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원소식

Korean Crisis and Recovery

  • 작성일2002/12/03
  • 분류보도자료
  • 조회수2,738
▶작성 : 국제거시금융실 김세직 초청연구위원 ☎ 3460-1209 ■ 오는 12월 3일로 우리나라는 3년간의 IMF구제금융프로그램을 시작한 지 5주년을 맞이함.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安忠榮)은 한국의 외환위기와 IMF 프로그램하에 실시된 정책들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본격적인 평가서 Korean Crisis and Recovery를 IMF와 공동으로 출간하였음. ■ IMF 3년 프로그램이 종결된 후 1997-98년 경제위기와 그 극복과정에 대해 엄밀하고 과학적인 평가를 내리고, 이를 통해 장래에 닥칠지 모를 또다른 위기의 발생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필요한 교훈들을 얻으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KIEP/IMF는 2001년 5월 서울에서 한국의 위기, 정책 및 회복에 관한 컨퍼런스를 공동으로 개최하고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평가서를 발간하였음. ■ 본서의 공동편집자 David T. Coe 박사(IMF 아태국 부국장)와 金世稙 박사(IMF이코노미스트/KIEP초청연구위원)가 주요한 목표로 삼은 것은 과학적 분석에 따른 객관적이고 엄밀한 연구 및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 잡힌 시각의 유지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 두 가지 사항에 특히 초점을 맞추었음. 첫째, 위기당사자인 한국 경제학자들과 외국 경제학자의 논문을 각각 절반으로 구성하여 한국위기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들이 주로 외국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던 그 동안의 불균형현상을 벗어나 한국학자들의 시각과 지혜를 충분히 담고자 하였고, 둘째, IMF정책에 비판적인 경제학자들의 논문에서부터 정책결정이나 집행 등에 참여하였던 IMF, 세계은행, 한국 정부관리의 논문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각을 가진 논문들이 발표되도록 함으로써 한국위기 및 IMF 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균형잡힌 분석과 조망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하였음. ■ 2년 반에 걸쳐 준비된 본서는 한국위기와 정책들에 대해 국내외의 최고전문가들이 오랜 시간 연구하고 토론한 결과를 통해 얻어진 노력의 산물로, 13편의 연구논문들과 이에 대한 토론들로 구성되어 있음.
첨부파일

목록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