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식

KIEP, 신흥시장 중심지 중남미 지역과의 경제협력 강화 모색

  • 작성일2022/11/25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3,535



KIEP, 신흥시장 중심지 중남미 지역과의 경제협력 강화 모색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중남미협회·한국무역협회·해외건설협회·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산업통상자원부와 「제26차 한·중남미 비즈니스 포럼」 개최
- 수교 60주년을 맞아 한-중남미 경제협력 성과와 미래 진단…급변하는 세계와 중남미 지역 정치·경제·통상환경을 고려한 비즈니스 기회 모색
- 김흥종 KIEP 원장, “글로벌 대전환 시대에 한-중남미 수교 60주년을 맞아 경제안보 강화를 위한 협력 확대 등 양 지역 간 새로운 협력 기회 발굴하는 자리 되길 희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김흥종)은 한·중남미협회(KCLAC), 한국무역협회(KITA), 해외건설협회(ICAK),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11월 25일(금) 오전 9시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 파크볼룸에서 「제26차 한·중남미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한국-중남미 수교 60주년 경제협력 성과 및 과제 △2023년 중남미 정치, 경제 및 통상환경 점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비즈니스 기회 △중남미 건설·플랜트 시장진출 방안 등에 대하여 전문가의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김흥종 KIEP 원장은 개회사에서 “전 세계가 보호주의 강화와 공급망 재편 등으로 위축되고 첨단 기술을 둘러싼 국가 간 대립이 격화되면서 국제협력의 분위기가 약화되는 가운데, 한·중남미 수교 60주년을 맞이하여 경제안보 강화를 위한 협력 확대를 포함하여 한국과 중남미 간 새로운 협력관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흥종 원장은 “이번 포럼이 글로벌 대전환 시대 중남미의 변화를 전망함으로써 한국과 중남미 간 협력의 기회를 발굴하는 자리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김현철 한국무역협회 글로벌협력본부장은 환영사를 통해 “한국과 중남미는 지난 60년간 무역, 투자, FTA 네트워크 등에서 양적·질적 발전을 이루었다”고 언급하고, “이를 발판으로 전자상거래, 서비스, 콘텐츠, 경제안보 분야(광물, 식량, 에너지), 디지털 및 그린 전환 등 양측이 강점을 지닌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 파트너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1부에서는 한병길 한·중남미협회장의 사회로 “한·중남미 수교 60주년”을 평가하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기예르모 메레디스(Guillermo Merediz) 아르헨티나 외교통상종교부 무역투자진흥차관보는 “한·아르헨티나 경제협력 60주년 및 미래”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풍부한 천연자원, 우수한 인적자원, R&D 및 지식기반 서비스산업 등에서 장점을 지닌 아르헨티나가 급변하는 대전환기에 한국의 주요 협력 상대국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페데리코 쿠에요 까밀로(Federico Cuello Camilo) 주한 도미니카공화국 대사는 “한국과 중남미는 다음 60년을 준비해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고성장세, 최적 지리적 위치, 다각화한 수출 구조 등의 장점을 지닌 중미통합체제(SICA) 회원국이 한국에게 최적의 협력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또한 한국과 SICA 회원국은 경제안보, 경제회복, 기후변화 등 공동의 도전과제에 직면하여 공급망 복원, 에너지 전환, 니어쇼어링, 광업의 산업화를 통해 공동 대응함으로써 다음 60년을 발전시킬 수 있다고 역설했다.

  이권형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의 사회로 진행된 제2부에서는 “2023년 중남미 정치·경제 통상환경 점검”을 주제로 중남미 지역의 경제전망, 주요 이슈, 정세, 양 지역 간 협력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먼저 이승호 KIEP 부연구위원“2023년 중남미 경제 전망과 핵심 이슈”에서 대외적 요인에 크게 좌우되는 중남미 경제가 팬데믹의 영향에서 벗어나 회복되다가 글로벌 긴축과 지정학적 요인으로 침체 중임을 지적하며, 거시경제 정책적 수단을 활용한 경기부양의 한계, 주요 수출품인 원자재 수요 및 가격 하락, 주요국의 정치 양극화와 사회불안 등이 경기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양호인 로제타법률사무소 변호사“역내 정세 및 법체계가 가지는 함의”를 주제로 한-중남미 간 협력 가능 분야를 제시했다. 특히 중남미 지역의 법적체계에 대한 이해 제고와 더불어 시장진출 방식, 계약, 국제중재 등 기업들의 현지 진출 시 고려해야 할 다양한 법률적 정보를 제공했다.

  권기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제3부는 최근 세계적으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비즈니스 기회를 포착하는 시간이었다. 홍성우 KIEP 부연구위원은 “경제안보 측면에서 한국은 안정적이고 중복적인 공급망을 구축해야 하는데, 배터리 제조에 필수적인 리튬화합물의 경우 중국과 칠레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고 지적하면서 “한국의 리튬화합물 생산 역량 제고와 리튬 확보를 위한 해외 자원개발 및 탐사에서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알레한드로 알바레스(Alejandro Alvarez) Americas Market Intelligence 공동이사는 중남미 국가들이 자원에너지 분야에서 공급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중남미 지역은 에너지 전환에 필요한 다양한 광물을 보유하고 있어 발전 가능성이 높고, 안정적인 자원에너지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한국 기업들에게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해외건설협회 주관으로 진행된 제4부는 중남미 지역 발전을 위해 가장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는 인프라 부문에서의 협력 기회를 발굴하는 시간이었다. 먼저 신원진 중미경제통합은행(CABEI) 한국사무소 대표는 CABEI 가입과 FTA 체결로 확실한 협력 인프라를 구축한 중미지역과의 협력을 제안했다.

  이승훈 한국수출입은행 해외사업총괄부 부부장은 중남미 인프라 시장진출의 최대 걸림돌인 자금 문제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한국수출입은행의 수출금융제도 활용을 적극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김경윤 포스코건설 플랜트사업본부 차장은 자사의 중남미 시장진출 성공 사례를 소개하면서, “기업의 전략적 시장접근 방법도 중요하지만, ESG의 중요성을 항상 인지하며 이를 준수하는 것이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별첨. ‘제26차 한·중남미 비즈니스 포럼’ 웹초청장

/끝/

목록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