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베트남, 미국과 무역협정 체결...관세 정책 조정 및 시장 접근성 확대

베트남 김형석 EC21R&C 연구원 2025/07/04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아세안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미국-베트남 무역협정 체결 배경 및 주요 내용

◦ 트럼프 대통령, 베트남과의 무역협정 체결 발표
-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2025년 7월 2일 베트남과 무역협정을 체결했다고 발표하며, 베트남에 대한 관세율을 20%로 대폭 인하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함. 이번 협정은 4월 2일 발표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정책 및 90일 간의 유예 조치의 일환으로, 미국은 7월 9일 이전까지 양국이 무역 관련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베트남산 제품에 최소 46%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예고한 바 있음.
- 트럼프 대통령은 또 럼(To Lam) 베트남 당서기장과의 통화를 통해 이번 합의를 도출했다고 발표하였으며, 럼 서기장을 “매우 존경받는(Highly Respected)” 인물로 평가함. 이번 양국 간 합의는 상호 관세 정책 발표 이후 베트남이 직면했던 극심한 무역 압박을 크게 완화할 것으로 기대됨.

◦ 중국 경유 무역에 대한 차별적 관세 적용 및 원산지 규정 강화
- 미국은 일반적인 베트남산 제품에 대한 20% 관세와 별도로, 중국 등 제3국에서 베트남을 경유하여 미국으로 수출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4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함. 이와 관련 트럼프 행정부는 과거 베트남을 통한 중국의 우회 수출 문제를 지적한 바 있음.
-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 미국 상무부장관은 "다른 국가가 베트남을 통해 자국 제품을 미국에 수출할 경우 40% 관세를 부과받게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엄격한 경유 무역(trans shipping)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언급함. 현재 중국산 제품은 베트남 총 수입품 중 약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됨. 

□ 베트남의 시장 개방 확대 및 양국 간 무역 장벽 완화

◦ 베트남의 전면적 시장 개방 약속 및 미국산 제품 무관세 적용
- 트럼프 대통령은 베트남이 미국에 대한 전면적 시장 개방을 약속했다고 발표함. 베트남은 모든 미국산 제품에 대한 무관세(zero tariff)를 적용하기로 합의하였으며, 미국 기업들의 베트남 시장 진출 시 가격 경쟁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전망됨.
-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SUV 및 대형 엔진 차량이 베트남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자국 자동차 산업이 이번 협정의 주요 수혜자가 될 것임을 시사함. 베트남은 전통적으로 자동차 관련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해온 바 이번 협정을 통해 자동차 시장에 새로운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농업 및 산업 제품 분야의 시장 접근성 확대
- 베트남은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우선적 시장 접근 기회를 보장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주요 수입 품목으로 가금류, 돼지고기, 쇠고기 등을 지목함. 베트남은 상기 언급된 자동차 관련 품목과 더불어 미국산 농산물에도 엄격한 검역 기준과 높은 관세를 적용해온 바 있으며, 이번 협정을 통해 미국산 농산물 수입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아울러, 보잉(Boeing) 항공기 50대 구매를 위한 80억 달러(약 10조 8,900억 원) 규모의 계약을 확정하였으며, 과거 체결된 29억 달러(약 3조 9,400억 원) 규모의 미국산 농산물 수입 관련 양해각서(MoU)의 세부 사항을 이행하기로 합의함. 이러한 협정은 양국 간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미국의 對베트남 수출을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됨.

□ 미국-베트남 무역협정 체결 이후 경제적 파급효과 및 향후 전망

◦ 무역 불균형 문제 완화 가능성 및 베트남 경제에 대한 영향
-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임기에도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바 있으며, 동 조치로 인해 다수 제조업 생산기지들이 베트남으로 이전한 것으로 확인됨. 이러한 상황 속 베트남의 對미국 수출은 지난 5년 간 약 2배 이상 성장하였으며, 특히 컴퓨터, 전자제품, 의류, 가구 등 주요 분야의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됨.
- 구체적으로, 베트남의 對미국 무역흑자는 2017년 383억 달러(약 52조 1,200억 원)에서 2024년 1,235억 달러(약 168조 원)로 급증하였으며, 이러한 상황 속 베트남은 미국의 3위 무역적자국으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확인됨. 이번 협정은 이러한 양국 간 무역 불균형 문제를 점진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됨.

*태양광 페널, 세탁기 등 특정 품목(30~50%), 철강·알루미늄 등 주요 소비재 및 중간재 다수(25%) 등

◦ 아시아 국가들의 무역 협상에 대한 잠재적 파급효과 및 향후 베트남의 무역 전략 관련 전망
- 이번 미국-베트남 무역협정은 트럼프 행정부가 7월 9일 이전 체결한 세 번째 주요 무역협정으로, 미국은 베트남에 앞서 영국 및 중국과도 무역 협정을 체결한 것으로 확인됨. 전문가들은 “여타 아시아 국가들이 미국과의 협상에서 베트남보다 불리한 협상 조건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으며, 이번 협정이 역내 국가들에게 미국과의 협상에 대한 기준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함.
- 베트남은 이번 협정 이후에도 수출 시장 다변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됨. 팜 밍 찡(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는 미국의 46% 관세 발표 이후 베트남이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음을 강조하며, 이러한 정책이 "양국 간 강력한 양자 관계를 반영하지 않는다"고 비판한 바 있음. 이러한 상황 속, 베트남 정부는 미국 무역 정책의 예측 불가능성을 고려하여 향후 미국의 잠재적인 보호주의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 시장 다변화에 주력할 것으로 관찰됨.
- 한편 럼 서기장은 미국에 베트남을 시장경제국으로 인정하고 베트남산 첨단 기술 제품에 대한 수출 제한을 해제할 것을 요청한 바 향후 양국 간 경제 관계는 더욱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됨.


< 감수 : 윤진표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The Diplomat, Trump Says US and Vietnam Have Reached an Agreement on Tariffs, 2025.07.03.
BBC, Trump announces trade deal with Vietnam, 2025.07.03.
POLITICO, US and Vietnam reach initial tariff deal, 2025.07.02.
CNN Business, Trump announces a US trade deal with Vietnam, 2025.07.02.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