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베트남, 러시아와 원자력 협정 체결...닌투언 원전 프로젝트 재개
베트남 AIF 2025/01/24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아세안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베트남, 러시아와 닌투언 원전 프로젝트 재개 위한 포괄적 원자력 협력 체계 구축
◦ 베트남-러시아 간 원자력 협정 체결 및 주요 내용
- 베트남과 러시아는 2025년 1월 14일 하노이(Hanoi)에서 미하일 미슈스틴(Mikhail Mishustin) 러시아 총리의 베트남 방문을 계기로 원자력 에너지 협정을 체결하였다. 동 협정은 러시아 국영 원자력 공사 로사톰(RosAtom)과 베트남 국영 전력공사(EVN: Vietnam Electricity) 간에 체결되었으며, 팜밍찡(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는 동 협정 체결을 위해 알렉세이 리하쵸프(Alexei Likhachev) 로사톰 최고경영자와 3차례 회담을 진행한 바 있다. 이번 협정은 특히 지난 2016년 중단된 닌투언(Ninh Thuan) 원자력 발전소 프로젝트의 재개를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 로사톰 측은 ▲원자력 발전소 건설, ▲첨단 원자력 연구센터 설립, ▲기술 이전, ▲원자력 제품의 현지화, ▲원자력 과학 및 산업 발전 등을 포함한 장기적 협력 비전을 제시하였다. 특히, 베트남의 원자력 인력 양성을 위해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기술 이전을 통해 베트남의 자체적인 원자력 기술 역량 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 닌투언 원전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구체적 이행 체계 구축
- 베트남 정부는 닌투언 원자력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총리 직속 운영위원회를 설립하였다. 동 위원회는 원자력 발전 관련 법규 개정, 원자력 발전 프로그램의 연구개발(R&D),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 원자력 안전 관리 체계 구축 등 프로젝트 전반을 총괄할 예정이다.
- 닌투언 원전 프로젝트는 2009년 최초 승인 당시 러시아의 ‘VVER-1200’ 원자로 도입과 80억 달러(약 11조 5,000억 원) 규모의 러시아 차관을 통한 재원 조달이 계획되었으나, 2016년 양국 간 경제적 이유로 중단된 바 있다. 양국은 이번 협정을 통해 기존 계획을 기반으로 최신 기술과 안전 기준을 반영한 최신화된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 베트남의 원자력 에너지 개발 추진 배경과 전략적 에너지 안보 강화 계획
◦ 베트남의 급격한 에너지 수요 증가와 원자력 발전의 전략적 중요성
- 베트남 정부의 전망에 따르면, 베트남은 2045년까지 전력 소비량이 1,200 테라와트시(TWh)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제8차 국가전력개발계획(PDP 8: Power Development Plan 8)*의 예상치인 1,000TWh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와 관련, 영국 경영컨설팅 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PricewaterhouseCoopers)의 분석에 따르면 베트남은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2030년까지 150 기가와트(GW), 2050년까지 500GW의 설비용량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현재 설비용량인 80GW의 6배 이상에 달하는 규모이다.
- 이러한 상황 속,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태양광, 수력,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상기 언급된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원자력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2023년 5월 승인된 종합 발전 전략으로, 2050년까지 에너지 안보 보장, 경제 성장 지원, 신재생에너지 전환, 탄소 중립 달성에 중점
◦ 원자력 발전 프로그램의 체계적 추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 베트남 정부는 지난 2024년 11월 원자력 발전 프로그램 재개에 대한 승인을 완료하였으며, 닌투언 지역에 총 4,000MW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 2기 건설을 핵심으로 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베트남 정부는 EVN을 프로젝트 투자자로 지정하여 사업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또한, 정부는 원자력 발전 프로그램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 ▲초기 투자비용 조달 방안 마련, ▲원자력 안전에 대한 대중의 신뢰 확보, ▲전문 인력 양성이라는 세 가지 핵심 과제를 설정하였다. 현재까지 수백 명의 베트남 학생과 엔지니어들이 러시아에서 교육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며, 정부는 이를 토대로 더욱 체계적인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구축할 방침이다.
□ 러시아에 대한 국제 제재 下 양국 전략적 동반자 관계 심화 및 협력 분야 확대
◦ 베트남과 러시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실질적 강화 추진
- 양국은 이번 협정을 계기로 2030년까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CSP: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특히 경제, 무역, 에너지, 과학기술, 교육, 문화, 국방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와 관련, 양국 간 교역액은 2023년 33억 달러에서 2024년 45.7억 달러로 약 38% 증가하였으며, 현재 약 6만 명의 베트남인이 러시아에 거주하며 양국 간 인적 교류의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 러시아는 베트남을 동남아시아 지역의 핵심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냉전 시기부터 이어온 전통적 우호 관계를 기반으로 국방, 에너지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실제, 러시아는 1995년부터 2023년까지 베트남 무기 수입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등 베트남의 주요 방산품 거래국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온 바 있다.
◦ 국제 제재 환경 하에서의 협력 관계 유지 및 발전 방안 모색
- 미국은 2025년 1월 러시아 에너지 부문 관련 제재의 일환으로 로사톰 관계자들에 대한 제재를 발표하였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서방의 對러시아 제재로 인해 베트남-러시아 간 금융 거래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 이러한 상황 속, 양국은 해양 연구선 이전, 디지털 경제 및 무선통신 협력 등 제재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기존의 원자력 및 국방 협력을 지속하기 위한 대체 결제 수단 및 제재 우회 방안 등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은 러시아와의 협력이 자국의 기술 자립도를 제고하고 산업 발전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판단 하에 국제 제재로 인한 잠재적 리스크를 관리하며 러시아와의 전략적 협력 관계를 유지 및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 감수 : 윤진표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The Diplomat, Vietnam Signs Nuclear Cooperation Deal With Russian Government, 2025.01.15.
NHK World Japan, Vietnam and Russia sign nuclear cooperation deal, 2025.01.15.
NUCNET, Vietnam Signs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 With Russia, 2025.01.15.
World Nuclear News, Vietnam holds Russia talks - and sets up nuclear project steering committee, 2025.01.14.
Power Technology, Vietnam signs nuclear energy development agreement with Russia, 2025.01.15.
Anadolu Ajansi, Vietnam, Russia sign nuclear energy development pact, 2025.01.14.
The Defense Post, Russia, Vietnam Sign Nuclear Energy Deal, 2025.01.15.
[관련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인도네시아, 동남아시아 최초 BRICS 회원국 공식 가입...글로벌 다자협력 강화 목표 | 2025-01-17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태국 내 캄보디아 前 야당의원 사망 사건 발생...정치적 목적에 대한 우려 제기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