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문가 회의 결과 (19.07 이전)

연구원소식

한미간 산업/투자 협력 동향 및 시사점

  • 작성일2016/02/05
  • 분류북미
  • 조회수11,129

< 참석자(총 9명)>

- 내부참석자(5명):

 권기수(미주팀, 연구위원)
 윤여준(미주팀, 부연구위원)
 김원기(미주팀, 부연구위원)
 김종혁(미주팀, 전문연구원)
 권혁주(미주팀, 연구원)

외부참석자(4명):

김형주 연구위원(LG경제연구원)
신승훈 팀장(KOTRA)
고희채 연구위원(KOTRA)
최윤식 연구위원(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주요 발표 내용>

김형주 연구위원(LG경제연구원):
한미간 경제협력 방안: 산업협력 대화를 중심으로

□ (한미 정부간 협력 채널 현황) 한미 양국은 2014년 12월 장관회의를 통해 산업협력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채널의 일환으로 ‘한미 커머셜 다이얼로그(Commercial Dialogue)를 발족

  o 현재 한미 커머셜 다이얼로그는 무역·투자 촉진, 표준/규제, 에너지, 클러스터 등의 핵심 주제 안에서 세부적인 협력 방안을 추진

  o 미국은 한국 외에도 인도, 브라질, 프랑스, 인도네시아 등과 커머셜 다이얼로그를 통해 다각적인 산업협력 방안을 논의

    - 또한, 미국은 산업협력 외에도 경제, 안보, 외교 등을 주제로 하는 대화 채널들을 다양하게 활용하며 양자간 주요 분야 관련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해결

□ (산업 협력 강화의 장애 요인) 한국은 미국과의 산업 협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현 상황은 협력 강화에 불리한 상황

   o 한미간 산업협력 채널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은 매 정권때마다 시도되었으나 실질적인 효과는 기대 이하

    - 참여정부 당시 마련됐던 한미 산업협력위원회도 양국의 관심 부족으로 2010년 이후 부진한 상황

   o 이러한 부분은 한미간 산업 구조 상의 차이점에서 찾아볼 수 있음

    - 같은 산업에 대해서도 한국과 미국 기업들간의 가치사슬 상에서의 위치가 크게 달라 협력을 모색하는데 어려움 존재

    - 미국은 전통적인 제조업들은 아웃소싱 등을 통해 해외로 이전하는 경향이 크고 혁신 산업들을 새로이 미국 내에서 육성하는 반면, 한국은 전통 제조업 위주의 성장을 노리고 있어 양국간 차이는 더욱 멀어지고 있는 상태

   o 결국 양국간 협력할 수 있는 유망 업종을 발굴하고 이에 따른 협력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급선무

□ (한미간 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전략) 국가 간 대화 채널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참여국 확대 등 다양한 전략을 시도할 필요가 있음

   o 과거 한미 경제 관계는 제조업 내에서의 분업구조가 근간을 이룬 반면 이후 미국은 서비스 산업, 한국은 제조업 위주의 성장을 이루며 양국간 산업 간 차이 확대

    - 과거 한국은 미국 기업들로부터 선진 지식, 기술 및 경험들을 전달 받았으며 미국 역시 제조업 확장에 한국을 경제 파트너로 확보

    - 결국 경제성장의 주요 산업들의 차이가 벌어지며 양국간 산업협력 여건이 보다 어려워짐에 따라 협력 채널들의 실효성에도 문제로 작용

   o 미국의 경우 경제적으로 경쟁 관계에 있는 상대 국가라도 필요시 협력할 수 있는 외교력을 보유

    - 가장 큰 예가 EU와의 관계이며 지적재산권, 기술표준 등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슈 관련 글로벌 커뮤니티에서의 리더십 실현을 위해 EU와 관련 분야에서는 적극적으로 협력

신승훈 팀장(KOTRA):
미국의 대한 투자 현황 및 시사점

□ (미국의 대한 투자 현황) 역사적으로 미국의 대한투자는 90년대 말 크게 증가폭을 보인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감소 추세로 돌아선 이후 2011년을 기점으로 다시 성장하고 있는 상황

   o 외국환투자촉진법 상 투자금액은 신고액 기준으로 기록되며 신고금액은 계획 상의 금액이므로 투자가 다년간 이루어는 경우가 다수 존재

    - 신고액 및 도착액 기준으로 모두 2011년부터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15년 미국의 대한 FDI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

    - 신고건수 및 도착건수로 비춰보면 2000년대 초중반부터 완만한 하향세를 보이고 있으나 2014, 2015년에는 소폭 상승

    - 결국 건당 투자 규모가 이전대비 크게 확대된 것을 유추해볼 수 있음

    - 대한 투자 중 미국 비중은 2000년대 들어 EU에 뒤쳐졌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하지만 2015년 기준 중화권의 대한투자가 미국 투자 규모를 상회)

   o 미국의 대한 투자 중 가장 눈에 띄는 최근 동향은 2014년부터 제조업 투자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서비스업 투자가 크게 증가

    - 제조업 투자는 운송기계(자동차, 자동차부품, 항공 등)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화학공업 관련 투자도 일정 부분을 차지한 반면 전기전자 관련 투자는 과거 대비 감소

    - 서비스업 투자는 전반적으로 비즈니스서비스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2000년 초반 당시 금융보험 부문 투자가 일시적으로 증가했었던 것은 미국 시티은행의 한미은행 인수로 인한 것임

    - 또한, 비즈니스서비스 중 IT컨설팅 관련 투자 비중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한국의 IT산업 발전 현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음

    - 이와 더불어 한국 서비스 관련 시장의 성숙도가 아직 낮고 발전 단계도 미국 대비 더딘 점을 이용하여 시장 장악을 노리고 서비스업 관련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

첨부파일

목록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