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인도네시아, 75GW 규모 신재생에너지 개발 계획 발표
인도네시아 AIF - - 2024/11/29
☐ 인도네시아, 75GW 규모 신재생에너지 개발 계획 발표
o 프라보워 수비안토(Prabowo Subianto)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신재생에너지 개발 목표
-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신임 대통령은 야심찬 신재생에너지 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향후 15년간 총 75기가와트(GW)의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개발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동 개발 계획은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미래로 전환하려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 상기 계획에는 태양열, 수력, 지열 및 원자력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포함되며, 2060년까지 인도네시아의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의 일부이다. 인도네시아는 현재 총 전력 설치 용량 중 약 절반 이상이 석탄 화력 발전소로부터 발생되는데, 향후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임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고자 노력할 예정이다.
o 2024년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발표된 계획
- 인도네시아의 신재생에너지 개발 계획은 2024년 아제르바이잔 바쿠(Baku)에서 개최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9)에서 공개되었다. 하심 조조하디쿠스모(Hashim Djojohadikusumo) 인도네시아 기후 특사는 연설을 통해 인도네시아의 에너지 구상을 발표하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의지를 강조했다.
- 이번 발표는 인도네시아가 국제사회와 소통하고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전략적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COP29에서 인도네시아는 신재생에너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적 협력과 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인도네시아는 신임 수비안토 대통령이 설정한 야심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개발을 지원할 외국인직접투자(FDI)를 유치하고자 한다.
☐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노력 및 도전
o 석탄 의존도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중 증가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도네시아 전체 에너지 믹스 중 석탄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신재생에너지는 전체 전력 용량의 약 15% 미만을 차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석탄 화력 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함으로써 자국 에너지 믹스에서 신재생 에너지의 비중을 크게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전환 노력은 국가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고 기후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대기오염 감소, ▲공중보건 개선, ▲지속 가능한 산업에서의 일자리 창출 등 다수의 이점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o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기술 및 투자 필요성
- 인도네시아는 신재생에너지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 기술 및 인프라에 대한 상당한 투자가 필요하며, 특히 배터리 시스템과 같은 첨단 에너지 저장 솔루션, 녹색 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 개발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인도네시아의 청정에너지 전환을 지원하고 에너지 안보를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아울러, 인도네시아 정부는 글로벌 이해관계자와의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신재생에너지의 전국적 분배를 촉진할 '그린 이네이블링 수퍼 그리드'(Green Enabling Super Grid)와 같은 주요 인프라를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의 추가 환경 및 경제 이니셔티브
o 1,270만 헥타르(ha)에 이르는 산림 복원 프로젝트
- 인도네시아는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더불어 심각하게 훼손된 약 1,270만 헥타르의 삼림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장기 조림사업에 착수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인도네시아의 환경 보전 노력의 일부이며, 탄소흡수원(carbon sink)의 역할을 함으로써 생물다양성을 제고하고 생태계 서비스를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글로벌 기후변화 완화(mitigation)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인도네시아의 조림 프로젝트는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조스(Jeff Bezos)가 주도하는 약 100억 달러(13조 9,000억 원) 규모의 녹색 자금 조달 이니셔티브인 베조스 어스 펀드(Bezos Earth Fund)를 포함한 주요 국제기구의 관심을 끌고 있다.
o 탄소 중립 목표와 관련된 국제 협력 및 투자 노력
- 인도네시아는 2060년까지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 협력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및 탄소 상쇄 이니셔티브에 대한 자금 및 기술 전문 지식을 확보하기 위한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력이 포함된다.
-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는 공정 에너지전환파트너십(Just Energy Transition Partnership)은 인도네시아의 탈탄소화 노력을 지원하는 핵심 국제 협력 중 하나인데, 이 파트너십은 재정적 및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여 인도네시아의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도네시아는 국제 협력을 통해 신임 대통령의 야심찬 에너지 전환 및 환경 보전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기 위한 필수 자원을 확보하고자 적극 노력하고 있다.
< 감수 : 윤진표 성신여대 교수>
* 참고자료
Power Technology, Indonesia to offer investors 75GW of renewable power opportunities by 2039, 2024.11.12.
Bangkok Post, Indonesia to build 75 GW of renewable energy in the next 15 years, 2024.11.12
Climateworkscentre, Indonesia’s energy transition crossroads: New administration, old challenges, 2024.11.12.
Solar Quarter, PLN Highlights Indonesia’s Clean Energy Commitment At COP29, Focuses On Solar Expansion And Global Collaboration, 2024.11.13.
EV Wind, Indonesia to build 75 GW of renewable energy in the next 15 years, 2024.11.14.
Solar Quarter, COP29: Indonesia Unveils Ambitious 75 GW Renewable Energy Plan for Next 15 Years, 2024.11.12.
Indonesia Business Post, Indonesia proposes US$235 billion renewable energy project at COP29, 2024.11.14
[관련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미얀마 군총사령관, 국가비상사태 선포 이후 최초로 중국 방문 | 2024-11-21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아세안 정상들, 2024년 APEC 정상회의에서 포용적인 지역 성장 강조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