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식

KIEP, 동북아 경제협력체 구상 제시

  • 작성일2006/03/08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4,455
담당: 이창재 동북아경제협력센터 소장 (TEL: 3460-1230)


▣ 우선 당장 동북아 경제공동체 실현이 어려운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동북아경제협력을 증진시켜 나가기 위해 동북아 경제협력체 추진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는 유럽연합(EU)과는 달리 동북아 지역의 현실이 당장 경제공동체를 추진하기에는 아직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李景台)은 2006년 2월 『동북아 경제공동체실현을 위한 단계적 추진전략』보고서를 발간, 이같이 지적하고 동북아 경제협력체를개념상으로 ① 공식적 경제통합 면에서 동북아 FTA와 ② 역내국의 정부간 협의기구인 동북아 경제협의체라는 양대 기둥으로 설명하고 있다.
▣ 이 보고서는 오는 2020년까지를 목표 시한으로 잡고 동북아 경제협력체의 구성요소인 동북아 FTA와 동북아 경제협의체를 축으로 동북아 경제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별 추진전략과 함께 한국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 또 가까운 시간내에 동북아지역에서 초국가적 집행기구 구성이 어렵기 때문에 동북아 경제협력체란 개념을 통해 정부간 협의기구를 지향하지만, 법적 구속력을 가진 동북아 FTA를 통해 단순한 지역국가간 협의기구를 넘어서 지역협력체 위상을 가진다고 평가했다.
첨부파일

목록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