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전문가 회의 결과 (19.07 이전)
AfCFTA의 출범과 주요국의 대아프리카 협력동향 / 국제보건분야에서의 혁신과 기술의 활용: 아프리카에서 보건의료산업의 역할과 기회
- 작성일2019/04/02
- 분류아프리카
- 조회수12,841
I. 개 요
1. 제목: AfCFTA의 출범과 주요국의 대아프리카 협력동향 / 국제보건분야에서의 혁신과 기술의 활용: 아프리카에서 보건의료산업의 역할과 기회
2. 일시 : 2019. 03. 15. (10:00~13:30)
3. 장소 : 뉴서울호텔
4. 발표자 :
- (1-1) 전홍민 (한국개발전략연구소 이사)
- (1-2) 이훈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객원교수)
5. 참석자
- 원외 참석자
성 명 | 소 속 | 직 책 | 참석사유 및 역할 | |
[위 촉] | ||||
1 | 안세진 | 산업통상자원부 중동·아프리카통상과 | 과장 | 전문가풀 위원 |
2 | 정현정 | 외교부 아프리카과 | 과장 | 전문가풀 위원 |
3 | 최연호 | 한·아프리카재단 | 이사장 | 전문가풀 위원 |
4 | 김기연 | 한·아프리카재단 | 이사 | 전문가풀 위원 |
5 | 이미숙 |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 조교수 | 전문가풀 위원 |
[비위촉] | ||||
7 | 전홍민 | 한국개발전략연구소 | 이사 | 발표 |
8 | 이훈상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객원교수 | 발표 |
9 | 홍순래 | 나노포커스레이 | 부사장 | 보건의료산업 관련 토론 |
10 | 고경원 | 나노포커스레이 | 이사 | 보건의료산업 관련 토론 |
11 | 방호경 | 한국개발연구원 국제개발협력센터 개발연구실 | 실장 | 아프리카 협력 관련 토론 |
12 | 김야야 | 한국전략개발연구소 지속가능개발팀 | 팀장 | 아프리카 협력 관련 토론 |
13 | 도영아 | KOICA 동아프리카실 | 실장 | 보건의료산업 관련 토론 |
14 | 김석범 | KOICA 동아프리카실 | 과장 | 보건의료산업 관련 토론 |
- KIEP 참석자
성 명 | 소 속 | 직 책 | 참석사유 및 역할 | |
1 | 박영호 | 아프리카·중동팀 | 연구위원 | 전문가풀 위원 |
2 | 정재욱 | 아프리카·중동팀 | 부연구위원 | 전문가풀 위원 |
3 | 김예진 | 아프리카·중동팀 | 전문연구원 | 전문가풀 위원 |
4 | 유광호 | 아프리카·중동팀 | 연구원 | AfCFTA 관련 토론 |
5 | 이효진 | 중국팀 | 연구원 | AfCFTA에서 중국의 역할 토론 |
II. 주요 논의 사항
1-1) 발제내용: AfCFTA의 출범과 주요국의 대아프리카 협력동향
□ AfCFTA(African Continental Free Trade Area)는 55개의 아프리카연합 회원국을 아우르는 세계 최대의 자유무역지대로 90%의 상품에 대한 관세철폐와 10%의 민감 및 예외 품목에 대한 단계적 관세 완화를 목표로 함.
- NAFTA, EU 및 ASEAN보다 회원국 수는 많으나 GDP 규모는 $2.5조로 가장 작음.
- 2015년에 협상을 개시한 이후 현재 52개국이 AfCFTA 협정에 서명하였고 19개국이 비준하여 2019년 7월경 공식 발효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AU 회원국들은 AfCFTA를 통해 역내 교역을 활성화하고 아프리카의 산업화를 이룩하고자 함.
- 아프리카의 역내 교역 비율은 전체 교역 규모의 13% 수준으로 유럽(70.6%), 아시아(52.8%), 북미(48.3%), 중남미(26.7%)보다 현저하게 낮음.
- 대외교역의 경우 자원 관련 수출품의 비중이 매우 높지만, 역내 교역품은 비자원 관련 품목의 비중이 더 높아 아프리카 내에서 무관세로 교역이 가능할 경우 아프리카의 산업화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됨.
□ AfCFTA의 주요 수혜예상국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로 이집트, 코트디부아르, 케냐 및 남아공이 가장 많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됨.
- 시장규모, 구매력, 외국인 투자 선호도, 역내 수출 규모, 물류 인프라 수준 및 기업환경을 주요 선정기준으로 구분함.
- 상위 4개국은 내수시장 규모가 확보되고 투자 매력도가 높으며 물류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잘 갖춰져 있는 국가임.
□ 이러한 변화 속 미국, 중국, 일본 등의 주요 우방국뿐만 아니라 인도 및 터키 등의 신흥지역에서도 아프리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음.
- 미국은 기존의 개발협력 및 안보 중심의 협력관계에서 투자 및 교역 대상 지역으로 아프리카를 바라보고 있음.
ㅇ 포럼 형태로 개최되던 연례 교역 및 투자 포럼이 정상급으로 격상하여 투자 및 교역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함.
- 중국은 Forum on China-Africa Cooperation (FOCAC)을 통해 투자다각화, 산업단지 건설 및 금융협력을 지원하고 있으며 AfCFTA와 일대일로를 연계하여 구상하고 있음.
- 일본은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응하는‘Free and Open Indo-Pacific’ 전략과 Toky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frican Development (TICAD)를 통해 아프리카와 개발협력 및 경제협력 안건들을 논의하고 있음.
ㅇ 특히 기존의 EPA(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방식에서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방식으로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협력 방식 변화가 두드러짐.
- 인도 및 터키의 對아프리카 교역 및 투자 규모는 지난 10년간 크게 증가하였으며 각국의 지도자들도 적극적으로 아프리카를 방문함으로써 아프리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자 하고 있음.
ㅇ 모디 총리와 에르도간 대통령은 각각 3개국과 15개국을 방문함.
ㅇ 인도는 AfCFTA와 FTA를 체결하고자 희망하였으며 터키도 작년 터키-아프리카 포럼을 통해 AfCFTA출범에 따른 터키와의 협력을 논의함.
□ 한국도 AfCFTA 출범에 대비하여 대응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특히 주요 수혜예상국을 중심으로 생산기지 구축을 검토하고 PPP 형태의 협력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PPP 형태의 투자모델로 전환하고 PPP 투자를 지원할 수 있는 금융 방안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1-2) 발제내용: 국제보건분야에서의 혁신과 기술의 활용: 아프리카에서 보건의료산업의 역할과 기회
□ 현재 아프리카의 보건의료산업은 크게 낙후되어 있음.
- 전 세계 감염 질병 중 71%가 아프리카에서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년 GDP의 5% 미만만이 보건의료에 사용되고 있음.
□ 의료기기의 범위는 굉장히 넓고 사용하는 기관에 따라 사용 용도와 규모가 다름.
- 의료기관은 보건소, 일반 병원 및 주립/전문 병원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의료기기는 가장 작은 주사기부터 병상 침대와 같은 의료가구, MRI 기기 등의 복잡하고 큰 기기까지 그 범위가 매우 넓음.
- 특히 WHO에서는 최근 연구실 장비 또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필수적인 장비로 보고 보급을 강조함.
□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의 활용이 늘고 있음.
- 밀레니엄개발목표(MDGs)는 일차적인 보건 개선 목표를 가지고 있었던 반면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는 전염병과 만성질환을 줄이기 위한 예방, 진단, 치료, 완화, 지원 등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있어 보다 선진적인 진단 및 치료 장비가 필요함.
- 여러 개발도상국에서 모바일을 활용하여 보건 정보를 공유, IoT 기술을 활용하여 저온 유지망(Cold Chain Management)을 관리하는 등 모바일 헬스케어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음.
ㅇ 특히 2018년 세계보건총회에서도 디지털 보건이 주요 의제로 논의되는 등 국제사회에서도 이를 활용하여 개발도상국에 적합한 적정기술의 개발 및 활용을 강조하고 있음.
□ 한국 기업들도 선진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 증가로 진출 기회가 늘고 있음을 인식하고 아프리카의 특성에 맞는 의료기기들을 개발하고 있음.
- 힐세리온은 세계 최초로 무선 초음파기기를 개발하여 초음파기기의 구매 비용을 1/10수준으로 줄이고 보급을 용이하게 함.
ㅇ 힐세리온은 한국 최초로 유엔프로젝트 조달기구(UNOPS)에서 시행한 초음파 진단기 입찰에 성공하여 가나지역의 휴대용 초음파 공급 낙찰자로 선정됨.
ㅇ 하버드의대에서도 힐세리온의 기술력을 인정, 미국의 국립보건원이 후원하는 아프리카 내 초음파 진단시스템 보급 프로젝트에 힐세리온과 함께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함.
- 삼성도 모바일 초음파 기기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삼성 태블릿을 가나에 무상으로 지원하여 보건 환경 개선 노력의 효과를 높임.
- 또한 3D프린팅 기술, 스마트 약상자 등의 기술로 한국 기업들이 아프리카 및 중동에 진출하고 있음.
□ 아프리카는 향후 구매력과 인구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으로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도 이에 따라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임.
- 2020년에 아프리카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100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보임.
ㅇ 특히 1인당 GDP가 상대적으로 높은 남아공이나 이집트뿐만 아니라 나이지리아와 가나, 그리고 여러 동아프리카 국가에서 의료기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임.
□ 한국이 이러한 시장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각 의료기관의 규모에 맞는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아프리카의 의료기관들은 보건소, 일반 병원, 주립 병원 규모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의 필요가 달라 이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 또한 아프리카에서 의료기기의 가격은 예민한 문제로 GE와 같은 고가의 의료기기와 중국산 저가 의료기기 사이에서 적절한 위치 선정이 필요함.
ㅇ 중국산 저가형 의료기기에 대한 불신이 있어 반드시 가격이 낮다고 하여 유리한 것은 아니라고 봄.
- 의료기기 시장은 초기시장 진입자가 상당히 유리하기 때문에 빠르게 진출할 필요가 있음.
2) 토론 내용
□ (안세진 산업통상자원부 아프리카·중동통상과 과장) AfCFTA가 7월에 발효될 경우 90%의 상품에 대해 관세가 바로 인하되는 것인지 궁금함.
- (정재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아프리카·중동팀 부연구위원) 그렇지는 않음. 현재 사무국 설립을 위한 협상 중에 있으며 비준국들은 상품의정서를 제외하고 비준하는 것임.
□ (이미숙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교수) 만약 거점국가들 중심으로만 기업들이 진출하게 되면 시장이 중심국가로 흡수되어 주변 국가들은 성장하지 못할 가능성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
□ (최연호 한·아프리카재단 이사장) 아프리카의 전자상거래 시장 발전과 항공 산업도 심도 있게 관찰할 필요가 있음.
- 나이지리아의 주요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쥬미아(Jumia)는 곧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할 예정임.
- 항공 산업의 경우 남아공, 에티오피아, 케냐 항공사를 중심으로 아프리카의 허브가 되고자 하는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중동 및 터키 항공사들도 적극적으로 아프리카 출항 도시 수를 늘리고 있음.
ㅇ 한국은 과거 케냐로 직항 노선을 운항한 적 있으나 수요부족으로 폐지됨.
ㅇ 현재는 모리셔스와 항공협정을 맺고 코드셰어 형식의 직항 운항을 추진 중에 있음.
□ (최연호 한·아프리카재단 이사장) 탄자니아는 아프리카 동남부 지역에 위치한 30여국에 제약제품 및 의료기기를 조달하는 창구 역할을 맡고 있어 주요 진출 거점으로 볼 수 있음.
□ (이훈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르완다에서 드론 사업에 성공한 스타트업 기업 Zipline의 경우 단순한 드론 사업이 아닌 물류시스템 망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고려하였기 때문에 성공함.
- Zipline은 태블릿 하나로도 드론을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르완다의 상황에 맞는 물류시스템 망을 구축한 것임.
- 국내기업들도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구축 차원에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고 이런 접근을 할 수 있는 지원체계가 필요함.
□ (홍순래 나노포커스레이 부사장) 아프리카 국가들의 물류망이 구축되면 망을 통해 비료 등도 드론으로 운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태블릿을 활용하여 부가 제품을 개발하고 보급한 사례와 같이 기술 중심적 사고가 아닌 서비스 중심적 사고의 전환이 필요함.
□ (고경원 나노포커스레이 이사) 한국 기업들의 기술력은 세계 최고이나 이를 상용화할 수 있는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 한국의 한 기업은 AI를 활용해 상품의 무게와 목적지, 크기 등을 자동으로 고려하고 그 순서대로 비행기에 적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나 한국 정부의 지원이 아닌 해외 정부의 지원을 받아 상업화함.
- 기업들이 기술을 상용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술이 적용될 현장에 직접 가서 보고 경험해야 함.
□ (안세진 산업통상자원부 아프리카·중동통상과 과장) ODA를 통한 지원보다는 자체적인 수익창출 구조를 가진 기업 육성 사례는 없는지 의문임.
- (홍순래 나노포커스레이 부사장) 아프리카에서는 관개 시설 확충이 어려운데 옛날 한국에서 사용하던 것과 같은 발 펌프를 적정기술로 개발하여 현지투자은행의 투자를 받아 상업화 한 사례가 있음.
- (박영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아프리카·중동팀 연구위원) 해외의 다른 원조기관, 특히 유럽의 원조기관에서는 다자기구, ODA, 펀드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수익을 내는 원조 사업을 추구하고 있음.
- (정현정 외교부 아프리카과 과장) 원조기관에서 제품 검증을 통해 수익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음. 아이템이 좋다면 충분히 기업이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로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함.
- (김기연 한·아프리카재단 이사) 국내의 많은 젊은이들이 취창업에 도전하고 있으며 화장품이나 핀테크와 같이 ODA와 연관이 없는 진출 성공 사례들이 있음.
□ (도영아 한국국제협력단 동아프리카실 실장) 아프리카에서는 여전히 많은 규제가 존재하나 다양한 아프리카 국가에서 제약·의료 분야를 육성시키기 위해 여러 특혜를 주고 있어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진취적인 기업자세가 필요함.
- 앞으로는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수출이 활발해질 것이며 소득증대로 인한 여러 수요가 생길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트렌드와 필요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
□ (전홍민 한국개발전략연구소 이사) 아프리카에 진출할 때 개발협력과 경제협력 간의 조율이 항상 개인적인 고민으로 자리하고 있음.
- (박영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아프리카·중동팀 연구위원) KOAFEC, KOAFIC 및 외교부 주최 한-아프리카 회의를 통합하여 한·아프리카재단이 관리하도록 하면 보다 종합적인 접근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라-2 발표자료_이훈상.pdf (7.03MB / 다운로드 696회)다운로드
-
라-1 발표자료_전홍민.pdf (1.71MB / 다운로드 605회)다운로드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