현황
V. 독일과 한국의 세제개편에 대한 비교 평가 및 시사점
1. 세제개편으로 인한 수혜자와 손실부담자
2. 양국의 세제개편에 대한 평가 및 조세정책적 시사점국문요약본고에서는 독일의 2000년에 이루어진 세제개혁의 경험과 우리나라의 2001년의 세제개편 내용을 비교하여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생략) -
EU국가의 민영화 경험과 시사점: 전력산업을 중심으로
본고는 EU국가의 민영화 경험을 토대로 우리 나라의 민영화 정책을 평가하고 우리에세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EU국가의 민영화 배경 및 동기, 그리고 민영화의 국가별, 산업별 다양한 형태를 고찰하고, 이를 근거..
박명호 발간일 2001.12.30
산업정책원문보기목차제 1 장 서론
제 2 장 EU국가 민영화의 배경 및 현황
1. EU 국가의 공기업 민영화 배경 및 동기
2. 민영화의 형태 및 방식
3. 민영화의 성과 및 향후 과제
제 3 장 EU국가 전력산업 구조개편 사례 분석
1. 공동 전력정책 이전의 EU의 전력 체계
2. 공동전력정책
3. 영국의 경험: 분할 매각을 통한 민영화
4. 프랑스의 경험: 수직통합 체제하의 경쟁 도입
5. EU 전력시장의 경쟁 도입의 영향
제 4 장 우리 나라 민영화 정책의 전개과정 및 현황
1. 과거 정부에서의 민영화 추진내용 및 평가
2. 현정부의 민영화 추진계획
3. 민영화 추진 실적
4. 공기업 민영화 추진실적에 대한 평가
제 5 장 우리 나라 민영화 정책의 사례분석: 전력산업
1. 전력산업의 구조조정의 필요성
2. 구조개편의 방향 및 추진 일정
3. 구조개편에 따른 주요정책 과제
제 6 장 EU 국가 민영화 경험과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1. 민영화의 전제 조건
2.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과제국문요약본고는 EU국가의 민영화 경험을 토대로 우리 나라의 민영화 정책을 평가하고 우리에세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EU국가의 민영화 배경 및 동기, 그리고 민영화의 국가별, 산업별 다양한 형태를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EU의 민영화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우리 나라와 EU국가간의 구체적 민영화 정책의 사례를 비교하기 위해 EU의 전력산업 구조개편 정책을 살펴본다. 기본적으로 EU는 전력시장의 경쟁 도입을 목표로 EU 차원의 전력시장 개방을 추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부 국가는 전통적으로 국가에 의해 운영되었던 전력산업의 민영화를 실시하기도 하였고 일부 국가는 전통적인 국가독점 하에서 수직적 분업 체제를 고수하면서 시장만을 개방하는 정책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이어서 우리 나라의 민영화 정책의 전개과정 및 그 성과를 현 정부와 이전 정부로 나누어 살펴보고 나서 우리 나라 전력산업의 점진적 민영화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평가하고자 한다. 특히 이 과정에서 EU국가의 경험을 토대로 향후 우리 나라 민영화 정책 수립 및 집행 시 유념해야 할 과제들을 도출하고 그 개선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