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식

“한반도와 동북아의 새로운 정세 변화 속 문재인 정부의 대외정책 과제와 추진전략 논의”

  • 작성일2018/05/21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1,301



“한반도와 동북아의 새로운 정세 변화 속
문재인 정부의 대외정책 과제와 추진전략 논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서울 전경련회관에서 “문재인 정부의 대외정책 과제와 추진전략: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와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중심으로” 세미나 개최
- 문재인 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아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와 한반도 신경제구상의 성과 및 과제를 점검하고 정책적 시사점 모색
- 이재영 KIEP 원장, 남·북·러 3자 국책연구기관 간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연구 제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이재영)은 5월 21일(월) 서울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문재인 정부의 대외정책 과제와 추진전략: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와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아 KIEP와 한겨레통일문화재단이 공동 주관하고 기획재정부·한겨레신문·SBS가 후원한 본 세미나는 한반도와 동북아의 새로운 정세 변화 속에서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와 한반도 신경제구상의 성과와 과제, 향후 추진전략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자 마련되었다. 향후 우리나라의 대외정책 추진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도 함께 모색하고자 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재영 KIEP 원장을 비롯해 정세현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이사장, 강준석 해양수산부 차관이 참여해 각각 개회사, 환영사, 축사를 진행했다. 한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한반도 신경제구상과 관련하여 남북관계의 현황 및 협력과제를 설명했다.

  이재영 KIEP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글로벌 경제 질서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한국이 신경제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한반도와 동북아에 평화와 번영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북방과 남방 지역’ 국가들과의 경제협력 및 연계성 강화를 통한 새로운 활로 개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월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제시한 남·북·러 협력 사업에 대한 공동연구 제안에 부응하기 위해 3자 국책연구기관 간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연구를 제안했다. 이를 토대로 남·북·러 경제협력의 실효성과 지속가능성을 제고해야 한다고도 밝혔다.

  또한 이재영 원장은 신북방과 신남방 협력, 한반도 신경제구상 관련 양자 및 다자 포럼과 전략대화의 재정비를 위해 구체적인 실천방안 마련을 제안했다.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기반 조성, 신북방과 신남방 정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 양자 및 다자 협의 채널에 대한 종합 점검과 전면 재정비, 내실화 작업을 우선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별세션(라운드테이블)에서는 문정인 대통령외교안보특보가 사회를 맡고 송영길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이 ‘동북아 정세변화와 신북방정책’에 대해 기조발제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정책과 남북협력의 미래’를 주제로 패널 간 자유 토론을 통해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김연철 통일연구원장, 이재영 KIEP 원장, 이희옥 성균관대 중국연구소 소장, 조동호 국가안보전략연구원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오후에는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와 한반도 신경제구상에 대한 총 세 개의 세션이 진행되었다. 각 분야 최고 전문가의 발표 및 토론을 통해 한반도 정세변화에 따른 신북방, 신남방 정책과 더불어 한반도 신경제구상의 성과 및 과제, 추진전략을 종합적으로 점검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마상윤 외교부 외교전략기획관, 황재호 한국외대 교수, 성원용 인천대 교수, 박번순 고려대 교수, 조봉현 IBK 연구소 부소장, 강태호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이사, 양평섭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 조충제 KIEP 연구조정실장, 곽성일 KIEP 신남방경제실장, 박정호 KIEP 신북방경제실장 등 국내 유수의 전문가들을 비롯해 정부기관, 주한 외국공관, 기업, 언론, 학계 등에서 200여 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와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중심으로 문재인 정부의 대외정책 과제와 추진전략에 대해 국내 핵심 전문가들이 한자리에서 논의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본 행사는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된다.

붙임. 세미나 프로그램
별첨. 세미나 사진

목록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