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브리핑
캄보디아, 2025년 경제성장 전망과 투자 잠재력 공개
캄보디아 ASEAN Briefing, Farmonaut 2025/02/05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아세안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캄보디아, 2025년 GDP 성장률 6.3% 전망
- 캄보디아 인민당(CPP: Cambodian People's Party)은 2025년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성장률이 6.3%를 기록하며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함
- 아시아개발은행(ADB: Asian Development Bank)은 같은 해 성장률을 6.0%로 전망함
- 캄보디아는 이러한 긍정적 경제 전망을 기반으로 ▲인프라 개발, ▲관광, ▲제조업 분야에서 수익성 높은 투자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인프라 개발 및 민관협력사업 추진
- 캄보디아 정부는 2025년 93억 2,000만 달러(약 13조 5,689억 원) 규모의 예산 중 상당 부분을 공항, 항만, 물류센터와 프놈펜(Phnom Penh)과 시엠립(Siem Reap)의 에너지 사업 및 수자원 공급 능력 등 인프라 개발에 배정함
- 캄보디아 왕립정부는 2025년부터 2035년까지 교통·물류, 에너지, 공공서비스를 민관협력(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우선 분야로 선정함
- 테초 국제공항(Techo International Airport)과 시아누크빌 항만(Sihanoukville Port) 확장 등 주요 인프라 사업을 통해 캄보디아의 연결성과 무역 역량이 강화될 전망임
☐ 관광 및 제조업 분야 성장세 전망
- 캄보디아는 정부 인센티브와 개선된 인프라를 바탕으로 2025년 75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함
- 저렴한 노동력과 투자 친화적 정책에 힘입어 제조업이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섬유·의류 산업이 GDP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 전자 및 자동차 부품 산업이 큰 성장세를 보이며 다국적 기업을 유치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캄보디아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음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베트남, 독일과 2025년 무역 관계 지속 발전 전망 | 2025-02-05 |
---|---|---|
다음글 | 베트남, 네덜란드와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관계 강화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