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의 다양한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구독을 원하시면 구독하기 버튼을 이용해 주세요.구독하기
[KIEP Webzine] 다자적 기후클럽 확대 논의 동향과 시사점: 무역의 관점에서 /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작성일2023/08/02
조회수505
VOL.17 · NO.15 · 2023.8.2
발간자료
다자적 기후클럽 확대 논의 동향과 시사점: 무역의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무임승차와 탄소누출을 억제하기 위한 기후클럽의 요건을 바탕으로 최근 제시된 G7 기후클럽의 주요 내용과 쟁점을 파악하고 해당 논의 참여 방향을 검토했습니다. 해당 기후클럽은 독일이 G7 정상회담(2022년)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앞당기기 위해 제안한 협력체이며, 한국은...
더보기 >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미·중 갈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지정학적 갈등이 고조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기술·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마찰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마찰은 한 국가의 경제성장과 안보까지 위협하는 문제로 심화될 수 있어서 경제안보의 관점에서 분석해야 할 분야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더보기 >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인도는 2023년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인구 대국이 될 것으로 전망될 뿐만 아니라, 현재 세계에서 가장 젊은 국가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에도 인도는 견고한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러한 배경에는 인도의 거대한 인구수를 바탕으로 한 젊은 노동력에 대한 기대감을...
더보기 >
주요국의 탄소중립과 그린성장전략에 관한 연구: EU, 미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EU, 미국, 중국, 일본 등 세계 주요국 및 주요 지역의 그린성장전략을 개관하고, 핵심정책이라 할 수 있는 에너지전환(재생에너지·차세대 원자력 및 수소에너지), 녹색금융, 탄소가격제에 대한 주요국의 정책 및 제도 운용을 분석한 후 우리 정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습니다...
더보기 >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인도태평양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중국, 일본, 인도 등 주요 국가들은 남아시아 국가와의 긴밀한 경제협력 관계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자유, 평화, 번영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수립하여 인도는 물론 남아시아 지역 전반에 대한 협력의 틀을 마련하였습니다...
더보기 >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기존의 Mega FTA SPS에 대한 연구는 CPTPP SPS 챕터를 번역하고 이에 대비하여야 한다는 내용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본 연구는 최근의 FTA SPS 규범의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CPTPP뿐 아니라 2022년 2월 우리나라에서도 발효된 현존 최대 규모의 FTA인 RCEP SPS와 비교하였으며, 나아가 USMCA SPS...
더보기 >
영상보고서
영 상 보 고 서
미국도 중국도 “좋은 이웃” G2 관심 쏟아지는 ‘라틴아메리카’
이웃한 나라와 우호적 관계를 꾀하기 위해 취하는 정책, ‘선린외교’. 이 말은 1933년 프랭클린 루스벨트 당시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취임 연설에서 말한 “Good Neighbor”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더보기 >
글로벌 이슈브리핑
日-EU 정상 만났다.. 안보·경제 협력, 공급망 강화 논의
손원주 일본동아시아팀 연구원
2023년 7월 13일, 일본과 EU가 제29회 정상회담을 개최했습니다. 양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평화와 안보, 경제, 디지털, 에너지, 과학 분야를 비롯해 지속가능한 연결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더보기 >
중·러·인도 등 SCO 정상회의 참석.. “테러리즘 퇴치, 디지털 혁신” 강조
남궁아람 인도남아시아팀 연구원
지난 7월 4일 제23차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가 의장국인 인도의 주재하에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습니다. 2023년 새로 합류한 이란을 포함해 중국, 러시아 등 총 9개 회원국 외에도 벨라루스와 몽골이...
더보기 >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중국, 전기차 배터리의 공급과잉 우려와 전망
최재희 중국지역전략팀 전문연구원
최근 중국에서 개최된 전기차 및 배터리 컨퍼런스에서 관련 기업의 총수들이 전기차 배터리의 공급과잉 을 우려했고, 실제 관련 기업들이 주문량 감소 및 재고 부담을 겪고 있는...
더보기 >
제22차 COMESA 정상회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박규태 아프리카중동팀 연구원
2023년 6월 8일 제22차 동남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 정상회의가 잠비아의 수도인 루사카(Lusaka)에서 개최됐습니다...
더보기 >
공지사항
수요 조사
2023년 하반기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수요조사(~8/7)
더보기 >
채용
KIEP 정규직 연구원급 채용공고 (세계지역연구센터)(~8/3)
더보기 >
연구원 동정
제12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시욱 원장 취임(7/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제12대 원장으로 이시욱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가 취임하였습니다.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2023년 7월 20일(목) 오후 3시 세종시...
더보기 >
언론속 KIEP
기고
정성춘 부원장
“日 사례에서 본 우리의 태양광 발전 과제” 주제로 아주경제 기고
더보기 >
기고
연원호 경제안보팀 팀장“‘新다자간 수출통제’ 대비해야” 주제로 이투데이 기고
더보기 >
기고
장영욱 유럽팀 팀장“팬데믹의 상처가 미래를 바꾸려면” 주제로 한겨레신문 기고
더보기 >
인터뷰
오종혁 중국경제통상팀 전문연구원“중국 내 반도체 국산화 추진 현황과 대응 방안은?” 주제로 KTV 국민방송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