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태국, 친환경 자동차 정책 강화... 급진적 전환 정책은 지양해야 할 필요 제기
태국 EMERiCs 2024/08/09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아세안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태국, 친환경 자동차 정책을 통해 산업 역량 강화 추진
◦ 전기차 지원 정책으로 해외 전기차 생산업체 유치 가속화
- 지난 2022년 2월 25일 태국 정부는 자국을 EV 배터리 및 전기차 생산 허브로 만들기 위한 EV 3.0 전기차 보조금 정책을 승인했다. 동 정책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두 가지 종류의 보조금이 제공되는데, 세부적으로 배터리 용량이 10~30kWh인 EV, 또는 30kWh 이상의 EV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각각 7만 바트(약 270만 원)와 15만 바트(약 580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았다.
- 2023년 11월 1일 태국 국가 전기차정책위원회(EV Board)는 EV 3.0 신청 기한이 2023년으로 종료됨에 따라 2024년부터 2027년 간 적용될 신규 전기차 지원 정책인 EV 3.5를 승인했다. EV 3.5는 수입 차량 1대 당 2대 비율로 자국 내 전기차 생산을 의무화하여 국내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데, 일부 전문가들은 위 정책을 통해 태국 내 전기차 산업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평가했다.
◦ 태국, 하이브리드 차량 보조금 정책 추진... 충전 인프라 한계점 드러나
- 지난 7월 26일 태국 정부는 하이브리드 차량 제조업체에 대한 신규 보조금 정책 계획을 발표했다. 태국 당국자는 동 정책을 통해 향후 4년간 최소 500억 바트(약 2조 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유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태국은 ‘동남아시아의 디트로이트’로 서 2030년까지 자동차 생산량의 30%를 전기차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한편, 태국 내 10,000여 개의 EV 충전소는 도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러한 충전소 배치 불균형은 장거리 여행자와 트럭 운전자들에게 전기차 실용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전기차 산업 인프라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 태국의 친환경 자동차 정책에 따른 시장 변화 분석
◦ 중국 전기자동차(EV) 제조업체의 전기차 시장 점유율 증가
- 중국 EV 제조업체들은 태국의 관세 및 보조금 정책을 이용해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2012년 1월부터 아세안-중국 자유무역지대(ACFTA: ASEAN-China Free Trade Area) 下 중국산 EV에 대해 무관세 혜택을 받아 왔다. 또한, 중국 최대 EV 업체인 비야디(BYD)와 GAC아이온(Aion)은 태국 내 EV 생산공장 건설 등 총 14억 4000만 달러(약 2조 원) 규모의 투자를 해왔다. 이로 인해 중국산 EV가 일본 및 한국 차량에 비해 가격 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이는 시장 점유율 급증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수십 년 동안 태국 시장을 지배해온 일본의 전통 내연기관 차량(ICEV) 제조업체들이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 전기차 보조금 정책 여파로 일본 ICEV 제조업체 철수 계획 발표
- 일본의 주요 ICEV 제조업체인 혼다(Honda), 스즈키(Suzuki)와 스바루(Subaru)는 태국에서의 생산 중단 계획을 발표했다. 동 결정은 중국 EV 제조업체들의 경쟁 우위와 태국 정부의 적극적인 EV 배터리 우대 정책 때문으로 풀이된다. 혼다는 지난 7월 9일 태국 아유타야주(州) 공장의 생산을 중단하고 쁘란찐부리주 공장과 통합하기로 결정했으며, 스즈키는 내년 말까지 태국 공장을 폐쇄한다고 발표했다.
- 일부 자동차 산업 전문가들은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철수 결정이 향후 태국의 자동차 생산 역량 저하 혹은 EV 생산기지로 재탄생할지 귀추를 주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ICEV 제조산업이 태국 GDP와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 향후 자국 내 고용과 경제 전반에 미치는 현상에 주목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 태국의 친환경 자동차 산업에 대한 전망
◦ 안정적인 산업 전환을 위해 정책 조정 필요성 강조
- 일부 정책 분석가들은 태국 정부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균형 있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EV 3.0/3.5 정책을 통해 중국 EV 제조기업들과의 협력 관계를 공고히 했지만, 기존 ICEV 제조업체에게는 경제적 압박을 줬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이유로, 태국의 EV 정책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 또한, 태국 당국이 자국의 전기차 제조 역량을 강화하고 EV 부품에 대한 공급망 구축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연구 개발에 대한 투자, △배터리 및 기타 핵심 부품의 현지 생산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기술 및 전문 지식 이전을 위한 글로벌 기업과의 파트너십 체결 등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EV 생산 허브 목표에 있어 도전 과제 존재... 현지 기업 역량이 성공 열쇠
- 태국 당국은 EV 생산 허브로 만들기 위한 정책이 기술적 불확실성과 설비 투자에 드는 높은 초기 비용이라는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동 전략의 성공 여부는 현지 기업들이 생산 역량과 품질 수준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수준으로 높이는 데 달려 있다고 부연했다.
< 감수 : 윤진표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Fulcrum, Time to Rebalance the Wheels in Thailand’s Green Automotive Policy, 2024.07.26.
Rest of World, Thailand’s big market for small trucks goes electric, 2024.07.18.
PR Newswire, Thailand EV Board Approves Tax Incentives for Electric Trucks and Buses Adoption, Cash Grants for Battery Cells Manufacturers, to Reinforce EV Hub Status, 2024.02.21.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전문가오피니언] 인도네시아의 국립 데이터센터 구상: 2024년 6월 해킹 사태가 남긴 교훈 | 2024-08-07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미얀마,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경제 상황 | 2024-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