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Event
KIEP Newsletter
[KIEP Webzine] EU 탄소국경조정 매커니즘 / EU 탄소감축 입법안 / 아세안-중국 특별외교장관회담 / EU 반도체 전략 / 국내 증권시장 외국인 자금 이동 결정요인
- Date2021/07/28
- Hit3,440
VOL.15 · NO.15 · 2021.07.28
발간자료
![]() |
오늘의 세계경제 | |||
EU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에 대한 통상법적 분석 |
||||
2021년 7월 14일 EU 집행위는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CBAM) 입법안을 발표했습니다. CBAM 입법안의 대상 산업범위는 당초 예상보다 축소되었으나, 철강(HS72)의 모든 하위산업과 철강제품 일부 품목(73류 일부)까지 포함되면서 철강산업에 집중되었습니다. |
||||
![]() |
||||
![]() |
세계경제 포커스 | |||
EU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
2021년 7월 14일 EU 집행위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1990년 수준 대비 55% 감축하기 위한 입법안 패키지, ‘Fit for 55’를 발표했습니다. ‘Fit for 55’는 탄소 가격결정 관련 입법안 4개, 감축목표 설정 관련 입법안 4개, 규정 강화 관련 입법안 4개, 사회기후기금으로 구성됩니다. |
||||
![]() |
||||
![]() |
세계경제 포커스 | |||
아세안-중국 대화관계 수립 30주년 특별외교장관회담 주요 결과와 시사점 |
||||
2021년 6월 7일 중국 충칭시에서 아세안-중국 대화관계 수립 30주년을 기념해 아세안 10개국과 중국이 참석한 가운데 특별외교장관회담이 개최되었습니다. 양측은 경제, 사회·문화, 정치·안보 부문에 걸쳐 협력관계 수준 격상, 경제 및 보건협력 강화 등을 논의했습니다. |
||||
![]() |
||||
![]() |
세계경제 포커스 | |||
EU 반도체 전략의 주요 내용과 평가 |
||||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의 지리적 편중으로 인해 주요국은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공급망의 불안정성을 개선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습니다. EU는 2030년까지 글로벌 생산에서 EU의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1,45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입니다. |
||||
![]() |
||||
![]() |
연구보고서 | |||
국내 증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동 결정요인 분석: 금리와 환율을 중심으로 |
||||
외국인의 주식 및 채권 투자는 1990년대 말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국내 금융시장에 영향력을 점차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20여년 간의 외국인 주식 및 채권투자의 추이와 특징을 파악했습니다. |
||||
![]() |
||||
![]() |
연구보고서 |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지역경제구도 변화와 내수시장 진출 전략 |
||||
본 연구는 중국의 내수확대 전략이 강화되었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지역경제구도 변화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자립 내수경제를 본격화할 14.5 규획시기 지역구도 변화를 전망했습니다. |
||||
![]() |
||||
![]() |
연구보고서 | |||
대외부문 거시건전성 정책 10년의 성과와 개선방안 |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기존의 통화정책 및 미시건전성정책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본 보고서는 지난 10년간의 거시건전성 정책을 돌이켜 본 후 이를 바탕으로 대외부문 안정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하고자 했습니다. |
||||
![]() |
||||
![]() |
연구보고서 | |||
신용공급 변동이 경제성장 및 금융위기에 미치는 영향 |
||||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경제충격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재정이 투입되었고 초확장적인 통화정책 기조에 기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민간 및 정부신용 수준이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본 연구는 신용공급이 경제성장과 금융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했습니다. |
||||
![]() |
||||
![]() |
연구보고서 |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디지털화와 한국의 협력방안 |
||||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디지털 격차가 경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우선 역내 디지털화의 진전 정도를 살펴보고, 역내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정책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비교ㆍ분석했습니다. |
||||
![]() |
||||
![]() |
연구보고서 | |||
일본의 ‘사회적 과제 해결형’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 |
||||
본 연구는 일본이 안고 있는 ‘사회적 과제’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해 어떻게 해결하고자 하는지 일본 정부와 기업의 대응책을 조사ㆍ분석하여 우리 정부와 기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
||||
![]() |
영상보고서
|
|||||
|
|||||
|
|||||
|
|||||
|
|||||
|
|||||
연구원소식
동정 | ||||||
|
||||||
동정 | ||||||
|
||||||
![]() |
추가적인 연구원 소식은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 |
언론속 KIEP
|
|||||||||||
|
|||||||||||
|
|||||||||||
|
|||||||||||
|
|||||||||||
|
|||||||||||
|
|||||||||||
|
|||||||||||
![]() |
![]() |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델리 마스터플랜 2041 안(案)의 주요 내용과 전망 |
|||||
글: 김정곤 인도남아시아팀장 |
|||||
![]() | 델리개발청은 6월 9일 ‘델리 마스터플랜 2041(Master Plan of Delhi 2041: MDP 2041)’ 안(案)을 공개했습니다. MDP 2041은 델리의 개발을 촉진하는 전략적 청사진으로, 1962년 이후 네 번째로 제시된 종합적인 델리 개발계획입니다. |
||||
![]() |
|||||
중국, 우주개발 계획 본격 추진 |
|||||
글: 중국경제통상팀 홍진희 전문연구원 |
|||||
![]() | 최근 중국은 △우주선 및 우주정거장 건설 △위성 및 저궤도 우주인터넷 구축 △화성 및 달 탐사 분야의 우주 개발 사업 추진을 가속화 하고 있습니다. 첨단 과학기술 및 군사 기술이 응축되어 있는 우주개발 분야는 시진핑 주석이 주창한 ‘중국몽’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
||||
![]() |
|||||
숫자로 보는 세계경제
미·중 갈등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전략 및 전망 |
||||||
![]() |
||||||
![]() |
![]() |
공지사항
|
|||||||
![]() |
![]() |
![]() |
![]() |
|||||
Contact us | 가입 | 정보수정 | 수신거부
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경제정책동 TEL: 044-414-1114
Copyright @202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