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말레이시아, 동남아시아 최초 '풀스택 소버린 AI 인프라' 구축 추진...미국의 압박 속 中 화웨이와의 계약 철회
말레이시아 신소은 EC21R&C 연구원 2025/05/30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아세안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말레이시아, 동남아 최초 풀스택 소버린 AI 인프라 구축 계획 발표...중국과의 협력 강화
◦ 말레이시아, 자국 AI 주권 확보 위한 인프라 구축 계획 발표
- 말레이시아 통신부는 2025년 5월 19일 '전략적 인공지능(AI) 인프라(Strategic Artificial Intelligence Infrastructure)' 이니셔티브를 공식 출범하며 동남아시아 최초로 ‘풀스택 소버린* AI 인프라(full stack soverign AI infra)’를 구축할 계획을 발표함. 테오 니에 칭(Teo Nie Ching) 말레이시아 통신부차관은 동 프로젝트를 통해 ▲AI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를 현지화하고, ▲국내 서버 관리 역량을 강화하며, ▲AI 에이전트 개발을 현지화할 것이라고 강조함.
- 동 인프라는 말레이시아 AI 기업인 스카이바스트 클라우드(Skyvast Cloud)의 ‘AlterMatic DT250 AI’ 서버를 기반으로 구축되며, 동 서버는 경쟁사 대비 20% 높은 성능과 30% 높은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스카이바스트를 비롯한 주요 산업관계자들은 2026년까지 주요 인프라 구역에 약 3,000개의 고급 GPU를 배치할 계획을 발표함.
*프론트엔드부터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서버 인프라까지 전체 AI 기술 스택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
◦ 말레이시아-중국 신뢰 데이터 구역 설립 계획
- 이번 AI 인프라 출범 행사에서는 ‘말레이시아-중국 신뢰 데이터 구역(Malaysia-China Trusted Data Zone)’ 설립 계획도 발표됨. 이는 말레이시아 사이버자야(Cyberjaya)와 중국 상하이(Shanghai) 소재 자유무역시범지대인 린강(Lin-gang) 특별구역을 연결하는 최초의 양자 회랑으로, 인프라 구축·공동 혁신 플랫폼 개발·디지털 역량 통합을 통해 국경 간 AI 개발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함.
- 말레이시아-중국 신뢰 데이터 구역은 말레이시아 측에서는 스카이바스트 데이터(Skyvast Data), 중국 측에서는 상하이 국제 데이터 포트(Shanghai International Data Port Co Ltd)가 운영에 참여할 예정임.
□ 미국, 중국 AI 칩 사용에 대한 우려 제기...말레이시아 정부는 화웨이 계약 철회
◦ 미국, 말레이시아의 화웨이 칩 사용 관련 우려 제기
- 미국은 말레이시아의 AI 인프라 출범 발표 직후 동 프로젝트에 중국 화웨이(Huawei)의 ‘어센드(Ascend)’ 칩이 사용된다는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우려를 제기함. 실제,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 인프라인 스카이바스트 ‘AlterMatic DT250 AI’ GPU는 8개의 화웨이 어센드 칩을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미국 백악관 AI 및 암호화폐 정책 책임자 데이비드 삭스(David Sacks)는 이번 말레이시아의 프로젝트에 ‘AlterMatic DT250 AI’ 서버가 사용되는 점에 대해 "중국의 풀스택이 여기 있다(the full Chinese stack is here)"고 언급한 것으로 확인됨.
- 상기 논란에 앞서, 미국 상무부는 지난 5월 14일에도 “‘전 세계 어디서든(anywhere in the world)’ 화웨이 어센드 칩을 사용하는 것이 미국의 수출 규제를 위반한다”는 지침을 발표한 바 있음.
◦ 말레이시아, 화웨이와의 계약 철회
- 상기 미국의 발표 이후, 말레이시아 투자무역산업부(MITI)는 5월 21일 성명을 통해 "전략적 AI 인프라 이니셔티브는 말레이시아 정부에 의해 개발, 승인 또는 조정된 것이 아니며, 정부 간 협정이나 국가적으로 의무화된 기술 프로그램의 일부가 아니다"라고 발표, 정부 차원의 관여를 부인함.
- 테오 차관 역시 화웨이 관련 발언*을 철회하였으며, 화웨이 측도 “말레이시아에 어센드 칩을 판매한 바 없으며 말레이시아 정부가 이를 구매한 적도 없다”고 밝힘. 전문가들은 이러한 양측의 입장이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외교적 갈등을 방지하고자 하는 신중한 입장을 시사한다고 평가함.
*테오 차관은 “말레이시아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중국 외 지역에서 화웨이 기반 GPU AI 서버를 업그레이드하는 최초의 국가가 될 것”이라고 언급
※2025.05.26. 14:00 기준, 말레이시아 국영 언론사 Bernama 내 소버린 AI 인프라 프로젝트 화웨이 칩 도입 관련 보도 및 중국 소셜미디어 내 관련 기사 다수 접근 불가
□ 말레이시아, 민간 기업 주도 AI 슈퍼컴퓨터 구축으로 자국 AI 생태계 확장 가속화
◦ YTL 파워,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 AI 슈퍼컴퓨터 출시 계획 발표
- 말레이시아의 민간 AI 기업 YTL 파워 인터내셔널(YTL Power International Bhd)은 2025년 3분기까지 엔비디아(NVIDIA) ‘GB200 그레이스 블랙웰(Grace Blackwell)’ 슈퍼칩을 탑재한 말레이시아 최초의 AI 슈퍼컴퓨터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발표함.
- 여 석 홍(Yeoh Seok Hong) YTL 파워 전무이사는 동 AI 클라우드 인프라가 말레이시아의 자체 AI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며, 말레이시아 고유의 LLM인 ‘ILMU 1.0’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함.
- 한편, 2025년 하반기에는 엔비디아 ‘블랙웰 울트라(Blackwell Ultra)’ 플랫폼이 출하될 예정이며, YTL 클라우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동 플랫폼을 도입하는 최초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됨.
◦ 자국 AI 주권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전략 모색...국내 생태계 육성 노력
- 말레이시아 정부는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도 자국의 AI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음. 이와 관련, 말레이시아 투자무역산업부는 "정부는 국가 이익에 부합하는 AI 정책을 수립할 주권적 권리를 가지며, 이와 관련한 첨단 기술 개발을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함.
- 말레이시아 자체 AI 생태계 확장 전략은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대학 및 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 가속화되고 있음. 특히, 총리실, 통신부, 셀랑고르주 투자공사(Permodalan Negeri Selangor), 사이버뷰(Cyberview), 말레이시아 기술대학(Universiti Teknologi Malaysia)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협력을 통한 국가 AI 역량 강화는 궁극적으로 공공 서비스 개선, 생산성 향상, 혁신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감수 : 윤진표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South China Morning Post, Tech war: Malaysia walks back from AI project with Huawei as tech giant denies chip exports, 2025.05.22.
Light Reading, Malaysia's MITI denies government involvement in Huawei AI project, 2025.05.22.
AWANi, YTL Power on track to launch Malaysia’s first AI Supercomputer with NVIDIA Blackwell platform in Q3, 2025.05.22.
Data Center Dynamics, Malaysian gov't retracts launch of Huawei-powered sovereign AI, 2025.05.21.
Developing Telecoms, Malaysia launches sovereign AI stack with DeepSeek and Huawei GPU, 2025.05.20.
Lowyat, Malaysia Launches First Full-Stack AI Infrastructure In The Region, 2025.05.20.
The Sun, Malaysia launches region’s first sovereign full-stack AI Infrastructure, 2025.05.19.
Malaysia-China Insight, Malaysia Launches Region’s First Sovereign Full-Stack AI Infrastructure, 2025.05.19.
Channel News Asia, US warns against use of Huawei Ascend AI chips 'anywhere', says it violates export controls, 2025.05.14.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특집] 주한 라오스 대사와의 면담 | 2025-05-27 |
---|---|---|
다음글 | [월간정세변화] 아세안과 미국의 관세 정책…도전과제와 대응 전략 | 2025-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