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정책연구브리핑
김초롱
-
전후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국제 논의와 한국기업 참여 가능성 연구
▶ 본 연구는 전후 재건의 역사적 사례와 최근 국제사회 논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한국 정부와 기업의 전후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 가능성을 탐색하고 지원 방안을 제시함. - 과거 사례로 미루어 전후 재건은 단순한 시설 복구를 넘어..
장영욱 외 작성일 2024.10.08 조회수 5,873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
▶ 본 연구는 EU가 내세운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기조가 최근 공급망,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 등의 영역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고찰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함.- EU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
장영욱 외 작성일 2024.05.23 조회수 2,633
-
푸틴 4기 한ㆍ러 투자 활성화 방안: 고부가가치 산업을 중심으로
▶ 한국은 수교 30주년을 계기로 대러시아 경제협력을 되돌아보면서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임.- 투자와 교역의 시너지 효과를 바탕으로 한 경제협력 관계의 질적 변화는 한국과 러시아 수교 30주년 이후의 중요한 정..
박정호 외 작성일 2021.04.26 조회수 8,205
-
한국의 신북방 경제협력 거버넌스 개선 방안 연구: 러시아를 중심으로
▶ 2017년 5월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신북방정책’ 추진을 천명하면서 대러 경제협력 확대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함.- 문재인 정부는 북방경제협력 전담기구로 북방경제협력위원회를 설치하고 △한·러 서비스·투자 FTA 협상 개시 △극동 금융 ..
박정호 외 작성일 2020.05.27 조회수 18,726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