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브리핑
베트남 경제, 첨단기술 부문 외국인직접투자 확대 속 전망 긍정적
베트남 Vietnam Plus, Vietnam Net 2022/09/27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아세안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베트남 경제가 첨단기술 및 제조업 부문 외국인직접투자(FDI) 확대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마이클 코카라리(Michael Kokalari) 비나캐피탈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경제학 연구를 인용해 베트남 경제의 주요 동력은 첨단기술 및 제조업 부문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 지속이라고 밝힘.
- 코카라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특히 최근 베트남 국내 제조업 부문의 제품다양성이 확대된 바 있으며 베트남 경제 또한 이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나갈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함.
☐ 베트남은 최근 삼성·애플 등의 생산시설을 잇달아 유치한 바 있음.
- 베트남의 최대 외국투자기업인 삼성은 베트남에 반도체 부품 생산시설을 유치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음.
- 애플 또한 베트남에 자사 제품 생산시설을 유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는 중국 이외의 첫 애플 제품 생산시설 유치 사례임.
☐ 코카라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외국인직접투자 확대에 따른 베트남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제품 생산에 필요한 물품의 수입 의존도를 낮추어야 한다고 진단함.
- 코카라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베트남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해외기업의 재료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이라고 지적함.
- 베트남 국내 생산시설 유치에 따른 경제 성장 효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제품 생산에 필요한 부품 등의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이를 베트남 국내에서 조달할 수 있는 시설 및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평가됨.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태국, 10월 1일부로 코로나19 관련 국가비상사태 해제 예정 | 2022-09-27 |
---|---|---|
다음글 | 캄보디아, 쿠바와 보건·교육·국제협력 부문 상호양해각서 3건 체결 | 2022-09-27 |