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주요 연구보고서의 연구 목적과 내용, 정책 시사점을 정리한 20면 내외의 요약 리포트입니다.

목록으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 본 연구에서는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로서 아프리카와의 협력 가능성을 검토하고 해외 자원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기업 진출 지원 및 자원 분야 협력방안을 도출함.
- 글로벌 탄소중립과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로 재생에너지 발전과 전기차 및 배터리 생산에 필수적인 핵심광물에 대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 핵심광물 수요 증가에 따라 아프리카 지역 내에서 핵심광물 자원에 대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은 공급망 안정화가 특히 요구되면서 아프리카 내 개발 잠재력이 높은 흑연과 희토류 관련 아프리카와의 협력 확대 추진 필요
- 청정에너지 경제로의 전환으로 광물 수요가 급증하면서 화석연료 시대보다 더욱 복잡한 공급망 이슈 및 장애 요인이 발생하고 있어 해외 자원개발 및 핵심광물 확보가 중요해짐.
- 핵심광물 생산국과 소비국 모두 경제안보 및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와 다변화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하고 민ㆍ관 협력과 양ㆍ다자간 협력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음.
- 아프리카의 주요 광물 생산국은 광물 분야에 대한 해외투자를 적극 유치하면서 국가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광업 관련 법과 규제를 개정하고 있음.
- 국제사회 주요국은 광물 공급망 안정화를 강조하면서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아프리카에 대한 자원외교를 확대하고 민간 투자를 적극 지원함.
- 핵심광물 개발을 위한 광업 활동이 확대되면서 아프리카 내에서 다양한 환경ㆍ사회적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한국 정부와 기업도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책임있는 광물 공급망 구축에 기여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아프리카가 핵심광물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① 아프리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협력 방향 설정, ② 자원외교 활성화 및 다자ㆍ양자 협력 강화, ③ 민간 참여 증진을 위한 금융ㆍ재정 지원 및 비금융 지원 확대를 제안함.
- 한국은 아프리카 내 핵심광물 전략 협력국의 경제발전 수요와 정책 변화 양상을 추적하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호호혜적인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협력을 확대해야 함.
- 정부는 자원외교를 활성화하면서 재원 다각화를 통해 민간 기업의 아프리카 자원 개발 및 인프라 건설 분야 진출을 지원하고 공공지원기관의 역량을 강화해야 함.

이전 다음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