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문가 회의 결과 (19.07 이전)

연구원소식

한국과 유럽의 사회이동성 비교

  • 작성일2018/06/15
  • 분류유럽
  • 조회수12,244

 

I. 개 요

 

1. 일시 및 장소: 201851816~18, 국제금융센터 대회의실

 

2. 발표자

- 박명호(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3. 참석자(가나다 순)

- 김도훈(경희대학교 특임교수)

- 김미림(한국지방세연구원 부연구위원)

- 김태황(명지대학교 교수)

- 박구웅(인천대학교 부교수)

- 박명호(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박상철(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

- 빈재익(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신용대(건국대학교 석좌교수)

- 신상기(가천대학교 교수)

- 오태현(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 윤덕룡(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이철원(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

- 이현진(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 임유진(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원)

- 최창규(명지대학교 교수)

- 허재준(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4. 제 목: 유럽의 사회적 이동성

 

II. 주요 논의 사항

 

1. 발표 요약

(*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발표자료 참고)

 

베이비부머, X세대는 전쟁으로 초기조건이 균등화 되었으며, 경제성장과 사회적 상향 이동을 경험한 바가 있으나 이후 세대의 경우 그 전과 달리 초기조건의 불평등, 성장둔화, 사회적 이동성 정체를 겪고 있음.

 

본 발표는 유럽사례를 통해 사회적 이동성 제고와 성장 잠재력 향상을 동시에 추구하는 성장 전략을 모색해보고자 하며, 혁신과 사회적 이동성을 동시에 감안함.

 

유럽사례에서 유럽은 현대화 과정을 통해 자신의 태생보다 능력과 역량이 중요함을 인식하였으며, 전쟁세대와 베이비붐세대는 대부분 유럽국가에서 사회적 상향 이동성을 경험함.

 

- 유럽사회서베이를 통해 사회이동성 관련 4가지 유형의 국가를 살펴볼 수 있음.

* 변화없음: 영국, 아일랜드 / 개선 후 안정: 독일, 스페인 / 지속 개선: 덴마크, 핀란드 / 개선 후 악화: 프랑스, 스웨덴

 

- 북유럽의 경우 사회 이동성의 상향 조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특징은 세대간 소득 탄력성이 낮으며 불평등도도 낮다는 것임.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지출이 높은 편이며, 대학교육 프리미엄도 낮음.

 

- 영국의 경우 사회 이동성이 개선되지 않고 있어 계급사회에 대한 우려가 있음.

 

영국은 2010년 사회적이동성위원회를 설치하여 전사회적으로 사회적 이동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

 

한국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이동성 개선을 경험한 축에 포함되지만 40대 전 후로 정도의 차이가 있음.

 

- 40대 이상이 40대 이하보다 사회적 이동성 개선을 경험한 정도가 더 큼.

 

- 또 하나의 특징은 본인의 이동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실제 이동경험보다 축소되어 있다는 점임.

 

사회적 이동성의 주요 쟁점은 소득 불평등, 공공서비스 접근성, 교육 불평등, 빈곤의 대물림 등임.

 

- 북부 유럽은 사회적 이동성이 높은데 이는 격차 없이 양질의 교육과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으로 분석

 

 

3. 토론 요약

 

발표자의 경우 경제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사회적 이동성을 마련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함을 강조함.

 

- 사회적 이동성 제고와 경제유연성을 유지한 성장 잠재력 향상을 동시에 추구하는 성장 전략을 모색해야 함.

 

- 우리나라는 기업 이동성 또한 낮은 축에 속하며 혁신과 연결시켜 보았으나 혁신과 기업이동성간의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음.

 

- 혁신과 사회적 이동성 또한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

 

선진국의 수범사례를 보고 우리나라에 적절하게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양질의 공공서비스 제공을 늘리는 것이 사회적 이동성을 개선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으로 평가함.

 

- 우리나라의 경우 중산층을 위한 사회로 평가되나, 불평등도도 높은 편임.

 

- 양극단에 위치한 집단을 고려하지 못해 발생하는 여러 사회적 문제들은 결국 비용이 발생하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불평등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 마련이 필요한 때임.

 

- 세대 간 계층 이동을 보여 주는 사회 이동성척도는 현 시점에서 시의 적절함.

 

유럽의 경우 등록금이 우리나라 대비 낮은 수준으로 청년층에 큰 부담이 없으며 이러한 제도가 유럽 내 사회 이동성이 상향 조정될 수 있었던 것임.

 

- 영국과 미국의 경우 교육에 대한 불평등도가 북유럽 등 유럽 주요국보다 높은 편이며, ‘계급사회의 형태를 띠기 때문에 사회적 이동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됨.

 

- 조기 선발, 학교 선택의 부정적 효과도 교육의 불평등으로 나타남.

 

노동시장의 현 상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사회이동성 고착화에 대한 단서를 찾아 볼 수 있을 것임.

 

- 우리나라 노동시장을 살펴보면 저임금근로자 비중과 임금불평등도가 OECD 자료 제출국가 중 가장 심하며,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음.

 

저임금근로자는 임금근로자 중위 임금의 3분의 2 이하의 임금근로자를 뜻함.

 

- 저임금근로자 비중과 임금불평등도는 비례 관계에 놓여 있는 것으로 분석되는데 이러한 정보를 세대 간으로 확장시켜 분석해보면 사회이동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임.

 

한편 유럽 선진국과 비교해볼 때 우리나라는 근속년수에 의한 임금증가가 뚜렷한 편인바 이는 근속이 보장되지 않는 직군 및 계층과 근속이 보장되는 직군 및 계층 간 임금격차를 확대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볼 수 있음.

 

- 여성의 경우 경력 단절과 중소기업, 저임금근로자는 근속이 어렵다는 점에서 여성, 중소기업 근로자, 저임금근로자와 퇴직까지 보장되는 정규직과의 임금격차는 벌이질 수밖에 없음.

 

- 유럽의 수범 사례로 꼽히는 스웨덴의 경우 근속에 따른 임금 증가폭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

 

Eurostat에 의하면 초기 임금과 근속년수에 따른 임금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는바, 근속년수의 프리미엄이 그렇게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또한 우리나라 대졸자 임금 프리미엄은 대학 진학률이 80%에 육박함에 따라 수요-공급의 원칙에 의해 프리미엄이 낮아져야 하지만 여전히 높음.

 

- 진학률 증가에도 임금 프리미엄이 높은 점은 일자리 미스매치 확대의 한 원인으로 봄.

직능별 고용비중의 1995년 대비 2015년 변화를 살펴보면 고직능군이 5%p 이상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으며 앞으로 디지털 혁신에 따른 미래 직업에 대해서도 논의가 필요함.

 

노동시장이 완전 시장경제(시장 친화적)라면 임금격차가 없을 것이나 현 노동시장의 형태는 자격증의 유무로 독과점 시장을 형성하여 자격증으로 지대(Rent)를 누릴 수 있게 조성되어 있음.

 

- 노동시장 내에서의 자격증 등 장벽을 조성하여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게 하는 환경이 사회적 이동성을 더욱 고착화 시키는 것으로 사료됨.

 

유럽의 사례 연구를 통해 성장 잠재력을 유지하면서 사회 이동성을 제고하는 정책 연구가 필요함.

.

첨부파일

목록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

전체 QR코드 https://www.kiep.go.kr/menu.es?mid=a10509043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