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호주-인도네시아 정상회담의 주요 내용과 전망

인도네시아 백하은 KIEP 세계지역연구 2센터 동남아대양주팀 연구원 2025/06/02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아세안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년 5월 15일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재선 후 첫 공식 해외 일정으로 인도네시아를 방문하며 양국 관계의 전략적 중요성을 재차 확인함. 
 -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와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메르데카 궁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함.
 ㅇ 양국은 1949년 수교 이래 2006년 안보협력협정인 ‘롬복조약(Lombok Treaty)’을 체결했으며, 이후 2018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관계(CSP)’로 관계를 격상하여 협력을 심화시킴.
 - 앨버니지 총리는 지난 2022년 총선 승리 후에도 인도네시아를 첫 순방지로 선택하며, 호주의 동남아시아 외교정책의 핵심국으로 삼아왔음.
 ㅇ 이번 회담에서 호주 총리는 인도네시아를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이라 표현했으며, 호주의 대체 불가능한 경제·안보 협력 파트너임을 강조함.

☐ 양국 정상은 경제·안보·에너지 등 3대 전략 분야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함(표 1 참고).
 - (경제) 양국은 인도네시아-호주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IA-CEPA) 5주년을 계기로 무역·투자 확대, 산업 다변화, 보건·교육 등을 포괄하는 전략적 경제 협력을 심화하고, 호주의 동남아 경제 전략과 민관협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공동 번영을 도모하기로 함.
 - (안보) 양국 정상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관계(CSP) 이행을 통해 주권과 국제법 존중 원칙을 재확인하고, 2024년 체결된 국방협정을 기반으로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 △아세안 중심의 지역 협력, △국방 및 안보 협력, △범죄대응, △태평양 개발협력 강화에 대한 공동 노력을 합의함.
 - (에너지) 양국은 탄소중립 실현 및 녹색전환 가속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을 확대하기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KINETIK 기금 확대1), △전기차·배터리 생태계 공동 구축, △해양환경 보호 및 국제 협약 공동 대응 등을 추진하기로 함.
 - (기타) 이 밖에도 양국은 호주와 인도네시아의 지역적 상호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건·교육·문화 등 인도적 협력과 인적 교류 확대를 위한 보건전환 파트너십2), 장학제도, 워킹홀리데이 비자 활용 증가 등의 프로그램 운영 계획을 논의함.

표 1. 호주-인도네시아 정상회담 공동 언론 발표문 내용
1
주: *Jakarta Centre for Law Enforcement Cooperation 은 인도네시아와 호주가 공동 설립한 치안 협력 교육기관임.
자료:‘2025 Annual Leaders’ Meeting Joint Communique’를 토대로 저자 정리

☐ 이번 정상회담은 호주의 인도네시아 중심 동남아 외교 기조와 국방·경제 분야의 실질적 협력 의지를 구체화한 계기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 호주 정부는 아세안을 미래 핵심 경제 파트너로 간주하며, 2023년 발표한 ‘동남아 경제전략 2040(Invested 2040)’을 통해 역내 무역 및 투자 확대를 추진 중임.3)
 ㅇ 2023/24년 회계연도 기준 호주의 對아세안 교역 규모는 1,929억 달러로, 이는 호주의 對미국, 對EU 교역액 보다 큼.4)
- 특히 호주는 인도네시아와의 방위, 디지털, 친환경 분야의 공급망 협력을 중시함.
 ㅇ 양국은 2024년 방위협력협정 체결 및 합동훈련을 진행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및 청정에너지 협력 등의 내용을 담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2025~2029 이행계획’에 공식 서명함.
 - 한국은 2025년 MIKTA 의장국으로서 인도네시아와 호주의 협력 심화 기조를 바탕으로 기후변화대응, 공급망 안정 등 공동 관심 분야에서 중견국 협력 구상을 주도할 필요가 있음.5)

*각주
1) KINETIK은 인도네시아의 탄소중립 전환을 지원하는 호주-인도네시아 간 녹색경제·에너지 협력 파트너십임.
2) 보건전환파트너십(Health Transformation Partnership)은 호주 정부가 인도네시아와 체결한 중장기적 보건 협력 프레임워크로, 인도네시아 보건 시스템 강화를 목표로 함. 
3) 동남아 경제전략 2040(Invested 2040)은 2023년 발표된 호주의 對동남아 무역 및 투자 중장기 전략임.
4)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검색일: 2025. 5. 27.)
5) MIKTA는 멕시코, 인도네시아, 한국, 터키, 호주 다섯 개국이 참여하는 중견국 협의체로, 국제사회의 안정과 다자주의 강화를 목표로 2013년 유엔 총회를 계기로 출범한 비공식 다자 협력 플랫폼임.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