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식

[오피니언] 중국통(通) 금융전문가 시급하다

  • 언론사
  • 저자이창영 초청연구위원
  • 게시일2007/12/03 00:00
  • 조회수4,307
 사회주의의 금융제도 이해는 필수

韓·中 FTA 대비 인력양성 나서야

얼마 전 서울에서 개최된 세계지식포럼(World Knowledge Forum)은 21세기 미래의 부를 창출할 다섯 가지 키워드로 ‘아시아, 금융, 모바일, 인재육성과 리더십, 기후변화와 에너지’를 제시하였다. 이는 5대 키워드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개인과 사회 및 국가의 부의 크기가 결정된다는 뜻이다.

우리 정부는 금융강국을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상하여 왔고, 금융회사 국외진출을 지원하는 정책을 계속 발표해 왔다. 국내 금융회사도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이머징마켓 진출을 최대 화두로 삼고 있다. 아울러 내년에 신정부가 들어서면 한·중 FTA를 논의할 것에 대비하여 상품분야뿐만 아니라 금융분야를 포함한 서비스 부문 개방에 대한 대책을 강구 중에 있다.

그러나 한·중 FTA 협상에 대비하여 금융서비스 부문을 연구하고 있는 필자의 입장에서 볼 때 몇 가지 걱정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향후 협상 과정에서 중국이 가장 취약하다고 여기는 금융시장을 우리에게 먼저 개방할 것인가 하는 점도 의문시되지만, 설사 그들이 개방해 준다 하더라도 과연 그 개방의 과실을 챙길 수 있는 중국금융 전문가가 우리에게 있는가 하는 점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중국금융을 사회주의체제하의 후진 금융으로 경시하여 이를 전공한 전문가의 숫자가 손꼽을 수 있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여기에서 중국금융에 특화된 전문가의 필요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이 가지고 있는 사회주의 시장경제하의 특유한 금융제도를 자유주의 시장경제의 금융이론으로 접근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즉 대다수 금융회사들은 정부 소유로 되어 있고 금리·환율·주가 등 가격결정에 정부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해외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현지어의 구사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영어 사용을 꺼리는 중국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현지어를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면 온전한 시장침투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중국 기업과 중국 개인을 상대로 하는 소매금융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셋째, 중국에서의 진정한 경쟁력은 현지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가운데 형성된다. 많은 비즈니스가 ‘관시’(關係)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면 현지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은 실력에 못지않은 중요한 무기가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근 설립된 한국과학기술원 금융전문대학원 내에 중국금융전문가 과정을 별도로 개설하거나 은행·증권·보험 등 금융인재를 양성하는 해당 연수원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물론 중국 현지에서의 인재양성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선 금융회사들의 빠듯한 인력운용으로 여의치 않다면 금융MBA 과정을 이미 개설 운용하고 있는 베이징대, 칭화대 등 중국 대학과 연계하여 과정을 개설하고 온라인이나 주말을 이용하여 교육을 실시한다면 현지에서의 연수기간을 최대한 줄이면서도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전개될 중국과의 금융 경쟁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시기보다 훨씬 빨리 다가올 것이고 승리의 관건은 누가 보다 우수한 핵심인재를 많이 확보하고 있는가에 달려 있다.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지원하는 정부의 역할이 아쉽다.


목록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