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의 다양한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구독을 원하시면 구독하기 버튼을 이용해 주세요.구독하기
[KIEP Webzine] 크레딧 스위스 위기 이후 유럽 은행 리스크 평가 / 일본 기시다 정부의 저출산 대책과 시사점 /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의 주요 내용과 대아세안 협력 전망
작성일2023/05/10
조회수488
VOL.17 · NO.9 · 2023.5.10
발간자료
크레딧 스위스 위기 이후 유럽 은행 리스크 평가
스위스 제2위 은행인 크레딧 스위스(CS)의 위기가 글로벌 은행망을 통해 유럽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크레딧 스위스의 위기는 구조적인 원인보다 개별 은행 차원의 문제(투자손실, 불법거래에 따른 비용발생, 뱅크런)에서 기인한 바가 크기 때문입니다...
더보기 >
일본 기시다 정부의 저출산 대책과 시사점
2022년 일본의 출생아 수가 80만 명 이하의 사상 최소치로 감소함에 따라, 기시다 정부는 향후 3년간 집중 추진하고자 하는 어린이·육아 정책인 ‘차원이 다른 저출산 대책’을 2023년 3월 말에 발표했습니다. 2022년 기준 일본의 출생아 수는 전년대비 5.1% 감소한 79만 9,728명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정부가 80만 명 이하로 될 것으로 예상한 ‘2030년’보다 8년이나 앞당겨진 것입니다...
더보기 >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의 주요 내용과 대아세안 협력 전망
최근 외교부는 인도-태평양 전략하에 새로운 대아세안 정책인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 Korea-ASEAN Solidarity Initiative)’의 이행계획을 발표했습니다. KASI는 한-아세안 중점 협력 분야와 한국판 인태 전략의 3대 비전인 ‘자유·평화·번영’을 연계한 8대 중점 추진과제로 구성됐습니다...
더보기 >
중국 LFP 배터리 공급망 분석 및 시사점
최근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LFP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가까운 미래에는 LFP 배터리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이 삼원계 배터리를 역전할 가능성도 대두됐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보급 속도가 빨라지면서 완성차 업체들은 전기차 대중화를 위한 보급형 모델을 출시하기 위해 LFP 배터리 탑재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중국' 추진전략의 주요 내용 및 평가
2023년 2월 27일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 공동으로 국가 디지털 전략 마스터플랜에 해당하는 ‘디지털 중국 건설규획’을 공개했습니다. 중국정부는 ‘디지털 중국’이 디지털 시대의 중국식 현대화를 주도하는 전략이며, 새로운 국가 경쟁의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반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
USMCA 자동차 원산지 규정 관련 분쟁 판정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USMCA 발효 후 승용차 및 경형 트럭의 역내가치포함비율(RVC) 계산 시 핵심부품의 생산에 사용된 비원산지 재료 가치의 역내산 인정 여부에 대해 멕시코와 미국 간에 견해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멕시코와 캐나다는 자동차의 RVC 산정 시 핵심부품이 원산지 지위를 획득하면 해당 부품에 사용된 비원산지 재료를 포함하여 핵심부품의 가치를 100% 역내산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더보기 >
미·중·러 전략경쟁 시기 러시아의 대중국 관계 발전과 정책 시사점
이 보고서는 미·중·러 전략경쟁의 본격화와 갈등의 심화 속에서 러·중 간의 전략적 관계 발전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입니다. 새로운 국제질서 형성 과정에서 러시아의 대중국 전략의 기본 방향과 의미, 분야별(정치, 외교, 안보, 군사, 경제, 사회, 문화) 협력의 세부 내용과 주요 특징을 분석하는 데 연구의 주된 목적을 두었습니다...
더보기 >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18년 미·중 간 관세부과로 격화된 미·중 경쟁 또는 갈등은 다양한 부문에서 관찰되고 있습니다. 무역 부문에서 촉발된 미·중 경쟁은 이제 기술, 가치 또는 이데올로기, 공급망 등의 영역으로까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더보기 >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중국 도시들은 녹색전환을 추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소형 태양광·풍력·바이오매스·지열 등의 다원화와 규모화를 통해 재생에너지의 소비 비중을 높이고, 지역 간의 녹색전기 거래 활성화를 통해 친환경에너지 보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과 시사점: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바이든 행정부의 반도체 및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 대한 미국 중심 공급망 재편 정책 추진 현황과 향후 전망에 관해 논의했습니다. 또한 동 연구는 글로벌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 공급망 현황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해당 산업 공급망 재편의 향방을 가늠해 봅니다...
더보기 >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본 연구는 김정은 위원장 집권 10년을 정권 승계기(2011년 12월~12년), 집권 1기(2013~17년), 집권 2기(2018~21년)로 구분하여 각 집권 시기별로 북한이 추진하였던 대외정책의 특징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경제의 변화 방향을 전망하는 것이 그 목적입니다...
더보기 >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15년 채택된 파리기후협정 이후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은 협약국의 평균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수준(pre-industrial levels) 대비 2℃ 이하보다 낮게 유지하고, 앞으로의 온도 상승 폭은 1.5℃ 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더보기 >
기후변화에 따른 아프리카·중동의 식량 안보 위기와 한국의 협력방안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에 따라 글로벌 농식품 공급망이 붕괴하면서 특히 아프리카·중동의 식량안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제사회가 전쟁보다 더 주목하는 것은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안보 위기 쪽으로, 실제로 가뭄, 홍수, 열해와 같은 기상이변이 빈번해지면서 아프리카 및 중동 내 식량 수급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더보기 >
중국의 녹색금융 발전전략과 주요내용
중국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녹색산업 발전에 녹색금융의 활용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적극적으로 녹색금융 시장 형성을 추진하는 국가입니다. 중국은 2016년 「녹색금융 시스템 구축에 관한 지도의견」이라는 녹색금융 시장 구축 관련 강령성 문건을 발표하고, 녹색금융을 환경개선과 기후변화 대응, 그리고 경제활동의 자원 고효율 사용을 위한 환경보호, 신재생에너지, 그린(Green) 인프라 건설 등의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금융서비스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
공공기관 ESG 현황과 경영전략: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연기금 등 금융기관의 투자 관점에서 시작된 ESG는 투자 대상 기업들에 지속가능한 경영을 유도해 글로벌 기업들의 경영 트렌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최근에는 민간기업뿐 아니라 공공기관으로도 ESG 경영이 확산돼 한국의 공공기관 경영평가에도 반영되고 있습니다...
더보기 >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3년은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수교를 맺은 지 5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지난 50년간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인 협력 관계를 다져왔습니다. 양국은 2006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을 통해 포괄적 협력 확대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2017년에는 양자 관계를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였습니다...
더보기 >
영상보고서
KIEP-Perspective
미·중·러가 모두 구애하는 나라? 글로벌 ‘스위트 스팟’으로 떠오르는 인도
현재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IBM과 어도비 CEO들의 모국이자 전 세계에서 IT엔지니어링 및 소프트웨어 기술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국가 중 하나, 올해 세계 1위의 인구 대국이 될 나라이자 생산가능인구가 무려 전체 인구의 60% 이상인 나라. 미·중 갈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전 세계가 다시 블록화된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 러시아 모두로부터 러브콜을 받는 나라. 바로 인도입니다...
더보기 >
영 상 보 고 서
우리나라 ‘탄소중립’ 달성에 꼭 필요한 파트너, 인도
14억 명의 인구 대국, 인도. 이 나라 사람들의 사망 원인 1위가 뭔지 아시나요? 바로 ‘대기오염’입니다. 지난 2019년 인도에서 대기오염 관련 질환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은 총 사망자 가운데 17.8%, 무려 167만 명에 이릅니다. 인도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육성에 사활을 걸고 있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더보기 >
글로벌 이슈브리핑
위안화, 달러패권 도전? 中-브라질 무역 결제 시 위안화 사용
김영선 중국경제통상팀 전문연구원
지난 4월 14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중국-브라질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간 위안화를 활용한 무역 거래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중국과 브라질은 올해 초부터 위안화 거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실무 협의를 진행해왔습니다...
더보기 >
‘美 돌풍’ 中 전자상거래 기업에 제재 가능성 커져
김홍원 중국지역전략팀 전문연구원
최근 미국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중국의 전자상거래 기업에 대한 제재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대중국 정책에 관해 실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두 기관에서 중국의 대형 이커머스 기업의 강제노동과 데이터 보안 관리 등을 문제 삼고 나선 것입니다...
더보기 >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중국 태양광 제품 수출 사상 최대치 기록
김주혜 중국지역전략팀 전문연구원
최근 중국태양광산업협회의 발표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태양광 제품(웨이퍼, 셀(태양전지), 모듈) 수출액이 전년대비 80.3% 증가한 512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태양광 제품별 수출액(수출량)은 웨이퍼 약 51억 달러(36.3GW), 셀 38억 달러(23.8GW), 모듈 424억 달러(153.6GW)이고, 이중 모듈이 전체 수출액의 약 82%를 차지했습니다...
더보기 >
공지사항
채용 공고
KIEP 정규직 연구원급 채용공고
더보기 >
언론속 KIEP
기고
김흥종 원장
“새로운 관계로 접어든 한미동맹” 주제로 머니투데이 기고
더보기 >
인터뷰
김흥종 원장“내년 초까지는 우크라 전쟁 상수로 두고 정책 세워 집행해야” 주제로 국민일보 인터뷰
더보기 >
기고
정성춘 부원장“각자도생의 세계경제 …초심으로 돌아가자” 주제로 아주경제 기고
더보기 >
기고
연원호 경제안보팀 팀장“한미 정상회담, 가려진 성과에 주목해야” 주제로 이투데이 기고
더보기 >
인터뷰
연원호 경제안보팀 팀장“尹, 5박 7일 국빈 방미 마치고 귀국...성과와 과제는?” 주제로 YTN 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